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임종간호

검색결과 152건 처리시간 0.022초

임상간호사의 임종환자 간호체험 (The lived experience of nursing care for the dying patients in clinical nurses)

  • 강성례;이병숙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37-251
    • /
    • 2001
  • It is important for nursing managers to understand the lived experience of nursing care for dying patients in clinical nurses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them. The purpose of this Phenomenological study was to explore the lived experience of nursing care for the dying patients in clinical nurses and identify the meaning and structure of their lived experience.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1 of June, 2000 to 1 of November, 2000. Data were collected with several in-depth interviews until data were fully saturated, from 1 of June, 2000 to 10 of September, 2000. The Subjects were five nurses who had more than three-year job experience in caring for dying patients, three protestant christians and two atheists, one married and four unmarried persons. The range of their age was from 28 to 36. Data were analysed by the Colaizzi's methodology. Ten themes were extracted from fifty-one fomulated-meanings. Fomulated-meanings were extracted from the restatements and the significant-statements which were deriven from the raw data. Finally ten themes took form of five structures. Five structures of 'The lived experience of nursing care for the dying patients in clinical nurses' were : 1. Experiencing guilty feeling and anger due to their and other's manneristic and ignored attitude toward dying patients 2. Feeling heartily the necessity of the education of hospice care because of their incompetence due to lack of knowledge of hospice care 3. Recognizing the human rights of dying patient's thinking themselves and their families 4. Felling satisfaction with their nursing accomplishments and reflecting their life through nursing care of the dying patients 5. Experiencing low self-respect due to the other's negative perspective toward their job The results of the study would give useful information to nursing managers to understand the lived experience of nursing care for dying patients in clinical nurses and establish adequate strategies to support them.

  • PDF

가정전문간호사의 죽음인식과 죽음 불안이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Association of Perceptions and Anxiety of Home Health Nurses about Death, on their Attitudes to Terminal Care)

  • 김숙희
    • 가정∙방문간호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51-262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xtent to which in-hospital-based home health nurses' perceptions and anxiety about death following terminal care, affects their attitudes toward terminal care. Methods: The subjects were 128 advanced practice nurses working in hospital-based facilities for home health care, located in Seoul, Gyeonggi-do, and Incheon Metropolitan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3, 2019, to June 3, 2019,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on terminal care and related variables based on the literature. Data were analyzed by performing the Student's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variable stepwise regression using the SPSS Version 25.0 program. Results: The scores of the attitudes toward terminal care of home health care nurses was 3.25 points out of a possible 4 points. Factors affecting nurses' attitudes toward terminal care were their concern about death(β=0.45, p<0.001), religion(β=-0.26, p=0.001) and the anxiety of others about dying(β=-0.23, p=0.003), which explained 32.0% of the observed variance concerning the factors affecting nurses' attitudes toward terminal care.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concern about death, anxiety about how other people process dying, and religion, were found to be associated factors. The more concerned the nurses were about death and the less their anxiety about how others process dying, the better the home health care nurses' attitude toward implementing terminal care.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임종기 치료, 연명치료,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Knowledge regarding Advance Directives among Community-dwelling Elderly)

  • 홍선우;김신미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30-340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level of Korean elderly's knowledge regarding concepts of end-of-life (EOL), Life-sustaining-treatment (LST), and advance directives (AD) which are critical aspects for establishing AD in Korean society. Methods: A questionnaire survey was done between October 2011 and February 2012. Knowledge of AD was evaluated with 3 aspects including EOL, LST, and AD utilizing a questionnaire that was developed by authors for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268 community dwelling elderly from three cities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a Scheffe post hoc test with SAS Ver. 9.1 program. Results: Overall, Korean elderly were poorly acquainted with AD related concepts. Significant differences in awareness of AD including understanding of EOL, the level of comprehension of LST, and knowledge about AD were revealed by gender, education level, economic state, and acquaintance with terms of AD or LST. Conclusion: To acknowledge autonomy and support quality of life for elderly and to meet the purpose of AD, attention should be given to target populations including elderly in terms of knowledge level related to AD, social marketing, and infra structure relevant to practice AD in our society.

