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xperimental study on the dynamic tooth movement of two molar uprighting springs by calorific machine

두 종류의 구치직립 스프링 사용시 저항원 및 근심경사치의 동적인 치아이동 양상에 관한 연구

  • Chun, Youn-Sic (Division of Orthodontics, Department of Dentistry, College of Medicine, Ewha Womans University) ;
  • Row, Joon (Division of Orthodontics, Department of Dentistry, College of Medicine, Ewha Womans University)
  • 전윤식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치과학교실 교정과) ;
  • 노준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치과학교실 교정과)
  • Published : 2000.06.01

Abstract

The aim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evaluate the differences of two canti-leyer springs by using a new simulation system. This was done using a Calorific machine that compared iron uprighting spring and root uprighting spring. The Calorific machine was designed to allow observation of the whole process of tooth moving, and is composed of three parts(a temperature regulating system, electro-thermodynamic teeth, and an artificial alveolar bone component). The experiment of both mechanics were repeated five times and measured two times. The intra-examiner agreement and inlet-examiner agreement were $96.54\%\;and\;95.73\%$ and these data were statistically tested by paired t-test.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Distal and buccal movement of the anchor teeth were observed greater in the root uprighting spring than the crown uprighting spring. 2. Crown uprighting spring showed distal movement of the crown of lower second molar for 3.29mm but root uprighting spring showed only 1.68mm. 3. Crown uprighting spring exhibited forward movement of mesial and distal root of the lower second molar for 3.91mm, 3.60mm but the root uprighting spring showed 6.76mm, 6.26mm.

본 연구의 목적은 1200g.mm의 모멘트를 발생시키는 두 종류의 canti-lever형 구치직립 스프링 중 치관직립형(crown uprighting)과 치근직립형(root uprighting)을 Calorific machine 상에 각 각 5회씩 적용하여 나타난 저항원 및 근심경사치의 동적인 치아이동 양상을 좀더 구체적으로 비교해 보는데 있다. 열 발생 및 온도조절 장치, 실험용 치아, 그리고 실험용모델로 구성 된 Calorific machine을 이용하여 치아이동 전, 후에 얻어진 2장의 교합X-선사진 상에 X-선 불투과상으로 나타난 두 개의 임플란트를 기준 표지점으로 중첩함으로써 치아이동 전후의 시상면과 교합면 상에서의 위치변화를 확인하였다. 각 스프링의 변화량을 2회씩 계측한 결과 조사자내 동의율(intra-examiner agreement)과 조사자간 동의율(inter-examiner agreement)은 $96.54\%$$95.73\%$였으며 각 스프링의 실험 전, 후의 유의성 검증과 두 스프링간의 유의성 여부를 짝비교(Paired t-test)로 통계처리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1. 치관직립 스프링 보다 치근직립 스프링을 사용할 때 저항원의 상실량이 원심 및 협측방향으로 크게 나타났다. 2. 치관직립 스프링 사용시 경사치 치관의 원심이동량은 ,3.29mm 였으나 치근직립 스프링은 1.68mm 였다. 3. 치관직립 스프링 사용시 경사치의 근, 원심 치근의 전방 이동량은 각각 3.91mm, 3.60mm였으나 치근직립 스프링에서는 각각 6.76mm, 6.26mm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