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임플란트 종류

Search Result 87, Processing Time 0.03 seconds

설측 슬롯을 부여한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에서 내면 간격이 유지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ternal gap on retentivity in implant fixed prosthesis with lingual slot)

  • 김태균;이규복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206-211
    • /
    • 2018
  • 목적: 최근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 제작 시 나사 유지형 보철물의 교합적, 심미적 단점을 해결하고, 시멘트 유지형 보철물에서 착탈 용이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보철물 설측에 슬롯을 형성하는 방법이 소개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설측 슬롯을 부여한 시멘트 유지형 임플란트 보철물 제작 시에 내면 간격이 보철의 제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티타늄 지대주와 상부에 합착할 지르코니아 보철물 내면 간격을 30, 35, $50{\mu}m$의 3종류로 설정하여 종류별로 3개씩 총 15개를 제작하였다. 지르코니아 보철물은 티타늄 지대주의 선반 부위와 만나는 위치에서 1 mm의 공간이 생기도록 하여 탈착을 위한 슬롯(retrievable cement-type slot, RCS)을 형성하였다. 지대주와 지르코니아 보철물의 합착에는 자가 중합 레진 시멘트를 이용하였고, 합착 된 시편을 맞춤 제작된 장비를 이용하여 최대 제거 응력 값을 Ncm단위로 측정하였다. 통계적 분석으로 세 그룹을 비교하기 위해 Kruskal-Wallis 검정을 시행하였고 (${\alpha}=.05$), 사후검정으로 수정된 Mann-Whitney U-test와 Bonferroni correction 방법을 이용하여 차이를 보았다 (${\alpha}=.017$). 결과: 내면 간격이 $30{\mu}m$ 군과 $35{\mu}m$ 군간의 비교에 있어서 제거 응력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P = .032), $30{\mu}m$군과 $50{\mu}m$군, $35{\mu}m$군과 $50{\mu}m$군간을 비교 할 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P < .017). 결론: 그러므로 내면 간격은 지르코니아 보철물과 티타늄 지대주 사이의 유지력에 영향을 미쳤다.

지르코니아와 레진나노세라믹 임플란트 지대주의 두께에 따른 열순환 후 파절저항 (Fracture resistance of zirconia and resin nano ceramic implant abutments according to thickness after thermocycling)

  • 이정원;차현석;이주희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144-150
    • /
    • 2017
  •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심미적인 임플란트 지대주의 종류와 두께에 따른 파절 강도를 측정하여 구강 내 저작압에 견디는 최소한의 두께를 평가하기 위함이다. 재료 및 방법: 대조군으로 0.5 mm 두께의 티타늄 임플란트 지대주를(Ti-0.5), 실험군으로 지르코니아 임플란트와 레진 나노 세라믹 지대주를 사용하여 각각 0.5 mm, 0.8 mm, 1.0 mm 두께로 각 그룹에 10개씩 총 70개의 시편을 제작하였다(그룹Zir-0.5, Zir-0.8, Zir-1.0, RNC-0.5, RNC-0.8, RNC-1.0). 모든 시편은 파절 실험 이전에 열순환을 시행하여 구강 내에서의 사용을 재현한 후, universal testing machine을 이용하여 각 시편의 파절 강도를 측정하여 평균값을 측정하였다. 그룹들의 평균 파절 값을 측정하였으며 이원분산분석을 이용하여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Zir-1.0군이 가장 높은 파절 강도 $2,476.3{\pm}342.0N$를 보였으며 뒤를 이어 Zir-0.8 ($1,518{\pm}347.9N$), Ti-0.5 ($1,041.8{\pm}237.2N$), Zir-0.5 ($631.4{\pm}149.0N$), 의 순이었다. RNC 그룹의 경우에 Ti와 Zir 그룹에 비교하여 유의하게 낮은 파절 강도값을 나타내었으며(RNC-1.0 $427.5{\pm}72.1$, RNC-0.8 $297.9{\pm}41.2$), 모든 실험군에서 지대주 두께가 감소할수록 파절 강도 값도 유의하게 감소했다(P < .01). RNC-0.5 ($127.4{\pm}35.3N$) 그룹은 다른 모든 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값을 보였다(P < .05). 결론: 이번 실험에서 사용된 모든 두께의 지르코니아 지대주는 전치부와 구치부의 교합압을 견딜 수 있는 정도의 파절 강도를 보여주었다. 레진 나노 세라믹 지대주의 경우 0.8 mm 두께 이상에서 전치부의 교합압을 견딜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구내 스캔바디의 형태에 따른 임플란트의 디지털 스캔 정확도 및 구강 내 노출 높이에 따른 라이브러리 중첩 정확도 비교 연구 (Accuracy of implant digital scans with different intraoral scanbody shapes and library merging according to different oral exposure height)

