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입도비

Search Result 717,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n approach to predict size distribution of suspended sediment - noncohesive sediment (유사의 입경분포 모의를 위한 방안 연구 - 비점착성 유사의 경우)

  • Son, Minwoo;Byun, Jisun;Park, Byeoung 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89-289
    • /
    • 2018
  • 하천의 유사는 이동 형태에 따라 소류사와 부유사로 분류되는데, 대부분의 자연하천에서 유사는 난류로 인해 부유사의 형태로 이송된다. 하천 흐름 내 부유사는 크기와 모양이 서로 다른 입자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부유사의 입도 분포는 유사의 특성 뿐 아니라 흐름의 유사 이동 능력과 같은 유수동역학적 특성 또한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유사의 입도 분포는 통계적인 방법을 통해 결정되며, 일반적으로 모래 하천의 입도 분포는 로그 정규 분포를 따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유사의 입도 분포 모형을 이용하여 다양한 흐름 조건 하에서의 입도분포를 살펴본다. 비점착성 유사의 입도 분포 모형은 점착성 유사의 입도 분포 모형으로부터 얻어지며, 1차원 유사 이동 모형과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흐름 조건에서 부유된 유사의 입도 분포를 모의할 수 있다. 여러 연구결과를 분석한 결과, 부유사의 입도 분포는 최빈치가 하나인 단최빈 분포(Unimodal Distribution)가 대다수를 차지하였으나, 최대 빈도가 두 개 이상 나타나는 쌍최빈 분포(Bimodal Distribution) 또한 흔히 나타나는 것이 확인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비점착성 유사의 입도 분포모형은 단최빈 및 쌍최빈이 나타난 실험실 실험 자료를 이용하여 검증된다. 단최빈의 입도 분포를 나타내는 실험 결과 2가지와 쌍최빈의 입도 분포를 나타내는 실험 결과 2가지를 이용하였을 때, 총 4가지의 다양한 유수동역학적 조건 하에서 비점착성 유사의 입도 분포가 합리적으로 모의되는 것이 확인된다.

  • PDF

A Framework for Size Distribution of Noncohesive Sediment (비점착성 유사의 입도 분포 모형에 관한 Framework)

  • Byun, Jisun;Son, Minwoo;Park, Byeoung Eun;Moon, Hye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82-282
    • /
    • 2017
  • 모래, 실트 및 자갈과 같은 비점착성 유사는 하천에서의 이동 형태에 따라 소류사와 부유사로 구분된다. 부유사는 난류로 인해 흐름 내에서 부유 상태로 이동하는 유사로, 대부분의 자연 하천에서 유사는 부유사 형태로 이송된다. 유수동역학적 조건 하에서 이동하는 부유사의 입도 분포는 유사 입자의 부유와 퇴적에 따라 불규칙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여러 연구에서 주요한 문제로 다뤄지고 있다. 부유사의 입도 분포는 흐름 유속, 부유사의 부유 높이, 하상 재료의 특성 등에 따라 변화하며, 로그 정규분포를 따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러 다양한 하천 흐름 조건에서 부유사의 입도 분포를 모의할 수 있는 입도 분포 모형에 관한 개념적 틀(Framework)을 제안한다. 유사 입자의 입도 분포 모의는 추계학적 방법의 적용을 통해 얻어진다. 본래 점착성 유사의 입도 분포를 모의하기 위한 추계학적 입도 분포 모형으로부터 제안된 개념적 틀로, 다양한 흐름 조건 하에서 특정 확률 분포형을 띠는 입도 분포를 모의할 수 있다. 점착성 유사의 이동 모형에서는 점착성을 띠는 유사 입자들의 응집 현상에 따른 크기 변화를 모의하기 위한 응집 모형이 필수적이다. 시간에 따른 크기 변화를 모의하는 응집 모형에서, 흐름 내 여러 특성들에 의해 결정되는 응집 인자와 달리 파괴 인자의 경우 불규칙적 난류 운동으로 인해 무작위한 특성을 띤다. 모형에서 요구되는 파괴 인자를 특정 확률 분포형을 띠는 난수로 고려함으로써 점착성 유사의 입도 분포 모형이 개발되었다. 이 때, 점착성 유사는 프랙탈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가정하기 때문에 크기에 따라 밀도와 침강 속도가 변화한다. 반면 비점착성 유사는 크기에 따른 밀도 변화가 일어나지 않으므로, 고정된 밀도와 프랙탈 차원을 적용하여 점착성 유사의 입도 분포모형으로부터 비점착성 유사의 입도 분포 모의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추계학적 방법의 적용을 통해, 하나의 경계 조건으로 대변되는 하상 특성에 따른 단점 또한 보완될 것으로 예측된다. 예를 들어 로그 정규 분포를 띤다고 가정할 때 보정을 통해 결정해야하는 변수는 평균과 분산으로 두 개가 요구된다. 유사의 평균 크기로부터 확률분포형의 평균값이 결정되면, 하상에 존재하는 유사의 특성에 따른 입도 분포의 분산은 난수의 분산을 결정함으로써 모의할 수 있다.

