• 제목/요약/키워드: 입상형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4초

$UV/TiO_2$ 충진 반응기에서 페놀의 광산화 반응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Phenol in $UV/TiO_2$ Packed-bed System)

  • 박길순;김종화;이상화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9호
    • /
    • pp.939-945
    • /
    • 2005
  • 입상형/비드형(직경 = 5 mm) 광촉매가 충진된 고정상 반응기에서 유량별 광산화 반응속도를 고찰한 결과 유량이 400 mL/min 이상에서 페놀의 분해속도가 더 이상 증가하지 않았다. 비드형 광촉매의 경우에는 부식율과 코팅량의 증가에 따른 뚜렷한 광산화 반응속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광촉매의 종류별 페놀의 분해능을 비교한 결과 Degussa P25가 STS-02(Ishihaha사)와 $TiO_2$(N사)에 비해 높은 광산화 활성을 나타내 주었다. 유체의 전단력에 의한 표면의 마모가 쉽게 일어날 수 있는 입상형 광촉매보다 $TiO_2$가 코팅된 비드형 광촉매를 사용함으로써 광촉매 활성을 오래 동안 유지할 수 있는 광산화 시스템의 개발이 가능하다.

$La_{2/3}Sr_{1/3}MnO_3/BaFe_{12}O_{19}/SiO_2/Si(001)$ 입상형 다층박막 구조에서 강자성 $BaFe_{12}O_{19}$ 중간층이 저 자장 터널형 자기저항 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Ferromagnetic $BaFe_{12}O_{19}$ Layer for Low-Field Tunnel-Type Magnetoresistance on $La_{2/3}Sr_{1/3}MnO_3/BaFe_{12}O_{19}/SiO_2/Si(001)$ Granular-Type Multilayer Thin Films)

  • 심인보;안성용;이희민;유홍주;김철성;최세영
    • 한국자기학회:학술대회 개요집
    • /
    • 한국자기학회 2001년도 추계연구발표회 논문개요집
    • /
    • pp.48-49
    • /
    • 2001
  • PDF

알럼 슬러지를 이용한 입상흡착제 압출 및 황화수소 제거 성능 (Extrusion of Pellet-type Adsorbents Employed with Alum Sludge and H2S Removal Performance)

  • 박나영;배정현;이철호;전종기
    • 청정기술
    • /
    • 제19권2호
    • /
    • pp.121-127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알럼 슬러지를 사용하여 입상흡착제를 제조하기 위한 압출 공정을 최적화하는 것이다. 함수율과 바인더인 메틸 셀룰로스의 함량이 압출 가능성과 입상흡착제의 물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입상흡착제의 물리적 특성은 질소 흡착실험과 압축 강도 측정을 통해서 분석하였다. 증류수와 알럼 슬러지 가공분말의 비가 63/100인 경우가 입상흡착제의 외형이 원통형으로 잘 성형되었고, 압축강도도 가장 높게 나타났다. 메틸 셀룰로스의 함량을 증가시키면 압축강도가 개선되었으나 비표면적이 감소하였다. 성형된 입상흡착제의 소성과정을 거치면 입상흡착제의 표면적이 크게 증가하여 황화수소의 파과 시간이 획기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황화수소 파과 용량은 1,700 mg/g 이상을 얻을 수 있었다.

송풍유무에 따른 우분퇴비화 효과분석 및 우분퇴비의 입상화방법별 특성비교 (Analysis of the Composting Effect on Cow Manure by Aeration and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of Cow Manure Pellet Composts According to Granulation Processing Method)

