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임신스트레스

Search Result 68,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Prevalence and Etiology of Molar Incisor Hypomineralization in Children Aged 8 - 9 Years (8 - 9세 어린이의 Molar-Incisor Hypomineraization의 원인 및 유병률에 대한 조사연구)

  • Kim, Taehyoung;Jeong, Ilyong;Lee, Daewoo;Kim, Jaegon;Yang, Yeonmi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
    • v.43 no.4
    • /
    • pp.410-418
    • /
    • 2016
  • This study examined the prevalence of MIH and severity of hypomineralization exhibited by MIH-affected tooth based on the clinical examination of 950 children between age 8 and 9 in the city of Jeonju. The etiology was also studied utilizing a questionnaire on the MIH risk factors. The prevalence of MIH was 7.1%. The examined MIH-affected teeth showed sta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their hypomineralization (p < 0.05). The permanent first molar showed greater frequency of MIH compared to the permanent incisor, and the MIH code 2a and 3 were only observed in the permanent first molar (p < 0.05). From the questionnaire, showed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occurrence of MIH and risk factors such as stress and antibiotics intake during pregnancy, low birth weight and events like hospital admission, frequent respiratory infection, high fever and long-term antibiotics intake within the three years of children's lives (p < 0.05). Among all the possible risk factors, the antibiotics intake during pregnancy only showed high correlation with the incidence of MIH (p < 0.05).

VDT작업대 설계의 인간공학적 연구

  • 권영국;이성렬;민재형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2.04b
    • /
    • pp.581-591
    • /
    • 1992
  • 최근 급속한 사무자동화와 함께 컴퓨터의 사용이 보편화되어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컴퓨터등 VDT에 매달려 일하는 사무직 근로자들이 시력장해, 두통, 어깨결림, 요통, 스트레스성 장애등 새로운 질병에 시달리고 있다. 이것은 "VDT증후군"(Visual Display Terminal Syndrome) 또는 "VDT병"이란 신종 직업병이다. 컴퓨터 수상기 화면을 계속해서 들여다보면 화면에서 나오는 자외선과 강한 빛으로 눈에 무리가 와 충혈되고 침침해지며 두통 증세가 나타난다. 이런 초기증상이 6개월이상 계속되면 시력이 떨어지고 만성피로를 느끼는가 하면, 때때로 독감과 비슷한 증상이 나타나며, 심하면 탈모현상까지 경험하게 된다. 요즘 시행되고 있는 초등 고교 컴퓨터교육의 의무화와 2천년대의 1가구 1단말기 설치를 목표로한 컴퓨터 영상단말기의 급속한 보급으로, 앞으로는 사무실뿐만 아니라 일반 가정에까지 컴퓨터 이용이 일상화될 전망이고 보면 VDT작업에 따른 건강장해 문제는 더이상 가볍게 볼 수 없는 문제이다. 이에 대해 선진국에서는 작업시간 규제, 회사가 종업원의 정기적인 시력검진 및 시력교정에 필요한 비용을 보조하도록 하는가하면 실작업환경 개선등 다각적인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미국, 유럽, 일본등 선진국에서는 VDT작업 여성들의 유산 및 기형아 출산등 임신이상에 관한 실태보고서까지 나오고 있어 여성들에게 커다란 충격을 던져주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VDT병 증상을 호소하는 근로자들의 직업병예방 및 대책에 큰 어려움을 겪고있다. 그러므로, VDT작업으로 인한 건강상의 문제, 작업환경 및 작업자세등을 조사하여 문제점과 예방대책을 살펴보고, 작업장을 인간공학적으로 설계하고 평가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보호하고 생산성의 향상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생산성의 향상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Action Code를 계산처리부로 넘겨준다. 입력처리부에서는 Mouse와 Keyboard 어느것으로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해준다. 출력처리부에서는 Action Code에 따라 계산처리부에서 계산된 결과를 화면에 보여주기 위한 각종 2D/3D Graphic Routine들이 포함되어있어 계산처리부에서 불러쓰도록 되어있다.에서는 전문가시스템 기법을 도입해서 사출금형 공정계획전문가의 지식과 경험을 획득하여 지식베이스를 구축하고, 전문가시스템 셀(shell)중 CLIPS를 이용하여 자동공정계획시스템인 Mold CAPP을 개발하였다.PP을 개발하였다.며 이와 상이한 결과도 보여주고 있다. 이상으로 볼 때 1) 가정하수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분뇨정화조 의 효율증대 2) 산업폐수의 공정별 폐수량의 조절 및 폐수성 상에 따른 총량규제에 대비한 효율증대 3) 하천의 오염부하와 자정능력 최대한 부여 4) 폐수처리를 위한 미생물제개발 및 오염지표 종 연구와 오염내성 생물의 연구등이 종합적 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5) 이상의 모든 조사와 연구결과를 객관적으로 표기할 수 있도록 하천의 이정표가 정해져야 하겠다.7%)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고 정상군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상고나성이 있었다. 혈중 호모시스테인 농도는 질병의 위험요인으로서 뿐 아니라 대사적으로 밀접하게 연관된 비타민 영양상태의 biomarker로서도 그 영향력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성별에 다른 다양한 연령집단에서 건강한 일반인과 심혈관계 질환자 등을 대상으로 호모시스테인과 비타민 영양상태에 대한 연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태를 보다 효율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는 대안이 마련되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ulcorner$순응$\lrcorner$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도