아동의 임종에 관한 간호사의 인식과 이직 의도 (Pediatric Nurses' Perceptions related to End-of-Life Care and Turnover Intention)

  • 백숙영;강숙정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4권4호
    • /
    • pp.353-363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ediatric nurses' perceptions regarding in end-of-life care and turnover intention. Method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was performed among 111 hospital nurses. Pediatric nurses' perceptions of obstacles and supportive behaviors were measured using the Pediatric Nurses' Perceptions of End of Life Care Questionnaire which was translated into Korean and turnover intention was measured using the Korean Nurse Turnover Intention Scale (K-NTIS). Results: The supportive behavior with the highest perceived magnitude was 'Physicians who are compassionate, but very clear about prognosis.' The obstacle with the highest perceived magnitude was 'Instigating painful treatments when there is no hope of recovery.' Pediatric nurses' perceptions of obstacles in end-of-life car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whether nurses received end-of-life care education (t=2.02, p=.046). The perception of obstacles in end-of-life car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urnover intention (intensity r=.28, p=.002) (frequency r=.20, p=.027).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pediatric nurses' perception of obstacles and supportive behaviors in end-of-life care need to be assessed when considering turnover intention. Furthermore, psychological counseling should be offered to nurses to prevent burnout and reduce moral distress which is correlated with the turnover rate.

일 지역 요양시설의 임종돌봄서비스 (Terminal Care in Nursing Homes)

  • 김정희;문경숙;신복순;장은아
    • 가정∙방문간호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16-227
    • /
    • 2015
  • Purpose: This study aimed at understanding terminal care provided in nursing homes. Method: An interview survey with staff in charge of terminal care was conducted in 97 nursing homes using questionnaires. The questionnaire was reviewed by 3 experts and pretested at 5 facilitie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and Fisher's exact test. Result: Dyspnea was the most prevalent symptom predicting death. The most prevalent services were vital sign check for physical care, providing services by talking despite an unconscious state for psychosocial care, and respecting the faith of the elder for spiritual care. Employment of a registered nurs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ube feeding (p=.035), analgesic administration (p=.022), informing the elder of end-of-life state (p=.020), helping an elderly person say good-byes through a visit with friends and acquaintances (p=.023), and helping express feelings related to death (p=.002). Lack of service was noticed for elderly resident, family, and staff after death of an elder. Problems related to terminal care were indifference of family members, difficulty in obtaining medical prescription, difficulty in predicting death, and so forth. Conclusion: Terminal care must be improved by making specific guidelines and it must become a part of nursing home evaluation.

노인요양시설 간호사의 임종 징후 관리에 대한 인식 (Nurses' Perceptions Regarding Sign & Symptom Management in End of Life Care in Nursing Homes)

  • 임세현;장성옥;김미소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09-219
    • /
    • 2010
  • Introduction: The phenomenon related to sign & symptom management for end of life of the patients is of interest to researchers in nursing society toda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and to conceptualize the factors of sign & symptom management in end of life care though nurses' perceptions on this phenomena. Methods: The qualitative study method was used to explore the experienced nurses' perceptions related to sign & symptom management in end of life care. It included a field study carried out in South Korea using in-depth interviews with 30 experienced nurses from three nursing home facilities. Results: This study identified the following categories related to end of life care with sub-categories for each category: (1) nurses' modes in identifying the signs related to patients' end of life, (2) nurses' perceived directions on patients' end of life care, (3) nurses' perceived strategies in end of life care and (4) nurses' perceived barriers in end of life care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characteristics of the way nurses' provide for patients' end of life care are identified, along with how nursing decisions are made to manage the sign & symptom indicating patients' end of life.

간호대학생의 영적안녕과 죽음에 대한 인식태도에 관한 연구 (Spiritual Well-Being and Perception of Death in Nursing Students)