  • 정병준;이영후;홍성진;백장현;노관태;배아란;김형섭;권긍록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9권1호
    • /
    • pp.27-35
    • /
    • 2021
  • 목적: 현재 임상에서 스캔바디를 이용한 임플란트의 디지털 인상이 활용되고 있으나 스캔바디의 형태에 따른 스캔의 정확도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구내 스캔바디의 형태에 따른 스캔의 정확도를 비교하고, 구강 내 노출 높이에 따른 라이브러리 중첩 정확도를 비교하기 위함이다. 재료 및 방법: 덴티폼 상에서 36번 치아를 삭제 후 모델 스캐너로 스캔하여 3D 프린터로 주모형을 출력하였다. 첫 번째 실험으로 세 종류(A, B, C)의 구내 스캔바디를 준비하여 각 그룹마다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하였다: 36번 부위에 임플란트를 이상적인 위치로 식립 후 스캔바디를 15 N으로 체결하였다. 스캔바디가 체결된 주모형을 모델 스캐너로 스캔하여 master reference file (대조군)을 STL (Standard Tessellation Language) file로 생성하였다. 이후 구강 스캐너로 10회의 연속적인 스캔을 시행하여 10개의 STL file (실험군)을 생성하였다. 3D 측정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대조군과 실험군들의 STL file들을 중첩한 후 좌표계 상에서 다음과 같은 값들을 도출하였다: 1) 스캔바디 상 특정 point의 거리 편차 2) 스캔바디 장축의 각도 편차. 두 번째 실험으로는 스캔바디의 구강내 노출 높이에 따른 라이브러리 중첩 정확도를 비교하기 위해 스캔바디 스캔 데이터를 7, 4.5, 2.5, 1.5, 1.0, 0.5 mm 총 6 가지 높이로 준비하여 라이브러리 파일과 중첩하였다. 전체가 노출된 7 mm 데이터를 대조군으로 하여 거리 편차와 각도 편차를 계산하였다. 결과: 첫번째 실험에서 A, B 스캔바디 간(P = .278), B, C 스캔바디 간(P = .568), C, A 스캔바디 간(P = .711) 스캔 파일의 거리 편차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A, B 스캔바디 간(P= .568), B, C 스캔바디 간(P = .546), C, A 스캔바디 간(P = .112) 스캔 파일의 각도 편차 또한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스캔바디는 구강 내 노출 높이가 높은 실험군(GH, Gingival Height = 4.5)의 라이브러리 중첩 정확도가 높이가 낮은 실험군(GH = 0.5)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P < .05). 결론: 스캔바디의 각기 다른 형태에 따른 스캔 정확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스캔바디의 구강 내 노출 높이에 따라 라이브러리 중첩의 정확도는 증가한다. 추후 in vivo 환경에서 더 다양한 형태의 스캔바디를 이용한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치과 진료실에서 3D 프린트의 활용 (Application of 3D printer in dental clinic)

  • 김현동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82-96
    • /
    • 2018
  • 3D 프린팅은 삼차원 이미지 정보를 이용하여 레이어로 분할한 후 선택한 소재를 적층하여 가공하는 방법을 말한다. 소재를 적층하는 방법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3D 프린팅이 존재하는데 최근 치과분야에서는 SLA방식과 DLP방식으로 광원을 이용한 경화를 통해 적층 가공하는 3D 프린팅이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전악 범위의 3D프린팅 치과용 모델은 전통적인 인상 채득으로 제작된 스톤모델보다는 다소 정확성이 부족한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같은 STL파일을 이용하여 4분악 범위를 3D 프린팅한 모델은 밀링 방법으로 가공한 모델보다 정확하였다. 디자인 소프트웨어의 활용도에 따라 보철치료의 진단, 임시 보철물의 제작, 의치의 제작이 가능하였다. 교정에서는 투명 교정 모델과 브라켓 간접 부착을 위한 트레이 제작이 가능하였다. 임플란트 수술에 있어서 CT를 기반으로 한 정확한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가이드 제작에 활용하고 있다. 출력 방식의 발전으로 인하여 3D 프린터의 출력시간이 계속적으로 단축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치과 진료실 내에서 3D 프린터가 기존의 전통적인 가공 방법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ORIGINAL ARTICLE - 임플란트 종류 및 식립부위에 따른 안정성에 대한 RFA 분석 (ORIGINAL ARTICLE - Analysis of RFA related to stabilities by types and areas of dental implants)