  • PDF

Effect of a Aggregate Moisture Content on Aggregate Gradation Analysis (비 절건상태 골재의 함수비가 골재입도분석 결과에 미치는 영향)

  • Kim, Nam-ho;Ji, Hyeong-jun;Yang, Hong-seok;Jeon, Sun-je
    • Journal of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 /
    • v.13 no.3
    • /
    • pp.559-566
    • /
    • 2021
  • The aggregate gradation analysis is a study that evaluates the accuracy of a specific purpose for the aggregate gradation analysis results essential for construction-related major education.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aggregate moisture content on aggregate gradation analysis. The change in the moisture content of the aggregate stored in the asphalt plant cold bin and stock piles was monitored for one year, and based on the results, a sample of aggregate with different moisture content was produced. The gradation curve for each aggregate sample was analyzed to evaluate the effect of aggregate moisture content on aggregate gradat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gradation evaluation, it was confirmed that as the moisture content increased, the particle size error for particles less than 5 mm increased in the gradation analysis of the oven-dried aggregate, and this error increased as the particle size decreased. In addition, for aggregate particles of 5 mm or m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error in gradation analysis rapidly decreased due to the increase in the moisture content. An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effect of the error in gradation analysis on the management of hot-bin aggregates in asphalt pla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minimum aggregate size of the first hot-bin in a general asphalt plant was 2.38 mm or more, so the maximum gradation error due to the non oven-dry aggregate was less than 2%. Therefore, it seems possible to use the results of the gradation analysis of cold bin non oven-dry aggregate for quality management of asphalt mixture production.

퇴적물의 분류를 위한 Landsat TM자료와 Hyperspectral reflectance 자료 적용

  • 유영철;송무영;안충현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0.04a
    • /
    • pp.178-182
    • /
    • 2000
  • 본 연구의 목적은 실험실에서 퇴적물의 다분광반사 특성과 물성을 측정하고 이를 위성 영상에 적용하여 영상에서 나타나는 퇴적물의 분광차이의 원인을 해석하고, 위성영상에서의 퇴적물의 분류 가능성을 연구하는데 있다. 연구에서는 Landsat TM위성 영상과 350~2500nm 파장대역에 대한 퇴적물 시료의 분광측정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기존의 조사 자료를 토대로 TM 영상에서 퇴적물을 분류한 후, 현장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입도 분류를 실시하였다. 퇴적물의 입도와 함수비에 따른 분광특성변화를 검증하였으며, 입도와 함수비에 대한 회귀식을 구하여 이를 영상에 적용 분류하였다. 분석 결과 다분광자료 측정시 퇴적물입도에 따른 분광차이는 미약하였으며 이를 TM 자료로 재구성하였을 때는 분광특성을 구분할 수 없었다. 퇴적물의 분류는 TM Band 4, 5, 7을 이용한 회귀식을 적용할 때 비교적 정확하게 나타났으나, 영상에서 퇴적물의 분광 차이는 입도 크기가 직접적인 요인이 아니라 입도에 의한 함수비 및 유기물 함량의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 PDF