  • PDF

Characteristics of Vocalizations of Laying Hen Related with Space in Battery Cage (케이지 내 사육 공간의 차이에 따른 산란계의 음성 특성)

  • Son, Seung-Hun;Shin, Ji-Hye;Kim, Min-Jin;Kang, Jeong-Hoon;Rhim, Shin-Jae;Paik, In-Kee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51 no.5
    • /
    • pp.421-426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vocalization of laying hen related with space in battery cage. The size of cages were classified into control (0.30 m ${\times}$ 0.14 m ${\times}$ 0.55 m, length ${\times}$ width ${\times}$ height), small (0.21 m ${\times}$ 0.14 m ${\times}$ 0.55 m) and large (0.30 m ${\times}$ 0.30 m ${\times}$ 0.55 m) size. Vocalization of 16 individuals of laying hen in each group of Hy-Line Brown (80 week old) were recorded 3 hours per day (10:00am~11:00am, 3:00pm~4:00pm and 7:00pm~8:00pm) using digital recorder and microphone during October 2008 and February 2009. Characteristics of frequency, intensity and duration of vocalization were analyzed by GLM (general linear model) and Duncan's multi-test. There were differences in basic and maximum frequency, and intensity based on analysis of spectrogram and spectrum among different cage sizes. Vocalization of laying hen would be one of the indicators to understand the stress caused by rearing space in batter cage.

The Effect of Stress During Pregnancy on the Skin Barrier of Mice Four Weeks After Birth (임신 중 만성스트레스가 생후 4주 유서(幼鼠)의 피부장벽에 미치는 영향)

  • Cha, Jae-Hoon;Kim, Yoon-Bum
    • The Journal of Korean Medicine
    • /
    • v.30 no.1
    • /
    • pp.83-94
    • /
    • 2009
  •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skin barrier protects skin against a harmful environment. Its function includes an antimicrobial barrier as well as a physical barrier. Stress is harmful to the skin barrier and there are many studies on this, but there are few about the effect of stress during pregnancy on the skin barrier of offspring.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tress during pregnancy on the skin barrier of offspring by examination with the naked eye, cortisol, weight, TEWL and histologic tests. Materials and Methods: Male hairless mice ten weeks old were coupled with females for three days. After twelve days the female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We stressed one group and not the other group. The offspring from the non-stressed (N group) and stressed (S group) grew up until four weeks. The S group was exposed to chronic mild stress using the chronic stress model protocol modified method of Wilner and Towell for a week. We made examinations with the naked eye, assessment of cortisol, weight, TEWL, and histologic test to contrast the S group with the N group.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by using Mann-Whitney and Friedman test.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achieved if the probability was less than 5% (p<0.05). Results: 1. By making an examination with the naked eye, S group showed papules, creases and dryness on their skin, but N showed no change compared with normal skin. 2.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 group and N group in cortisol (p>0.05). 3.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 group and N group in weight. N group had less weight than S group (p<0.05). 4.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 group and N group in TEWL (p>0.05). 5.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 group and N group in TEWL recovery (p>0.05). 6. In TEWL and TEWL recovery,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y time between S group and N group (p<0.005). Histologically, S group showed a thicker epidermis and epidermal crest than N group. Conclusions: We found that stress during pregnancy has negative effects on the skin barrier of offspring. Though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 group and N group in TEWL recovery, we found evidence that the recovery of skin barrier function is interrupted by stress during pregnancy by examination with both the naked eye and histology.