  • 이희용;박민주;조현재;유기준;하정은;백대일;배광학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0권1호
    • /
    • pp.31-37
    • /
    • 2012
  • Objective : This research compared stabilities between two types of dental implant ($SLA^{TM}$, Institut Straumann AG, Waldenburg, Switzerland and $SSII^{TM}$, Osstem co, Busan, Korea) using Osstell Mentor (Integration Diagnostics AB, Goteborg, Sweden) considering surgery methods, surgery area, diameter of implant, systemic disease, and smoking for obtaining prognosis information when installing fixture of dental implant. Materials & Methods : 206 implants of 131 patients taken by resonance frequency analysis (RFA) were determined as a final sample. Dental implants were installed as protocol of supplier by a excellent dentist who had 10 years experience about dental implants. Before connecting abutments (3 months after installation of fixture), RFA were measured twice for buccal and lingual direction to obtain average value. Results : Dental implants at mandibl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tabilities significantly than at maxilla (p<0.001). Diameter 4.8 implants had also higher stabilities than diameter 4.1 in case of $SLA^{TM}$ implants (p<0.001). $SLA^{TM}$ implants showed more excellent stabilities than $SSII^{TM}$ implants, especially at posterior area of mandible (p=0.045) and premolar area of maxilla (p=0.032). Conclusions : This research revealed higher stabilities of $SLA^{TM}$ implants than $SSII^{TM}$ implant, especially at posterior area of mandible (p=0.045) and premolar area of maxilla (p=0.032).

이식된 자가골의 종류와 형태에 따른 임플란트 변연골 흡수량에 관한 후향적 연구 (The retrospective study of marginal bone loss around dental implants according to different autogenous bone grafts)

  • 김태이;김예미;김지연;김명래;김선종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7권6호
    • /
    • pp.483-489
    • /
    • 2011
  • Introduction: This study examined the cumulative resorption of implants placed in a severely atrophic mandible and analyzed the radiologic bone resorption in the marginal bone, after an autogenous bone graft including both block and particulates that had been harvested from the ramus and iliac crest.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on patients who had bone grafts for augmentation followed by implant installation in the mandible area from 2003 to 2008. Twelve patients (6 men and 6 women) who received 34 implants in the augmented sites were evaluated. Cumulative radiologic resorption around the implants was measured immediately, 3 months, 6 months and 12 months after implant installation surgery. Results: The installed implant in grafted bone showed 0.84 mm marginal bone resorption after 3 months and 50% total cumulative resorption after 1 year. The mean marginal bone resorption around the implant installed in the grafted bone was 0.44 mm after 3 months, 0.52 mm after 1 year, after which it stabilized. The implant survival rate was 97% (failed implant was 1/34). Marginal bone resorption of the installed implant in the autogenous onlay block bone grafts was 0.98 mm after 3 months,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a particulated bone graft (0.74 mm) (P <0.05). Conclusion: An autogenous graft including block type and particulate type is a predictable procedure for the use of dental implants in a severely atrophic mandible. Implant placement in augmented areas show a relatively high survival and minimal bone loss, as revealed by a radiologic evaluation.

골유도 재생술식(GBR)시 차단막 종류에 따른 임플란트 결과 비교 (A Comparison of the Appearance in Implant Success according to Membrane Type during GBR(Guided Bone Regeneration))

  • 이선미;김지영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41-47
    • /
    • 2014
  • Purpose : The aim was to compare the implant success rate according to membrane type through a clinical case of patients, who used bio-resorbable membrane and non-resorbable membrane. Methods :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patients with the use of bio-resorbable membrane and non-resorbable membrane who visited H dental clinic in Busan for implant surgery and bone graft for 1 year from May 2010 to May 2011. A chart was made and surveyed for 100 people with non-resorbable membrane and for 75 people with bio-resorbable membrane. Results were compared. Results : 1. As for the measurement value of Periotest M${(R)}$, the value of -8~0 was measured with 92% in case of surgery by using non-resorbable membrane. The value of +1~+9 was measured with 8.0%. In case of surgery by using bio-resorbable membrane, Peiotest M(R) was measured with 78.7% as for the value of -8~0 and 16(21.3%) as for the value of +1~+9. In light of this, a case of using non-resorbable membrane was indicated to be higher(p=0.021) in success rate than a case of using bio-resorbable membrane. 2. As a result of periodontal conditions, namely, bleeding(p=0.914), swelling(p=0.500), inflammation(p=0.074), pain(p=0.571), and itch appearance(p=0.475) according to membrane type, all were insignificant. Conclusions : A case of using non-resorbable membrane is considered to be likely to be more effective than using bio-resorbable membrane during GBR(Guided Bone Regeneration) with the use of membrane in implant surgery.

