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임신 전 간호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41초

임신성 당뇨병 임부와 정상 임부의 스트레스, 우울, 피로 및 수면의 질에 관한 서술적 조사연구 (A descriptive survey study of stress, depression, fatigue & sleep quality in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and normal pregnancy)

  • 황인명;허명행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369-379
    • /
    • 2021
  • 본 연구는 임신성 당뇨병 임부와 정상 임산부의 스트레스, 우울, 피로 및 수면의 질을 비교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연령, 임신주수, 출산 횟수가 일치하는 임신성 당뇨병 임부 49명과 정상 임부 51명이었다.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 숫자 척도, Canopy9 RSA(IEMBIO, Gangwondo, Korea)장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for window version 24.0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Independent two sample t-test, Fisher's exact test, x2-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임신성 당뇨병 임부는 임신 전 체중(t=3.698, p<.001)이 높고 임신 중 스트레스(t=4.505, p<.001), 우울(t=4.564, p<.001), 피로(t=3.709, p<.001)가 높았기 때문에 임신 전 체중 관리가 중요하며, 임신성 당뇨병 임산부의 스트레스, 피로, 우울을 완화하는 간호가 필요하다.

임신 전 건강행위 측정도구 개발 (Development of Preconception Health Behavior Scale)

  • 염계정;김일옥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1-45
    • /
    • 2019
  •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velop a valid and reliable scale for the evaluation of preconception health behavior in women preparing for pregnancy. Methods: The initial strategy included a literature review, interviews, and construction of a conceptual framework. The preliminary items were evaluated twice for content validity by experts, and modified two preliminary investigations. Participants in the 2 main investigations and the confirmation investigation were tested for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preliminary scale in women preparing for pregnancy. The data were analyzed for different items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s. Results: The 5-point Likert scale consisted of 6 factors and 27 items. The 6-factors included 'hazardous substance factor,' 'medical management factor,' 'rest and sleep factor,' 'stress management factor,' 'information acquisition factor,' and 'resource preparation factor.' Goodness of fit of the final research model was very appropriate and based on the following measures: Q=1.98, comparative fit index=.91, Tucker-lewis index=.89, standardized root mean square residual=.07, and 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07. The criterion validity was .64. The reliability coefficient was .92 and the test-retest reliability was .61. Conclusion: The study findings indicate that the scale can b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s to promote preconception health behavior in women preparing for pregnancy.

임부의 사회적 지지, 임신 스트레스, 그리고 불안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egnant Woman Social Support, Pregnancy Stress and Anxiety on Quality of Life)

  • 김정숙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50-56
    • /
    • 2021
  • 본 연구는 임부의 사회적 지지, 임신 스트레스 그리고 불안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 되었다. 본 연구는 2개 지역 D 와 S 지역에 거주하는 임부 117명을 대상으로 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설문 전 연구의 취지와, 목적, 절차에 대하여 설명을 하고 진행하였다. 자료는 SPSS 21.0 을 이용하였고, 빈도분석, 분산분석, t검증, 상관분석, 희귀분석으로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2020년 1월부터 2월까지 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부의 삶의 질 차이는 수면시간, 경제수준, 건강상태, 활동량, 임신주기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사회적 지지(β= .432, p= .000), 임신 스트레스(β=- .407, p= .000), 불안(β=- .182, p= .010) 순으로 확인되었다. 임부는 임신 스트레스와 불안 등을 경험하는 삶의 질 저하문제로 이어질 수 있어 임부에 대한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해야 할 것이며 삶의 질 증진을 위한 적극적인 간호중재 제공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된다.

임신간격이 신생아체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terpregnancy Interval on Birth Weight)