  • PDF

Demands for Health Education through Internet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인터넷을 이용한 보건교육 요구도)

  • Kang, Pock-Soo;Choi, Yeun-Hwa;Lee, Kyeong-Soo;Hwang, Tae-Yoon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v.21 no.1
    • /
    • pp.23-39
    • /
    • 2004
  • Background: It is important to provide health education to students to ensure a healthy life. Using the internet for health education may be a way to overcome the practical barriers to health education such as time and conten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emands for health education using the internet. Subjects and methods: Six hundreds and twenty-four and male female students in middle and high schools, who lived on Gyeongju-si and Seongju-gun in Gyeongsangbuk-do province, were interviewed by means of structured questionnaires, from March 5 to March 28, 2003. Results: More than 90% of the subjects had their own computers, and nearly 38% of those possessing their own computers had accessed internet sites related to health and medicine. Middle school students and in particular, female students were more desirous for health education through e-mail. Regarding content, the three major topics which the respondents wanted to learn about were healthy lifestyles, growth and development, and disease prevention. In terms of the interval for providing educational materials, over half of the students wanted information once a week. Most of the students wanted to have the quantity of the material be one page. In addition, there were numerous additional topics requested by the students such as sleep and health, contraception and family planning, safety education, cancer prevention, emotional instability of juveniles, the utilization of medical care facilities, stress management, etc. Conclusion: The students had a desire for health education through the use of e-mail, and methods and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for appropriate health education using the internet.

  • PDF

Perinatal Factors Affecting Thyroid Stimulating Hormone(TSH) and Thyroid Hormone Levels in Cord Blood (제대혈 갑상선 자극호르몬과 갑상선 호르몬 농도에 영향을 주는 주산기 인자들)

  • Kim, Eun Young;Park, Sang Kee;Song, Chang Hun;LIm, Sung-Chul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v.48 no.2
    • /
    • pp.143-147
    • /
    • 2005
  • Purpose : The aim of the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various perinatal conditions on TSH and thyroid hormone levels in cord blood. Methods : Cord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130 neonates immediately after birth. TSH, $T_3$, and free $T_4$ levels were measured by the radioimmunoassay(RIA) method. The effects of gestational age, sex, birth weight, delivery method, perinatal asphyxia, maternal diabetes mellitus(DM), and preeclampsia on TSH and thyroid hormone levels were assessed by ANOVA test, Student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Birth weight and sex did not affect TSH and thyroid hormone levels. TSH level increased according to gestational age(P<0.05). TSH level was $4.42{\pm}0.66{\mu}IU/mL$ in infants born vaginally,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cesarian section delivery($3.31{\pm}0.33{\mu}IU/mL$)(P<0.05). TSH level was $5.18{\pm}0.93{\mu}IU/mL$ in asphyxiated newborns and $2.97{\pm}0.84{\mu}IU/mL$ in non-asphyxiated newborns(P<0.05). TSH level in infants with maternal DM($8.911{\pm}1.25{\mu}IU/mL$) was higher than that of infants without maternal DM($4.32{\pm}0.42{\mu}IU/mL$)(P<0.05). TSH level was $5.28{\pm}0.42{\mu}IU/mL$ in infants with maternal preeclampsia and $3.65{\pm}0.46{\mu}IU/mL$ in infants without maternal preeclampsia(P<0.05). Thyroid hormones were lower in infants with perinatal asphyxia(P<0.05). In asphyxiated infants, $T_3$ level was $75.33{\pm}55.65ng/mL$ and free $T_4$ was $0.54{\pm}0.21ng/mL$. $T_3$ and free $T_4$ level was $109.85{\pm}41.77ng/mL$ and $0.76{\pm}0.22ng/mL$ each in infants without perinatal asphyxia. Among the perinatal factors, gestational age, 1 min Apgar score and maternal DM influenced TSH level independently. Conclusion : In our study, cord blood TSH and thyroid hormone levels were affected by perinatal stress events.