Resonance Frequency Analysis(RFA)를 이용한 임플란트 종류간의 초기 안정성 비교 (Comparison of initial implant stability measured by Resonance Frequency Analysis between different implant systems)

  • 오준호;장문택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8권3호
    • /
    • pp.529-534
    • /
    • 2008
  •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initial implant stability measured by RFA between different implant systems during the initial healing period. Material and Methods: Fifty-four patients (36 males/18 females) who had been treated at the Department of Periodontolog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during the period between January and November in 2007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49 years old (18 to 77). A total of 104 implants (Type A: 3i $Osseotite^{(R)}$, Type B: $Replace^{(R)}$ select, Type C: ITI implant) were placed following the manufacturer's standard surgical protocols. Implant stability quotient (ISQ) readings were obtained for each implant at the time of surgery, 2-, and 4-month postoperatively. Result: No implant was failed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 At the baseline, the difference between mean ISQ values of 3 implant system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However, at 2-, and 4-month following implant surgery,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ISQ values of the implant systems. In the same implant, the ISQ values of Type B and C implants increased (p<0.05), but those of Type A implants decreased during the 2-month healing period. The mean ISQ values of Type B and C implants showed a increasing tendency, while those of Type A implants were stable for the 4-month follow-up period. Conclusion: Within limits of this study, it can be concluded that implant design and surface topography of implant might influence the ISQ value and changing pattern during the initial healing period.

두 종류의 구치직립 스프링 사용시 저항원 및 근심경사치의 동적인 치아이동 양상에 관한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dynamic tooth movement of two molar uprighting springs by calorific machine)

  • 전윤식;노준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73-285
    • /
    • 2000
  • 본 연구의 목적은 1200g.mm의 모멘트를 발생시키는 두 종류의 canti-lever형 구치직립 스프링 중 치관직립형(crown uprighting)과 치근직립형(root uprighting)을 Calorific machine 상에 각 각 5회씩 적용하여 나타난 저항원 및 근심경사치의 동적인 치아이동 양상을 좀더 구체적으로 비교해 보는데 있다. 열 발생 및 온도조절 장치, 실험용 치아, 그리고 실험용모델로 구성 된 Calorific machine을 이용하여 치아이동 전, 후에 얻어진 2장의 교합X-선사진 상에 X-선 불투과상으로 나타난 두 개의 임플란트를 기준 표지점으로 중첩함으로써 치아이동 전후의 시상면과 교합면 상에서의 위치변화를 확인하였다. 각 스프링의 변화량을 2회씩 계측한 결과 조사자내 동의율(intra-examiner agreement)과 조사자간 동의율(inter-examiner agreement)은 $96.54\%$$95.73\%$였으며 각 스프링의 실험 전, 후의 유의성 검증과 두 스프링간의 유의성 여부를 짝비교(Paired t-test)로 통계처리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1. 치관직립 스프링 보다 치근직립 스프링을 사용할 때 저항원의 상실량이 원심 및 협측방향으로 크게 나타났다. 2. 치관직립 스프링 사용시 경사치 치관의 원심이동량은 ,3.29mm 였으나 치근직립 스프링은 1.68mm 였다. 3. 치관직립 스프링 사용시 경사치의 근, 원심 치근의 전방 이동량은 각각 3.91mm, 3.60mm였으나 치근직립 스프링에서는 각각 6.76mm, 6.26mm였다.

  • PDF

임플란트 피개의치를 위한 개별유지형 어태치먼트의 유지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tentive Force of Stud Attachments for Implant Overdenture)

  • 송은주;배은빈;최재원;배지현;김지영;이소현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93-100
    • /
    • 2016
  • 이번 연구에서는 두 종류의 어태치먼트 시스템인 Kerator와 O-ring의 다양한 유지력을 가지는 matrix를 사용한 반복적인 착탈 후 평가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초기 유지력은 KP군($62.09{\pm}6.00N$)에서 높았으며, 이어서 KR군($32.83{\pm}4.40N$), KB군($12.69{\pm}3.32N$), OO군($9.55{\pm}1.33N$), 그리고 OR군($9.35{\pm}0.71N$) 순으로 나타났다. 유지력 소실량은 KP군($22.26{\pm}8.02N$)에서 가장 높았으며, KR군($6.23{\pm}3.04N$), OO군($6.03{\pm}1.24N$), OR군($5.81{\pm}0.73N$), 그리고 KB군($0.87{\pm}1.46N$) 순으로 나타났다. 각 군 내의 초기 유지력과 2,500회의 착탈 후의 최종 유지력을 비교하였을 때, KB군을 제외한 모든 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어태치먼트 표면 마모양상은 Kerator와 O-ring의 matrix에서 눈에 띄는 변형과 손상이 관찰되었다. 각 patrix에서는 유지력 소실에 기여할 만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어태치먼트의 종류, 재료 그리고 초기 유지력 차이에 따라 마모양상이나 유지력 소실에 차이가 있음을 확 인하였고, 유지력이 보존되는 것처럼 보여도 SEM으로 관찰하였을 때 어태치먼트의 내부가 상당히 변형된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적절한 유지력을 가진 어태치먼트를 선택하고 각 어태치먼트 시스템 별 적절한 교체시기를 숙지하여 그에따른 사용기간의 준수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