  • 이광렬;사공준;김석범;김창윤;강복수;정종학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6권2호
    • /
    • pp.173-181
    • /
    • 1989
  • 임신 간격이 선생아 체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대구시내 종합병원 산부인과와 소아과에 내원한 두번 이상의 출산 경험을 가진 25-40세의 여성들은 대상으로 훈련된 간호전문 대학생들이 별도로 고안된 설문서를 통해서 조사 대상 여성의 연령, 산모의 출산시 연령, 임신전 체중, 첫째아 및 둘째아 출산시 선생아 체중, 임신 기간, 신생아의 성별, 임신간격, 조사대상 여성의 학력수준, 남편의 직업유형, 의료보장의 종류, 흡연 및 음주의 습관, 기왕병력 등을 조사하였다. 임신간격별 신생아 평균체중은 6개월 단위로 분류해서 비교하면 6개월 이하 군에서 3,250 grams로 최저치를 보였고 점차 증가하여 25-30개월 군에서 3,357grams로 최고치를 기록 하였다. 일원 분산 분석을 사용하여 평균체중의 차이를 검정한 결과 유의한 수준의 차이는 없었다(P=0.47). 연속변수인 첫째아의 출산시 체중, 임신 전 산모의 체중, 산모의 출산시 연령, 임신 기간과 임신 간격 및 신생아 체중과의 상관계수는 임신 간격과 산모의 연령, 임신 기간과 신생아 체중, 임신전 체중과 신생아 체중, 첫째아의 출산시 체중과 신생아 체중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으나(각각 r=0.39, 0.30, 0.16, 0.44) 산모의 연령, 임신 기간, 임신 전 체중, 첫째아의 출산시 체중이 혼란변수로는 작용하지 않았다. 이산변수인 산모의 교육수준, 남편의 직업 유형, 의료보장의 종류, 신생아의 성별과 임신 간격과의 관계는 유의한 수준의 관련성이 없었고 (각각 p=0.59, 0.75, 0.75, 0.82) 따라서 이들 변수들이 혼란변수로는 작용하지 않았다. 출산시 신생아 체중을 종속변수로 하는 stepwise방식의 다중 회귀 분석 결과 유의한 회귀 계수를 가지는 독립변수는 첫째아의 출산시 체중, 임신 기간, 신생아의 성별, 임신전 체중의 4가지 변수였고, 이들 변수들이 가지는 설명력은 28.7%였다. 1,347명의 조사대상 신생아 중 저 체중아인 경우 27명으로 저 체중아 출산율은 2%였으며 임신 간격 별로는 7-12개월 군이 3.6%로 가장 높았고 13-18개월 군이 0.6%로 가장 낮았으나 임신 간격과 관련하여 일정한 증 감의 경향은 보이지 않았다.

  • PDF

생식보조술을 받은 산모와 자연임신한 산모에서 임신 전 체질량지수가 임신 결과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Prepregnancy Body Mass Index on Pregnancy Outcome in Women with a Singleton Conceived by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and Spontaneously Conceived Pregnancy: A Case-Control Study)

  • 김주희;신혜숙;박보경;양광문;이영호;류현미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517-524
    • /
    • 2012
  • Purpose: To compare and confirm the impact of prepregnancy body mass index on pregnancy outcome in women with a singleton conceived by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and spontaneously conceived pregnancy. Methods: A sample of 165 and 247 pregnant women with and without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were retrospectively recruited from electronic medical charts of C hospital.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for maternal age, paternal age, length of marriage, prepregnancy body mass index, parity, spontaneous abortion experience, and preterm delivery. A prepregnancy body mass index of ${\geq}25$ was associated with higher risk for maternal and neonatal complication in the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group.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a higher prepregnancy body mass index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s for adverse pregnancy outcomes for women using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So these women need appropriate care to compensate for the risk.

부아(父兒)애착 : 문헌고찰 및 비평 (PATERNAL INFANT BONDING : A CRITICAL REVIEW)

  • 김혜숙
    • 모자간호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34-44
    • /
    • 1992
  • 지난 10년 동안 구미에서는 부모-아동 관계 영역에 혁신을 가져왔다. 특히 부모-아동 애착이론의 획기적인 변화로 가족 중심 출산 경험을 강조하고 있다. 과거에는 남편이 아내의 출산에 참여하던 것이 타부시되어 왔지만 애착의 개념이 대두되면서 남편도 출산에 함께 참여하도록 고려하여 임신에서부터 부부가 함께 이 과업을 완수하도록 모든 환경을 변화시키고 있다. 애착이론은 다양하여 정신분석이론, 학습이론, 인지발달이론과 동물 행동학적 측면에서 이해되고 있다. 다양한 이론적 배경과 개념들을 가지고 아버지-아동의 애착 및 유대관계에 대한 연구가 지난 10여년 이상 되어오고 있다. 가장 관심의 촛점이 되어 연구 되어온 것으로는 애착형성을 위해 중요하다고 하는 민감한 시기(Critical period)를 중심으로 애착의 특성인 시각, 청각, 촉각, 상호호혜적 관계, 긍정적 애정을 바탕으로 연구되어졌다. 이 연구는 부아 애착(Paternal Infant Attachment)의 연구를 연구방법, 측정도구 및 방법상문제와 변수들을 중심으로 재정리하여, 이 분야에 있어서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살펴보았다. 17편의 연구들을 각각 년도, 표본수, 방법 및 측정, 결과 및 비고난을 비교 분석하여 도표를 작성하였다. 이론적 기틀과 문헌고찰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적용과 제언을 한다. 1. 출산전 아버지의 특성에 대한 사정이 필요하다. 2. 연구자가 집단간 비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연구전에 표본의 특성을 정확히 기술해야 한다. 3. 부모와 아버지의 과거력에 대한 상세한 정보수집이 강조되어야 한다. 4. 앞으로의 연구는 이론적 모델에 근거하여 이루어져, 대중교육 뿐 아니라 정책 결정에 기여해야 한다. 5. 연구결과 평가와 해석을 위해 정확한 이론적 근거가 필요로 된다. 6. 간호연구는 부적절한 부아 애착 형성에 있어서 아버지의 특성을 확인하고 부아유대와 애착 증진의 요소를 파악해야한다. 7. 부아 유대에 대한 위협요소 확인을 위한 도구개발과 그들에 대한 효과적인 간호전략이 필요 된다. 8. 가족에 있어서 모든 부모행위가 하나의 독립변수로서 연구되어야 하고 부아유대 증진에 관한 연구가 시도되어야겠다. 오늘날 부모들은 임신기간동안 많은 정보에 접하기를 원한다. 산전, 산후의 교육과 지식은 긍정적인 부아 관계를 증진시키고, 이것은 아동의 발달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긍정적으로 이러한 관계는 가족단위를 강하게 통합시키게 되므로 건강관리자(Health care workers)들은 애착에 대해 높은 관심을 갖어야 하겠다.