축산식품중(畜産食品中)의 Cholestrerol에 관(關)한 고찰(考察)

  • Han, Seok-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1995.11a
    • /
    • pp.1-48
    • /
    • 1995
  • 식생활은 인간 생활의 주체이고 먹는다는 것은 그 수단이다. 그중 중요한 하나의 명제는 인간이 놓여진 여러 환경에서 어떻게 건강을 유지하고 그 개체가 소유하고 있는 능력을 최대치까지 생리적으로 성장 발전시킴과 동시에 최대한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한 식물 섭취방법을 마이크로 레벨까지 해명하는데 있다. 인간은 일생동안 엄청난 양의 음식물을 먹는다(70세 수명일 경우 200만 파운드 즉 체중의 1,400배). 그러나 먹기는 먹되 자신의 건강과 장수를 위하여 어떤 음식을 어떻게 선택하여 어떻게 먹어야 하는 문제가 매우 중요하다. 최근 우리나라도 국민 소득이 늘면서 식생활은 서구화 경향으로 기우는 듯하다. 공해를 비롯한 수입식품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제기됨에 따라 자연식과 건강식을 주장하는 소리가 높이 일고 있다. 그중에는 축산 식품이 콜레스테롤 함량이 다른 식품에 비하여 높게 함유하고 있다는 것으로 심혈관질환의 주범인양 무차별 강조하는 나머지 육식공포 내지는 계란 등의 혐오감 마저 불러 일으키는 경향까지 있는 듯하다. 따라서 본논고에서는 축산식품중의 콜레스테롤 함량수준이 과연 성인병의 주범인지 아니면 다른 지방산과 관련해서 올바르게 평가하고 그 문제점과 대책을 개관해 보고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사람은 유사이래 본능적으로 주변의 식물이나 동물의 고기를 먹고 성장하여 자손을 증식시키고 어느 사이에 늙으면 죽음을 맞이 하는 싸이클을 반복하면서 기나긴 세월동안 진화를 하여 오늘날의 인간으로서의 자태를 이루었다. 유인원과 같은 인류의 선조들은 수렵을 통해 육식을 많이 하였을 것이므로 인간은 원래 육식동물이 아닐까? 구석기시대의 유물을 보면 많은 뼈가 출토되고 “얄타미라”나 “라스코” 동굴벽화가 선명하게 묘사되고 있다. 2. 우리나라 선조 승구족의 일파가 백두산을 비롯한 만주 송화강 유역에 유입되면서 수렵과 목축을 주요 식품획득의 수단으로 식품문화권을 형성하면서 남하하여 한반도 민족의 조상인 맥족(貊族)으로 맥적(貊炙)이라고 하는 요리(오늘날의 불고기)를 먹었다는 기록이 있다. 3. 인간의 수명을 1900년대로 거슬러 올라가서 뉴질랜드가 세계최장수국(호주는 2위)로서 평균수명은 남자 58세, 여자 69세인 반면 일본과 한국은 당시 남자 36세, 여자 37세이던 것이 일본은 1989년에 이르러 세계 최장수국으로 등장했으나 1990년 당시 뉴질랜드${\cdot}$호주 등은 목축 및 밀(小麥) 생산국가였기 때문이라는 것과 일본은 오늘날 합리적인 식생활 국가라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4. 우리나라 10대 사망원인중 (1994년도) 뇌혈관질환이 1위, 교통사고 2위, 암이 3위 순위로서 연령별로는 10~30대의 불의의 사고(교통사고), 40~60대는 암, 70대 이상은 뇌혈관질환이 가장 많다. 구미${\cdot}$일 7개국 정상국가들은 심질환 사망이 가장 높다. 5. 식생활의 변화에 있어서 우리나라는 주식으로 섭취해 왔던 곡류는 70년 대비 94년에는 0.7배 감소된 반면 육류 5배, 계란 2.4배, 우유는 무려 29.3배 증가되었다. 식생활 패턴이 서구화 경향으로 바뀌는 것 같다. 6. 71년도 우리나라의 지질섭취량은 국민 1인당 1일 평균 13.1g에 섭취에너지의 5.7%수준이었으나 92년도에는 34.5g으로서 총에너지 섭취량의 16.6%에 달하고 총섭취 지방질중 동물성 섭취 비율은 47%를 차지 한다. 국민 평균 혈청콜레스테롤 농도는 80년에 비해 88년에는 11%가 증가되었고 80년에 210mg/dl 이상 되는 콜레스테롤 혈증인 사람의 비율이 5%에서 88년에는 23%로 크게 증가했다. 7. 세계 정상국가들의 단백질 즉 축산식품의 섭취는 우리나라보다 적게는 2배, 많게는 6~7배 더 섭취하고 90년도 우리나라의 지질섭취량은 일본의 1/3수준에 불과하다. 8. 콜레스테롤은 인체를 비롯한 모든 동물체에 필수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체내 존재하고 있는 총량은 90~150g, 이중 혈청콜레스테롤은 4%(6g)를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아주 적은 콜레스테롤에 일희일비(一喜一悲) 논쟁은 60~70년 끄러오고 있다. 9. 콜레스테롤의 생체내 기능으로서는 (1) 세포벽의 지지물질 (2) 신경세포 보호막물질 (3) 담즙산의 합성 (4) 비타민 D의 합성 (5) 임신시에 반듯이 필요한 분자 (6) 기타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필수적인 물질이다. 10. 우리가 식이를 통해서 섭취 콜레스테롤을 550mg정도를 섭취한다고 하더라도 이 정도의 양은 배설 소모되는 양과 거의 맞먹는 양이다. 피부와 땀샘에서 소실되는 양만도 100~300mg에 달하기 때문에 미국농무성에서 섭취량을 300mg로 제한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11. 콜레스테롤 운반체로서의 지단백질은 그 밀도가 낮은 것으로부터 킬로미크론(chylomicron), 초저밀도 지단백질(VLDL), 저밀도 지단백질(LDL) 및 고밀도 지단백질(HDL)으로 나누는데 LDL은 혈청콜레스테롤 중 약 70%, HDL은 약20%를 함유한다. 12.