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mands for Health Education through Internet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인터넷을 이용한 보건교육 요구도

  • Kang, Pock-Soo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Choi, Yeun-Hwa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 and Public Health Studies, Yeungnam University) ;
  • Lee, Kyeong-Soo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Hwang, Tae-Yoo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강복수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최연화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
  • 이경수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황태윤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Published : 2004.06.30

Abstract

Background: It is important to provide health education to students to ensure a healthy life. Using the internet for health education may be a way to overcome the practical barriers to health education such as time and conten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emands for health education using the internet. Subjects and methods: Six hundreds and twenty-four and male female students in middle and high schools, who lived on Gyeongju-si and Seongju-gun in Gyeongsangbuk-do province, were interviewed by means of structured questionnaires, from March 5 to March 28, 2003. Results: More than 90% of the subjects had their own computers, and nearly 38% of those possessing their own computers had accessed internet sites related to health and medicine. Middle school students and in particular, female students were more desirous for health education through e-mail. Regarding content, the three major topics which the respondents wanted to learn about were healthy lifestyles, growth and development, and disease prevention. In terms of the interval for providing educational materials, over half of the students wanted information once a week. Most of the students wanted to have the quantity of the material be one page. In addition, there were numerous additional topics requested by the students such as sleep and health, contraception and family planning, safety education, cancer prevention, emotional instability of juveniles, the utilization of medical care facilities, stress management, etc. Conclusion: The students had a desire for health education through the use of e-mail, and methods and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for appropriate health education using the internet.

인터넷을 이용한 중 고등학교 학생의 보건교육 요구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경상북도 경주시와 성주군에 거주하는 남녀 중 고등학생 624명을 대상으로 2003년 3월 5일부터 3월 28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를 시행하였다. 조사 대상학생들의 90% 이상이 컴퓨터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지역별로는 경주시 지역 대상 학생들이 성주군 지역 학생들보다 컴퓨터보유율이 다소 높았다. 컴퓨터를 보유한 학생들의 약 38%가 건강 의료 관련 인터넷 사이트의 접속경험이 있었다. 이메일을 이용한 보건교육자료에 대하여 중학생과 여학생들이 더 적극적인 의향을 보였다. 인터넷을 이용한 보건교육의 내용에 대해서는 남자 중학생이 건강습관, 성장발달, 질병예방 순으로 요구도 점수가 높았으며, 여자 중학생은 건강습관, 질병예방, 성장발달 순으로 요구도 점수가 높았다. 고등학생은 남녀 학생 모두에서 건강습관, 질병예방, 성장발달의 순으로 요구도 점수가 높았다. 건강습관과 관련된 내용 중에서는 남자 중학생은 '규칙적인 운동'을 여자 중학생은 '치아관리'에 대한 교육을 원하였고, 고등학생은 남녀 모두 '수면과 휴식'에 대한 요구도 점수가 높았다. 성장발달 및 영양교육에 대한 내용 중에서는 중 고등학생 모두 남학생은 '체력의 변화'에 대해서, 여학생은 '비만'에 대한 요구도 점수가 높았고, 성교육에 대해서는 남자 중 고등학생은 '연령에 맞는 성역할'에 대한 요구도 점수가 높았으며, 여자 중학생은 '피임과 가족계획'에, 여자고등학생은 '임신과 출산', '피임과 가족계획'에 대한 요구도 점수가 높았다. 질병예방 교육에 대해서는 남녀 중학생과 남자 고등학생은 '암 예방과 관리'에 대해서, 여자 고등학생은 '질병예방과 관리'에 대한 요구도 점수가 높았다. 안전교육에 대해서는 중 고등학생 모두가 '적절한 응급처치'의 요구도 점수가 가장 높았다. 습관성 약물에 관련 교육 내용 중에는 남자 중학생은 '흡연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남자 고등학생은 '술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여자 중 고등학생은 '청소년의 정서 불안'에 대한 요구도 점수가 높았다. 소비자 보건 관련 교육에 대해서는 남자 중 고등학생은 '보건 의료기관의 이용방법'에 대한 요구도 점수가 가장 높았고, 여자 중학생은 '보건의료기관 이용방법'과 '의료보험에 대한 이해'에 대한 요구도 점수가 높았고, 남자 고등학생은 '의료보험에 대한 이해'에 대한 요구도 점수가 높았다. 정신보건 교육에 대해서는 중 고등학생 모두 '스트레스 관리'에 대한 요구도 점수가 높았다. 환경보건 관련 교육에 대해서는 중 고등학생 모두 '환경과 건강'에 대한 요구도 점수가 가장 높았다. 인터넷 보건교육의 교육자료 제공 주기에 대하여 남학생의 50.0%, 여학생의 60.4%가 주 1회를 요구하였으며, 교육 자료의 분량은 남학생의 40.0%, 여학생의 53.2%가 1쪽 분량을 원하였다. 이상의 결과, 연구 대상 학생들의 90% 이상이 컴퓨터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컴퓨터를 보유한 학생들의 약 38%가 건강 의료 관련 인터넷 사이트의 접속경험이 있었다. 인터넷 보건교육을 받을 의향은 남학생들이 여학생들보다 높았으며, 기존에 학교보건교육에서 시행하고 있는 교육의 내용 이외에도 수면과 건강, 피임과 가족계획, 안전교육, 암 예방, 스트레스 관리, 대인관계 등의 내용에 대해서 요구도가 높아 이에 대한 보건교육자료의 개발과 보급이 필요하며, 인터넷을 이용한 보건교육을 위한 기초조사와 더불어 교육방법, 자료의 개발 등과 이메일을 이용할 경우 본인 동의의 절차와 관리 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