  • 정광화;김중곤;이동준;;곽정훈
    • 유기물자원화
    • /
    • 제25권2호
    • /
    • pp.69-76
    • /
    • 2017
  • 2015년 기준으로 국내에서 발생된 가축분뇨 중의 80%가 퇴비로 전환되어 유기성 비료자원으로서 농경지에 시용되었다. 현재 이용되고 있는 가축분 퇴비의 형태는 분말형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입상 형태 퇴비로서는 직경 5~10 mm 크기의 원기둥 모양으로 가공된 펠릿이 일부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분을 부숙시킨 분말형 퇴비를 원기둥 막대 형태의 펠릿과 구(구슬) 형태(Sphere type)의 펠릿으로 가공하였을 때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말 형태 퇴비의 질소농도는 건물량 기준으로 1.05% 이었으며 원기둥 막대 형태와 구 형태로 펠릿화된 이후에는 각각 1.23%와 1.24%로서 가공방법에 따른 차이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입상화 가공효과를 분석한 결과, 스쿠루 압착식과 원통 회전형 입상화 방식 등의 두 가지 가공방식 모두에서 원료의 수분함량이 입상화가공에 있어 가장 큰 영향요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분 함량 20% 수준으로 건조하였을 때의 비중은 분말형 퇴비에 비해 원기둥 막대 형태와 구 형태 펠릿퇴비는 각각 1.38과 1.13 수준이었다. 퇴비수송과 취급에 관련되는 요소인 압축강도는 원기둥 막대형과 구 형태 펠릿퇴비에서 각각 $27.6kg/cm^2$$11.3kg/cm^2$ 수준으로서 원기둥 막대형태 펠릿퇴비가 더 높았다.

황화수소(H2S) 흡착을 위한 금속산화물 기반 흡착제의 활성물질 최적화 및 입상형 흡착제 제조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Optimization of Active Material and Preparation of Granular Adsorbent of Metal Oxide-based Adsorbent for Adsorption of Hydrogen Sulfide (H2S))

  • 최성열;한동희;김성수
    • 공업화학
    • /
    • 제30권4호
    • /
    • pp.460-465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각종 산업시설에서 발생하는 $H_2S$를 처리하기 위하여 금속산화물 기반의 흡착제의 활성물질 최적화 및 입상형 흡착제 제조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적용되는 흡착제는 금속산화물 중 높은 물리화학적 안정성과 비교적 큰 비표면적을 가지는 $TiO_2$를 이용하여 활성물질의 종류와 함량을 다르게 제조하였다. 이러한 흡착제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흡착성능과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활성금속 중 대표적인 알칼리 물질인 KI를 첨착한 흡착제의 흡착성능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함량과 흡착성능의 관계는 비례하지 않고 volcano plot을 나타냈다. XRD, SEM, BET 분석을 통해 특정 함량 이상부터 활성물질이 표면에 노출됨을 확인하였으며, 비표면적은 $40{\sim}100m^2/g$, 기공의 부피는 $0.1{\sim}0.3cm^3/g$의 기공 특성을 가질 때 흡착성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실 공정 적용을 위해 흡착제를 입상형으로 성형 또는 세라믹 지지체에 코팅을 진행하였으며, 성형보다는 세라믹 지지체에 흡착제를 코팅하였을 때 우수한 흡착성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Network 모델을 이용한 입상여과공정의 전이상태 해석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nsient State of Deep Bed Filtration by the Network Model)

  • 주창업
    • 청정기술
    • /
    • 제12권4호
    • /
    • pp.224-231
    • /
    • 2006
  • 현탁액중의 부유입자를 제거하는 입상여과공정을 Network 모델을 이용하여 여과효율과 압력손실에 대해 예측하였다. 구형 여재로 구성되어 있는 여재 층을 node와 원통형 bond로 구성된 network로 가정하였으며 여과 공정을 통해 부유입자는 bond 표면에 포집된다. 원통형 bond에서의 여과효율은 bond의 세공부피를 단위 cell의 유체 막 부피로 가정하여 입자의 경로 분석을 이용하여 구하였으며, 포집된 부유입자가 추가적인 여재로서의 역할은 bond 세공이 좁아짐에 따른 효율 증가로 나타내었다. 또한 세공이 좁아짐에 따른 압력손실도 예측하였다. 본 network 모델의 세공 분포를 부여하는 과정의 stochastic한 성질로 인하여 많은 전산모사가 필요하지만, 본 모델을 이용하여 여과효율과 압력손실을 동시에 예측할 수 있었다.