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열거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1) 음식을 통해서 섭취되는 콜레스테롤 중 단지 10~40%정도가 흡수되고, 체내에서 합성되는 콜레스테롤이 증가할수록 식이콜레스테롤은 실제 혈청콜레스테롤 수준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식이중함량에 대하여 공포를 느끼고 기피할 필요가 없다. 2) 고도불포화지방산, 단가불포화지방산, 포화지방산의 비 즉 P/M/S의 비가 균형되도록 권장한다. 3) 동맥경화를 비롯한 성인병의 원인이 되는 혈전증에는 EPA의 양을 높여줌으로서 성인병을 예방할 수 있다. 4) 오메가6지방산 아라키도닉산과 오메가3지방산인 EPA로 유도되는 에이코사에노이드 또는 프로스타노이드는 오메가6와 3지방산을 전구체로 하여 생합성되는 중요한 생리활성 물질이다. 5) 사람은 일반적으로 20세에서 60세까지 나이를 먹어감에 따라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이 증가하고 60세 이후부터는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며 심장보호성 HDL-콜레스테롤은 감소하는 반면에 죽상경화성 LDL콜레스테롤은 증가한다. 6) 높은 HDL콜레스테롤 수준이 심장병 발생 위험요인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좋은 HDL이라 부르고, LDL은 나쁜 콜레스테롤이라 부르기도 하는데, 이것은 유전적 요인보다도 환경적 요인이 보다 큰 영향을 미친다. 7) 이것은 생활 형태와 영양섭취상태를 포함해서 개인적 생활패턴에 영향을 받는다. 8) 많은 실험에서 혈중 콜레스테롤 상승은 노년의 가령(加齡)에 적응하기 위한 자연적 또는 생리적인 세포의 생화학적이고 대사적인 기능을 위해 필수적일 수 있다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이 점으로 미루어 노년의 여성들을 위한 콜레스테롤 농도를 200mg/dl이 가장 알맞은 양이 아닌 듯하다. 9) 스트레스는 두가지 모양으로 유발되는데 해로은 스트레스(negative), 이로운 스트레스(positive)로서 긴장완화는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를 10% 떨어진다. 10) 자주 운동을 하는 사람들은 혈중 HDL콜레스테롤치가 운동을 하지 않는 사람보다 높다. 육체적인 운동의 정도와 혈중 HDL콜레스테롤 농도와는 정비례한다. 11) 흡연은 지방을 흡착시키므로 혈전증의 원이이 되며 혈관속의 HDL농도를 감소시킨다. 12) 에너지의 과잉섭취에 의한 체중 증가느 일반적으로 지단백질대사에 영향을 미치고, 간에서는 콜레스테롤 과잉 생산과 더불어 VLDL콜레스테롤의 LDL콜레스테롤 혈증을 나타냄으로 운동과 더불어 비만이 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13. 콜레스테롤 함량에 대한 조절기술 1) 식품의 우열을 평가할 때 단순히 동물성 또는 식물성 식품으로 분류해서 총괄적으로 논한다는 것은 지양되어야 한다. 이것은 그 식품에 함유하고 있는 지방산의 종류에 따라서 다르기 때문이다. 2) 인체의 원할한 기능 유지를 위해서는 P /M /S비율 뿐만 아니라 섭취 지방질의 오메가6 /오메가3계 지방산의 비율이 모두 적절한 범위에 있어야 하며 한두가지 지방산만이 과량일 때는 또 다른 불균형을 일으킬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3) 닭고기는 오메가6지방산 함량을 높이기 위하여 사료중에 등푸른 생선이나 어분이나 어유를 첨가하여 닭고기는 첨가수준에 따라 증가됨을 알 수 있다. 4) 오늘날 계란내의 지방산 조성을 변화시켜 난황내의 오메가 3계열 지방산 함량을 증가시킨 계란의 개발이 활발해졌다. 14. 계란 콜레스테롤에 대한 소비자들의 부정적 인식을 불식시키고자 계란의 클레스테롤 함량을 낮추는 과제가 등장하면서 그 기술개발이 여러모로 시도되고 있으나 아직 실용 단계에 이르지 못했다. 15. 계란의 콜레스테롤 문제에 대한 대책으로서 난황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방법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16. 계란 중 콜레스테롤 함량 분석치는 표현 방식에 따라서 소비자들을 혼란시킬 가능성이 있다. 또한 과거에는 비색법으로 분석했으나 오늘날은 효소법으로 분석하면 분석치에 상당한 차이가 있다. 17. 소비자의 요구를 만족시키고 버터 소비를 촉진시키기 위해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물리적${\cdot}$생물학적 방식이 제안되어 있으나 현장적용이 가능한 것은 아직 없다. 18. 우리나라에서 이미 시판되고 있는 DHA우유가 선보였고 무콜레스테롤 버터의 경우 트란스(trans)형 지방산에 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많을 것이다. 끝으로 국가 목표의 하나는 복지사회 건설에 있고 복지국가 실현에는 국민 기본 욕망의 하나인 식생활 합리화가 선행되어야 한다. 소득이 늘고 국가가 발전해감에 따라 영양식${\cdot}$건강식 및 기호식을 추구하게 됨을 매우 당연한 추세라 하겠다. 우리의 식생활이 날로 향상되어 지난날의 당질 위주에서 점차 축산물쪽으로 질적 개선이 이루어진다는 것은 고무적임에 틀림없다. 이 축산물을 통한 풍요로운 식의 문화를 창출하면서 건강과 장수 그리고 후손에 이르기까지 번영하고 국가 경쟁력 강화에 심혈을 기우려야 할 때이다.