  • 이현주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7권1호
    • /
    • pp.29-36
    • /
    • 2004
  • 목적: 임종환자의 죽음에 대한 인식태도는 그들의 남은 삶의 기간동안 겪게 될 고통이나 삶의 질을 결정하게 되는 중요한 요소로써 간호제공자의 그것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된다. 그러나 이제까지의 연구들은 주로 대상자에만 초점을 두어 진행을 해왔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간호제공자 입장에서의 죽음에 대한 인식태도를 파악해 보고자 간호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죽음에 대한 인식태도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또한 죽음에 대한 인식태도가 영적안녕 상태와 관계가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3년 5월부터 6월 사이 일 대학 간호학생 19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죽음에 대한 인식태도와 영적안녕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총 191부를 수거하여 이 중 응답이 누락되지 않은 175부를 자료분석에 사용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죽음인식에 대한 태도와 영적안녕 상태는 기술적 통계를 사용해 분석하였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죽음인식태도와 영적안녕 상태는 t-test, ANOVA를 사용해 분석하였고, 죽음에 대한 인식태도와 영적안녕 상태의 관계분석에는 Pearson's correlation을 사용하였다. 결과: 연구대상자의 영적안녕 상태는 $50.9943{\pm}10.7235$이며, 종교와 경제활동 유무에 따른 영적안녕 상태에서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죽음에 대한 인식태도는 $20.4914{\pm}2.6280$이었으며, 성별과 연령에 따라 통계적으로 집단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들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영적안녕 상태 간에는 유의한 순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261, P=.000). 결론: 본 연구를 통해서 간호대학생의 영적안녕 상태와 죽음에 대한 인식태도 간에 상호관련성이 있음이 밝혀졌다. 이는 임종과정을 경험하는 대상자들의 죽음에 대한 인식태도에 간호제공자의 죽음에 대한 인식태도가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기존의 연구결과와 더불어 고려해본다면 영적간호 교육에서 대상자 뿐만 아니라 간호제공자의 영적안녕 상태와 죽음에 대해 인식하는 태도 또한 교육내용에서 중요하게 다뤄져 할 부분임을 시사하는 바라고 여겨진다.

  • PDF

생의 마지막 단계.삶의 완결.완화간호 모델 (The Last Phase of Life.Life Completion.Palliative Care Model)

  • 김달숙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2권3호
    • /
    • pp.115-121
    • /
    • 2009
  • 근래의 호스피스 완화 서비스에 대한 국가의 관심과 지원 정책은 매우 고무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호스피스 완화 의료의 정착과 발전이라는 명목을 가지고 우리는 호스피스 완화간호와 관련된 우리 주위의 현실에 비판과 반영의 눈으로 돌아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호스피스 철학에 부합되는 완화 간호 모델을 찾아내어 생의 마지막 단계에 있는 사람과 가족의 완화 간호에 적합한 모델인가를 심사하는 것은 목적으로 하였다. 소개되고 심사된 모델은 Eagan, Labyak의 호스피스 경험 모델과 Byock의 삶의 완결(life completion)을 위한 성장 모델이었다. 호스피스 경험 모델은 생의 마지막 단계에 있는 환자와 가족의 경험과 가치관에 근거한 임종 간호 모델로서 개개인의 경험의 독특성을 인정하며 환자 가족 개개인의 다 영역의 역동성과 상호작용적 관련성과 다 영역적 특성을 가진 개개인의 상호 관계성을 인정한다. 또한, 생의 마지막 단계에서도 다 영역적 상호 관계성은 긍정적인 성장과 발달을 만들 수 있음을 인정한다. 이 모델은 생의 마지막 단계에 있는 개인과 가족의 개개인 요구에 부합된 삶의 질 개선, 고통 제거, 삶의 완결, 좋은 죽음을 이끄는 완화 간호를 이끌 수 있다고 평가되었다. Byock의 성장 모델은 임종의 시기를 마지막 삶의 발달 단계로 보았다. 이 모델은 생의 마지막 단계에 있는 개인과 가족을 삶의 완결의 과정을 경험할 수 있는 존재로 보았다. 모델은 세속적인 일/사회적인 일/개인적인 관계들/개인 내재적인 영역/초월적 영역들의 세부 항목으로 이루어진 이정표와 발달 과업을 포함한다. 이 모델에서는 전문 의료인이 이정표 및 과업을 이용하여 성장의 주체의 변화를 얼마나 잘 파악하여 내고 도와주는 가가 환자 및 가족의 성장의 열쇠가 되며 한 인간이 인간 실존 안에서 삶을 마칠 수 있게 만드는 결과를 낼 수 있다.그 결과 개인은 평화와 안녕 속에서 삶을 마감할 수 있다. 이 두 모델은 호스피스 철학에 부합되는 완화 간호의 모델로 고려되었다.

