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임원경제지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1초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에 나타난 정원조영 연구 - 「이운지(怡雲志)」와 「상택지(相宅志)」를 중심으로 - (A Study on Garden Construction in 「ImwonGyeongjeji」 - focusing on the 「Yiwunji」 and 「Sangtackji」 -)

  • 김규섭;이재근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2-30
    • /
    • 2014
  • "임원경제지"는 동아시아 그리고 세계적으로도 유래가 없는 백과사전으로 가치를 인정받고 있으나, 다양하게 취급되어진 분야 및 방대한 내용면에서만 평가가 이루어졌다. 또한"임원경제지"관련한 대부분의 학술연구도 편찬시기의 정세(政勢)인 농업에만 초점을 맞춰 연구가 진행되어 단순한 농서(農書)의 개념으로 해석하여 왔다. 이에 본 연구는 19세기 조선시대 서유구에 의해 편찬된 것으로 알려진"임원경제지"영인본의 조경관련 내용 중 임원조영이론과 조영맥락을 분석하고,"임원경제지"에 기술된 전통조경의 원리 및 기법에 주목하여 한국의 전통조경 작정서로서의 가치를 조경학적 관점에서 파악하였다."임원경제지"의 분석한 결과 '조경요소에 대한 전문성', '구성 체계의 우수성', '우리나라 현실에 적합한 토착성', '저작을 위한 환경요인의 우수한 가치 제고' 면에서 다른 동양 주변국의 유사 조경서들과 견주어도 한국의 대표 '조경기술서'로서 가치와 위상을 충분히 갖추고 있다는 사실에서 그 중요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문진형(文震亨)의 장물지(長物志)와 서유구(徐有榘)의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가 조선 후기 사대부 정원에 미친 영향 (The Impact of Jangmulji compiled by Mun, jin-hyung & Imwonkyungjaeji compiled by Seo, yu-gu on the Garden of Gentry in Late Joseon)

  • 천요화;신현실;이원호;김동현;김재웅;조운연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4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27-12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정원 관련 저술서인 장물지와 임원경제지를 통해 한 중의 정원문화 특성을 도출하고 그 관계성을 고찰한 결과, 장물지와 임원경제지는 방대한 양의 자료수집을 통한 정원문화 집대성이라는 측면에서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었으며 입지, 건조물, 수목식재, 수경요소, 동물의 사육 등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부분이 다수 나타나는 점은 각각의 정원문화에 있어 영향관계가 성립했을 것으로 보인다.

  • PDF

한국전통염색방법의 비교연구 - 상방정례, 규합총서, 임원경제지, 탁지준절을 중심으로-

  • 유명님;노의경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004년도 제17차 학술대회
    • /
    • pp.166-166
    • /
    • 2004
  • 전통염색은 합성염료가 공해를 수반하는데 반하여 오히려 득이 되며 염료 자체가 갖고 있는 색의 복합성 때문에 추출색은 가장 자연스럽고 아름답다. 이렇듯 훌륭한 선조들의 문화유산이 편리한 합성염료로 인하여 그 전통과 단절되어 있으므로, 이를 전승발전시키기 위하여 상방정례, 규합총서, 임원경제지, 탁지준절 등의 문헌에 수록된 전통 염색방법을 비교하였다. (중략)

  • PDF

서유구(徐有榘)의 향촌 주거환경 조성에 관한 구상 (Seo Yu-gu's Design Concept for a Rural Residential Landscape)

  • 심명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27-137
    • /
    • 2022
  • 이 논문은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제14지 『이운지(怡雲志)』의 1권 「형비포치(衡泌鋪置)」에 수록된 향촌의 주거환경 조성에 관한 서유구(徐有榘, 1764~1845)의 구상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임원경제' 기획 실천을 위한 토대인 향촌의 주거 공간은 서유구가 『임원경제지』를 통해 지향한 바를 관찰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로서, 본고에서 논의하고자 하는 <원림·간소(園林·澗沼)>는 「형비포치」를 구성하는 네 부분 중 두 번째 주거환경 및 조경을 과 관련된 내용이다. 서유구는 <원림·간소(園林·澗沼)>를 통해 당시 문인들 사이에 이상적 정원에 대한 영감을 준 정도로 이해되었던 명말 유민 황주성의 「장취원기」를 조선적 풍수관에 입각해 해독하고, 장취원의 내용으로부터 배운 이상적 주거환경 조건을 조선의 향촌 주거에 실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본고에서 고찰한 서유구의 중국문헌에 대한 접근 방식과 이를 통해 배운 내용을 조선에 적용하는 태도는 『임원경제지』<예언(例言)>에서 천명한 '조선만을 위한 내용을 채록한다'라는 『임원경제지』 저술의 목표를 보여주는 일례이자 서유구의 지향을 알아 볼 수 있는 중요성을 띠고 있다.

문화콘텐츠 개발을 통한 심화 연구 : 서유구의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epening Through Cultural Contents Development : Focused on (Imwon-kyungje) of Suwoo-gu)

  • 민병현
    • 산업진흥연구
    • /
    • 제3권1호
    • /
    • pp.49-60
    • /
    • 2018
  • 문화콘텐츠는 '창조의 결과물'이기도 하지만 창조와 실천, 그리고 차이의 이해가 이루어지는 '과정'이기도 하다. 따라서 콘텐츠는 융복합지식의 콘텐츠 대중적이면서도 감성과 지식을 채워주는 질 좋은 콘텐츠를 선정해야 한다. 동아시아 인문주의 창제자인 공자는 의식주의 철학과 조선 후기 식생활에 영향을 끼쳤다. 공자는 조선시대 선비들에게 유학뿐만 아니라 음식관에서도 많은 영향을 끼쳤다.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중 정조지(鼎俎志)"는 음식과 요리에 대한 백과사전으로 7권 4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음식의 재료, 조리법, 효능 및 금기 등을 다루고 있다. 여기에는 육류요리, 채소요리뿐만 아니라 청량음료 달인음료 등의 각종 음료나 꿀과자 설탕과자 등의 과자류, 그리고 술 빚는 방법까지 천 여 가지의 레시피를 자세하게 기록하고 있다.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그가 72세까지 살아오면서 자기 인생을 되돌아보면서 무엇을 조심하고 어떻게 잘 해야 하는지 일반적으로 이야기할 수 있는 언급하고 있다. 공자의 일상에서 기록해 온 식문화가 조신시대까지 이어와 영향을 받은 풍석 서유구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를 통해 동양의 식문화에 대한 재미있는 이야기들을 대중적으로 접근하려 한다.

서지학적 분석을 통한 임원경제지 섬용지 영조기사의 구성과 특징 연구 (A Bibliographical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ticles Dealing with Architecture in the Chapter of Seomyongji of Imwongyeongjeji)

  • 이강민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59-69
    • /
    • 2010
  • Imwongyeongjeji, Administration of Our Daily Life in Woods and Fields, is a sort of encyclopedia compiled by Seo, Yoo Goo in Joseon Dynasty in the 19th century. This voluminous work is made up of 16 chapters with various references including many articles dealing with architecture. The chapter Seomyongji covering the daily necessities contains a number of methods and materials of building construction. The distinctive feature of these articles is that they are mostly from Joseon's books. It is not similar to other chapters which are made of quotations from Chinese books. Especially, he quoted many of articles about architecture from his own work Geumhwagyeongdokgi, Record of Plowing and Reading in Geumhwa. In addition, He selected only empirical knowledge, put it in the book, and commented on it in his judgment. These articles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on architectural knowledge in late Joseon peri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