  • PDF

Factors associated with the bone mineral density in Korean adults: Data from the 2010-201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 (우리나라 성인남녀의 골밀도 관련요인: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5기 1, 2차 년도(2010년, 2011년))

  • Kim, Kyung Sook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39 no.4
    • /
    • pp.240-255
    • /
    • 2014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rrelates of bone mineral density of Korean adults. Methods: This study was based on the data from the 2010-201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10~2011) V. Among 8,473 subjects of the survey, who were adults 19 years old or over with bone mineral density data, the current study excluded those whose data include a missing study variable or the response of 'I don't know', and finally analyzed the data of 5,986 subjects (2,692 males and 3,294 females). This study employed the following statistical methods of analysis: t-test,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hierarchical multivariate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sults: In multivariate analysis, in the case of men, the significant associated factors in bone mineral density were age, education level, body mass index (BMI), waist circumference, total muscle mass, exercise, and weight control; in the case of women, the significant associated factors in bone mineral density were age, education level, economic activity, BMI, total muscle mass, exercise, weight control. fat intake, uptake female hormone, menopause, and age of menarche. Conclusion: For both sexes, the strongest modifiable factor in influencing bone mineral density was total muscle mass. Therefore, to prevent osteoporosis and promote health, active health education and interventions such as regular exercise for total muscle mass increase should be implemented from an early growth peri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