  • PDF

종합병원의 뇌.척수.근골격계 입원환자의 가정간호요구 (The Demand for Home Nursing Care of Hospital Inpatients in Brain-Spine and Musculoskeletal Diseases)

  • 김상순;김재귀
    • 가정∙방문간호학회지
    • /
    • 제1권
    • /
    • pp.57-70
    • /
    • 1993
  • 본 연구는 입원환자들의 가정간호사제도에 대한 찬반여부 및 가정간호 서비스 내용과 그 요구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대구시내 3개 종합병원에서 1993년 9월 6일부터 10월 9일까지 뇌질환, 척추질환 및 근골격계질환으로 입원한 환자중 퇴원예정에 있는 환자 242명을 대상으로 설문지에 응답하도록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가정간호제도를 찬성한 환자는 66.1%(161명)이었으며 반대는 33.5%(81명)이었다. 환자의 일반적 특성별로는 30세에서 49세 사이가 75.5%, 중소도시에 거주하는 75.9%로 높은 찬성율을 보였다. 특히 의료보호 환자군에서는 40.0% 낮은 찬성율을 보였다. 척추손상 환자의 75.6%가 찬성한 반면 복합질 환자는 54.5%의 찬성율을 보였다. 그리고 거동 가능한 환자의 69.4%, 임종을 기다리는 환자의 80.0% 및 조기퇴원을 희망하는 환자의 73.9%가 가정 간호사제도를 찬성하였다. 가정간호사제도를 찬성하는 환자(161명)의 찬성 이유는 주치의와 계속적인 연결을 갖고 싶어서가 37.3%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 병원에 오기가 블편해서였고 기능적 상태에 따라 찬성 이유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가정간호사제도를 반대하는 환자(81명)의 이유를 보면 병원보다 질이 낮을 것같다가 가장 많았고, 방문이 번거롭다 및 가정에서 가족이 돌볼 수 있어서의 순이였다. 조기퇴원을 원하는 환자는 74.8%였으며 조기퇴원 이유는 병원생활이 지루하기 때문에가 57.5%로 가장 많았고, 조기퇴원을 원하지 않는 환자는 질병상태에 대한 불안감 때문에가 54.0%로 가장 높았다. 가정간호사제도를 찬성한 환자들에게 가정간호서비스 내용을 23개 항목으로 나눈 요구 빈도에서 앞으로 수혜받기를 원하는 가정간호활동 내용은 회복촉진, 합병증예방, 상담 및 건강관리지도로 76.4%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의 투약관리 및 지도 (62.1%), 활력증상의 정기적인 측정(555.9%)의 순이었고 임종간호(3.7%) 및 호흡유지를 위한 간호(9.9%) 등은 요구빈도가 가장 낮았다. 가정간호서비스 항목에 있어서 진단내용, 환자의 기능적 상태, 합병증 유무 등에 따라서는 큰 차이 없이 회복촉진, 합병증예방상담 및 건강관리지도 항목에서 가장 높은 요구도를 나타냈고 나머지 간호요구는 큰 차이가 없었다.

  • PDF

자율실습에서의 상호동료 교수법 적용경험에 대한 융합적 연구: 핵심기본간호술 투약간호를 중심으로 (A convergence study on the experience of applying the self-directed practice reciprocal peer tutoring: Focusing on medication nursing of fundamental core nursing skills)

  • 김경화;임종미;장양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229-238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상호동료 교수법을 적용한 핵심기본간호술 자율실습(투약단원을 중심으로)이 간호대학생의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함이다. 연구참여자는 간호학과 4학년 학생 15명이었으며,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학습동기 유발', '자기주도 학습', '성취도 향상', '학습요구 불충족'의 4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상호동료 교수법을 적용한 핵심기본간호술 자율실습은 참여자들에게 편안한 환경과 자신감 향상으로 학습동기를 유발하고, 주도적인 사전학습 및 학습자의 언어로 학습할 기회를 얻는 긍정적인 경험이 있었다. 하지만, 추가적인 지식확장이 어렵고 충분하지 않은 학습요구로 불안감을 느끼는 경험도 있었다. 이에 상호동료 교수법을 자율실습에 적용할 때, 교수자는 학습자의 학습요구를 충분히 만족시키는 방안을 적용하면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