  • PDF

정수장 슬러지로부터 제조한 입상흡착제의 염기성 가스 흡착 성능 (Adsorption Performance of Basic Gas over Pellet-type Adsorbents Prepared from Water Treatment Sludge)

  • 배정현;박나영;이철호;박영권;전종기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1권3호
    • /
    • pp.352-35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정수장 슬러지를 사용하여 제조한 정수슬러지 가공 분말의 압출공정을 통해서 입상흡착제를 제조하였다. 바인더 첨가와 소성과정이 입상형 흡착제의 물리 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질소흡착, 압축강도, 주사전자현미경, 엑스선회절, 피리딘흡착 적외선분광법 등으로 분석하였다. 바인더의 함량을 5 wt%까지 증가시키면 압축강도가 3배 이상으로 개선되었으나 트리메틸아민을 흡착할 수 있는 표면적이 30% 정도 감소하여 입상흡착제의 트리메틸아민 파과시간이 단축되었다. 성형된 입상흡착제의 소성과정을 통해서 표면에 브뢴스테드산점과 루이스산점으로 구성된 산점이 발현되어, 염기성 기체인 트리메틸아민의 파과 시간이 3배 이상으로 증가하였다.

버킷엘리베이터식 버섯배지용 폐면 입상기 개발 (Development of bucket elevator type cotton substrate loading machine for mushroom growing)

  • 최광재;오권영;유병기;이성현;박환중;이광식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02년도 동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242-247
    • /
    • 2002
  • 가. 느타리버섯 폐면 버섯퇴비를 종균과 혼합 입상하는 폐면입상기의 주요부위는 진동식 변량공급장치, 버킷엘리베이터 승강기, 승강식 수평 벨트콘베이어 수평이송장치로 구성되며, 통로가 좁은 생육분리형 재배사와 재래식 재배사에도 적응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나. 폐면 공급장치의 폐면 공급성능은 캠행정이 13mm로부터 16mm, 19mm로 커 질수록, 캠축의 회전수가 300rpm에서 700rpm으로 증가할수록 폐면의 공급성능은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다. 폐면 공급장치의 공급성능과 기체진동, 폐면 부착수준 등의 작업상태를 고려할 때 캠행정 16mm 회전수 550rpm 내외가 적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라. 시작기의 작업능률은 표준규격 200m$^3$인 버섯재배사 1동 1회당 14시간으로 관행(인력)작업의 50시간에 비해 3.5배 능률적이었다. 마. 버섯입상, 종균접종 작업경비는 1동 1회당 관행(인력)작업이 320,800원/200m$^3$.동에 비해 시작기는 130,300원/200m$^3$.동으로서 59,7%의 작업경비를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트랩도어 하강이 일어나는 모형 입자 입상체에서 광탄성 측정 기법을 이용한 흙 아치 구조의 변화 조사 (Investigation of the Change of Soil Arch Structure in Model Particle Assembly Subjected to Displacing Trapdoor via Photoelastic Measurement Technique)

  • 신상영;정영훈;김태식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2권10호
    • /
    • pp.31-40
    • /
    • 2016
  • 트랩도어 하강이 일어나는 토체 내부에서 발생하는 흙 아치 구조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서 광탄성 측정 기법을 이용하여 입상체의 다양한 거동을 관찰하였다. 광탄성 반응 재료로 코팅된 원주형 모형 입자를 적층하여 입상체를 구성하였다. 광탄성 기법을 이용하여 입상체 내부에서 발생하는 입자 간 접촉력 전달 구조의 변화를 촬영하여 관찰하였으며 이를 입상체 하부 로드셀에서 측정된 압력 변화 및 내부 활동면의 변화 양상과 비교 분석하였다. 트랩도어 하강 초기에 형성된 흙 아치 구조는 하강이 지속되면 붕괴되지만 다시 확장된 아치 구조가 새롭게 형성되었다. 트랩도어 하강 초기에 일치하였던 흙 아치 구조의 경계면과 활동면은 트랩도어 하강이 진행되면서 활동면이 포함된 영역이 접촉력을 잃은 영역 내부에 포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