Characteristics of Axial Solid Hold-up Distribution in a CFB Riser with 3-Loops (3개의 순화고리를 갖는 순환유동층 상승관에서의 축방향 고체 체류랑 분포 특성)

  • 이종민;김재성;김시문;김종진;송규근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9 no.4
    • /
    • pp.348-357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동해화력 순환유동층 보일러와 유사한 3개의 사이클론을 갖는 직사각형 구조의 순환유동층 반응기를 이용하여 동해화력 운전조건 -연소로 공기 속도, 일-이차 공기비, 전체 고체량(inventory), 입도 및 입도분포 등- 에 따른 축방향 고체 체류량 및 순환량 등의 수력학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상승관에서의 공기유속(U$_{0}$)이 증가함에 따라, 또는 PA/[PA+SA]비가 증가함에 따라, 그리고 전체 고체량(inventory)이 증가함에 따라 고채 채류량 및 순환량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넓은 입도 분포를 갖는 석탄 회재의 경우는 균일한 입도 분포의 입자들에 비해 입자 비산량 및 고체 순환량이 작을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층내에서의 고체 체루량 분포를 감소지수 a 및 K를 사용하여 나타낼 수 있었으며, a 및 K와 유속 및 입자간의 상관 특성치를 도출하여 유동 및 순환특성을 고찰하였다. 상기의 상관수는 균일한 입도의 모래에 비해 석탄회재가 비교적 큰 값을 나타내었으며, 상관수가 클수록 희박상 영역에서의 비산 및 고체 순환량이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다.

  • PDF

Effects of Gradation on Dynamic properties of Sands (모래의 입도가 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 송정락;김수일
    • Geotechnical Engineering
    • /
    • v.3 no.2
    • /
    • pp.7-16
    • /
    • 1987
  • The dynamic properties of soils are affected by parameters like, gradation characteristics, void ratio, confining pressure, etc. . This study mainly investigated experimentally the effect of gradation on the dynamic properties of sands with the effect of void ratio and confining pressure. Test results showed that shear modulus/damping ratio was increased/decreased with the decrease of void ratio and with the increase of confining pressure. When the fine content increased, shear modulus/damping ratio was decreased/increased. This study explained this phenomenon by the concept of the "effective number of contacts" and the "dead space".ot;dead space".uot;.

  • PDF

Dynamic Deformation Characteristics of Fiber Reinforced Soils with Various Gradation (여러 가지 입도분포를 갖는 섬유혼합토의 동적변형특성)

  • Mok, Young-Jin;Jung, Sung-Yong;Park, Chul-Soo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 /
    • v.7 no.1 s.23
    • /
    • pp.39-47
    • /
    • 2005
  • Fiber reinforced soils have recently implemented to fills and base layers of highways and railroads, and deformation behaviors of reinforced soils in turn should be investigated. The paper evaluated deformation characteristics of fiber reinforced sands and their effectiveness of reinforcement using resonant column tests. The specimens were prepared by varying gradation and mixing polypropylene staple fibers of 0.3% fiber content. Maximum shear moduli of reinforced sands were increased by up to 30% with increasing uniformity coefficient. Shear moduli of well-graded reinforced sands were larger than those of poorly-graded ones regardless of confining pressure in the whole range of shearing strain and reinforcement was, in turn, more effective with higher uniformity coefficient.