  • PDF

당뇨병을 가진 임부의 자가 간호와 자기효능감에 대한 출산 전후 비교 (Comparison of self-care and self-efficacy before and after childbirth in Pregnant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 홍지연;이미준;김성신;이자연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293-301
    • /
    • 2021
  • 본 연구는 당뇨병을 가진 24주 이상의 임부를 대상으로 출산 전과 후의 자가 간호와 자기효능감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24주 이상의 임부 40명을 대상으로 2018년 5월 24일부터 2020년 5월 23일까지 2년에 걸쳐 출산 전과 출산 후로 나누어 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aired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나이는 35세 미만이 27명(67.5%), 35세 이상이 13명(32.5%)이었다. 자가 간호와 자기효능감 점수는 산전에 비해 산후가 낮아졌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 .000). 따라서 출산 후에 자가 간호와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간호중재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

고령임산부의 임신과 출산 건강관리 요구 (Advanced Aged Women's Needs for Pregnancy and Childbirth Care)

  • 민혜영;정금희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32-341
    • /
    • 2015
  • Purpose: Advanced aged pregnancy may be related with health problems so that more aggressive health care is necessary for these women. This study aime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developing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to enhance the health of pregnant women and their new-born babies and by identifying the advanced aged women's need for pregnancy and childbirth. Methods: It is the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to identify the advanced aged women's need on pregnancy and childbirth. Subjects were pregnant women 35 years or older and postpartum women. Total number of subjects was 95. Measurement tool is self-reporting survey that consisted of 67 items with four-point Likert scale, which was completed during October to November 2014. Results: Average score was 3.44 out of maximum 4 on the care need on pregnancy and childbirth. Average scores according to category were as follows: baby rearing and parental role, 3.55; preconception care, 3.49; delivery care, 3.47; postpartum care 3.42; and prenatal pregnancy, 3.39. The degree of needs on pregnancy and childbirth was different according to delivery experience (t=-2.49, p=.014). Conclusion: Prenatal and postpartum nursing interventions were completed regardless of pregnant women's age until now; however, new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are necessary to prevent the risk of advanced aged pregnancy, to provide the preconception care, and to increase the infant care and family support.

수태 전 건강관리에 대한 젠더 간 인식 차이 (Gender Differences in Awareness of Preconception Care and Pregnancy)

  • 조동숙;김은정;전은미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19-229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awareness levels in regard to preconception care and gender differences targeting single undergraduate students in their 20s.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867 single undergraduate students aged 20~29 (523 women, 344 men). This was a descriptive research, in which awareness levels of preconception care and pregnancy were identified the through questionnaire surveys. Results: Gender differences in the awareness of reproductive care before conception were found. Generally, women's awareness of issues related to preconception care and pregnancy was higher than that of men. Women recognized risk factors in pregnancy ($x^2$=22.85, p<.001) and positive behaviors ($x^2$=10.91, p=.012) better than men. Women's awareness of preconception car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men (t=8.37, p<.001). The awareness levels of the students who completed a reproduction related class (t=3.16, p=.002) and the students who knew about folic acid (t=-10.78, p<.001) in preconception ca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ways to educate and alert students to major risk factors before pregnancy and other reproductive care content before conception is to provide education both single women and single men.

예비 신혼부부의 수태 전 건강관리 인식수준과 생식 건강증진 행위에 관한 연구 (Study on Awareness of Preconception Care and Reproductive Health Behaviors in Pre-honeymooners)

  • 제남주;최소영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71-82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examine levels of awareness on preconception care and pregnancy, and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 among pre-honeymooners; and 2)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awareness levels of preconception care and pregnancy, and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 Methods: This study was a correlation design with a total of 134 participants (67 couples of pre-honeymooners). Data were collected with questionnaire Results: Mean score of self-perception of awareness of preconception care and pregnancy was 2.82 out of 4. Content awareness level was 6.83 out of 13, and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 score was 3.02 out of 4, indicating low to mid-level. Women reported higher scores in all variables than those in men. Self-perception awareness and content awareness of care and pregnancy had a weak positive correlation (r=.18, p=.038).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 was positively related to self-perception awareness of care and pregnancy (r=.33, p<.001) and content awareness of care and pregnancy (r=.23, p=.008). Conclusion: Based on this results, a variety of nursing intervention strategies may need to promote reproductive health behavior such as raising awareness of the preconception care and pregnan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