  • PDF

A Study on Aggregate Gradation of 10 mm Dense-graded Asphalt Mixture using Slag Aggregate (슬래그 골재를 사용한 10 mm 밀입도 아스팔트 혼합물의 골재입도 기준 연구)

  • Jo, Shin Haeng;Kim, Kyungnam;Kim, Nakseo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5 no.6
    • /
    • pp.1367-1375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10 mm aggregate specification for thin layer asphalt pavement using steel slag. Aggregate gradations of conventional dense-graded asphalt mixtures were made by fuller's model, whereas 10 mm dense-graded asphalt mixture was obtained tender mix due to close to the maximum density line. The proposed aggregate gradation specification was made to have enough VMA and well-interlocking refer to foreign standard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roposed aggregate gradation and the properties of mixtures were analyzed using Gradation Ratio (GR) and Compacted Aggregate Density (CAD). The CAD index has a high $R^2$ of 0.86-0.99 because the CAD index is able to reflect various aggregate properties. As the results of evaluation by CAD index the proposed aggregate gradation provides more reliable stability and VMA. The percent passing (%) of aggregate size smaller than 0.3 mm was limited 10% or more for improving crack resistance. This limitation increased for 15% of the asphalt mixture's toughness.

The Effects of Aggregate Gradations and SBS Modifier on the Viscoelastic Properties and Fatigue Performance of Asphalt Mixtures (골재의 입도와 SBS 개질재가 아스팔트 혼합물의 점탄성 물성 및 피로 공용성에 미치는 영향)

  • Lee, Hyun-Jong;Choi, Ji-Young;Cha, Soon-Man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 /
    • v.2 no.3
    • /
    • pp.129-144
    • /
    • 2000
  • This paper presents the characteristics of viscoelastic properties and fatigue performance of SBS modified asphalt mixtures depending on the aggregate gradation. Dynamic shear rheometer (DSR) and uniaxial tensile creep tests are performed to analyze the thermomechanical behavior of asphalt binders and mixtures, respectively. Uniaxial tensile fatigue tests for seven different asphalt mixtures are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aggregate gradations and SBS modifier on the fatigue performance of the mixtures. DSR and uniaxial tensile creep tests results show that the SBS modified asphalt mixtures have better rutting resistance than the unmodified mixtures at high temperatures regardless of the aggregate gradations used. Fatigue factor $G^*sin\delta$ in Superpave binder specification may not be adequate for evaluating the fatigue Performance of asphalt mixtures. It is observed from uniaxial tensile fatigue tests that SBS modified asphalt mixtures compared to unmodified mixtures have ten times longer fatigue lives regardless of the aggregate gradations(dense, SMA, and Superpave gradations) used in the mixtures. The better fatigue performance of the SBS modified mixtures is observed even after long-term aging process. The effect of aggregate gradations on the fatigue performance is not as significant as the SBS modifier. The cellulose fiber added in the SMA mixture has negligible effects on the viscoelastic Properties and fatigue performance of the mixture, but is effective in reducing draindown. Although the SBS modified asphalt binder is used, it may be necessary to add the cellulose fiber into the SMA mixture to prevent the draindown.

  • PDF

Grain Size Characteristics of the Asian Dust in Seoul and Relationship to Loess Sediments in the West Coast of Korea during the Spring (봄철 서울 지역에 발생한 황사의 입도 특성과 뢰스와의 관련성)

  • YOON, Soon-Ock;PARK, Chung-Sun;HWANG, Sangill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17 no.3
    • /
    • pp.77-88
    • /
    • 2010
  • The grain size characteristics of the Asian Dust(AD) in Seoul during the spring 2010 are analyzed by the different pretreatment procedures. The mean values of the AD samples by the minimal dispersion are 19~56㎛ and the NAD(Non-Asian Dust) samples are 37~92㎛. Contrastively, the mean values of AD and NAD samples by the ultimate dispersion are 13~20㎛ and 14~30㎛, respectively. It is revealed that the particles less than approximately 20㎛ and 40㎛ by the minimal and ultimate dispersion, respectively, are introduced into the atmosphere in the Korean Peninsular by the AD events with the peaks of approximately 0.5㎛, 1.5㎛ and 8.5㎛ by the minimal dispersion, and 0.5㎛ and 7.5㎛ by the ultimate dispersion. Also, the charateristics of AD samples showing similar grain size characteristics to the loess samples rather than the NAD samples indicates long distance origin from China so on. The differences of grain size characteristics between the AD and loess samples may result in duration and intensity of weathering proces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