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임신스트레스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8초

여대생의 건강증진행위가 결혼과 임신 인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Female College Students on Marriage and Pregnancy Recognition)

  • 김정애;조의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1호
    • /
    • pp.85-93
    • /
    • 2018
  • 본 연구는 C도의 3개 대학에서 227명의 여자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건강증진행위 실태를 파악하고 건강증진행위가 결혼과 임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2017년 11월 15일부터 12월1일까지 건강증진행위와 결혼 및 임신에 구조화된 설문지로 실시되었다. 분석 결과, 건강증진행위의 하위요인(개인위생, 영양 식습관, 물질 남용, 운동, 스트레스 관리, 자아실현)은 결혼과 임신 인식에 상관관계(pearson correlation)가 유의미하게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p<.001), 결혼과 임신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스트레스 관리로 나타났다(Non-standardization Ɓ=.845, p<.001).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가임기 여성의 임신 유도하기 위해서는 각 분야별 전문가에 의한 체계적인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임신 쥐의 철 과잉섭취가 조직의 산화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ron Overload during Pregnancy on Oxidative Stress in Maternal Rats)

  • 박미나;이연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4권1호
    • /
    • pp.5-15
    • /
    • 2011
  • 본 연구는 임신기 동안 어미쥐의 철 섭취 수준이 모체의 철 대사지표와 산화적 스트레스 및 임신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비임신쥐를 대조군으로 하여 수행하였다. 10주령 200 g 이상 된 암컷과 수컷 흰쥐를 1 : 1로 교배시켜 임신을 확인한 후, 비임신쥐 (대조군)와 임신쥐 (실험군)에게 식이 중 철 수준이 정상수준 (AIN-93G diet 수준, 35 mg Fe/kg diet), 고수준 (정상의 10배, 350 mg Fe/kg diet) 및 과잉수준 (정상의 30배, 1,050 mg Fe/kg diet)의 3가지 실험식이를 급여하였다. 임신 19일째 되는 날, 비임신쥐와 임신 쥐를 희생시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체중의 증가나 식이섭취량은 철 섭취 수준의 영향을 받지 않았고, 임신의 결과로서 태아의 수, 태아체중 및 태반무게도 철 섭취 수준의 영향은 받지 않았다. 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릿, 혈청 철 농도 등의 혈액지표들은 철 섭취 수준의 영향은 받지 않았으나 임신에 의한 감소 경향을 보였다. 임신쥐의 철 섭취 수준의 증가에 따라 간과 지라 조직의 철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임신쥐의 간에서 페리틴 단백질 수준이 철 섭취의 증가에 따라 현저히 증가하였다. 산화적 손상지표인 지질과산화물 (MDA)은 철 섭취수준의 영향을 받지 않았고, 단백질 산화물 (protein carbonyls)은 비임신쥐와 임신쥐에서 모두 철 과잉 섭취군의 경우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항산화효소 중에서는 철 과잉섭취군에서 간의 GPx 활성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임신기 동안 어미쥐의 철 섭취수준의 증가는 어미쥐의 혈액지표와 임신의 결과에는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간 조직 내 철 함량과 페리틴 단백질 수준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으며, 간 조직에서 단백질 산화물인 protein carbonyl 농도를 증가시키고, 항산화효소 중 특히 GPx의 활성 감소를 초래하였다. 또한 간 조직에서 세포사멸을 억제하는 중요한 인자인 Bcl-2 단백질 수준이 임신쥐에서 철 섭취의 증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영향이 철을 정상 수준의 10배 섭취한 군에서는 약하게 나타났으나, 30배 과잉으로 철을 섭취한 군에서는 유의적으로 차이를 보였다. 이 결과는 임신시 철 과잉 섭취의 해로운 영향이 지금까지 철 대사의 측정도구로 삼아왔던 혈액지표의 변화 보다는 체내에서 일어나는 조직의 산화적 스트레스의 증가나 조직 내 철의 축적 등에 보다 더 민감하게 반영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철 과잉 섭취가 모체 뿐만 아니라 태생 조직의 산화적 스트레스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소 임신진단키트를 이용한 번식효율 증진

  • 성환후
    • 한우개량
    • /
    • 제6권5호통권23호
    • /
    • pp.22-27
    • /
    • 2001
  • 한우의 번식에 있어서 번식효율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수정적기의 선택과 수정 후 가능하면 조기에 임신감정을 실시하여 공태기간을 최소로 단축시켜 번식우의 효율을 증진하고 송아지 생산비를 줄여야 할 것이다. 임신감정은 일반적으로 인공수정사나 수의사가 직장검사를 통해 태아를 확인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 방법은 수정 후 50-60일 이후부터 가능하며 숙련자에 따라 진단율이 다르며 암소에게 스트레스를 주고 태아나 난소에 손상을 주거나 심하면 태아의 조기폐사 등의 부작용이 있으며 진단율도 2-3만원 정도 소요된다. 최근 임신진단을 현장에서 간단히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개발되어 있어 소개하기로 한다.

  • PDF

12주간 필라테스 매트 운동이 임산부의 신체구성, 요부근력, 요통 및 임신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12 Weeks Pilates Mat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Lumbar Muscle Strength, Low Back Pain and Pregnancy Stress in Pregnant Women)

  • 조나영;장용철;조준용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259-267
    • /
    • 2020
  • 임신 기간 중 임산부는 체중 증가 및 근골격계 변화로 요통과 골반 통증을 유발한다. 필라테스는 유, 무산소성 복합운동으로 자세 교정 및 근 기능을 강화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필라테스 매트 운동이 임산부의 신체구성, 요부근력, 요통 및 임신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임신 중기(16~25주) 임산부 19명을 대상으로 필라테스 매트 운동 실험집단(n=11)과 비교집단(n=8)으로 구분하였으며, 실험집단은 하루 60분, 주 2회 12주간 필라테스 매트 운동을 실시하였다. 신체구성 중 체수분량, 체지방량, 체질량지수, 체지방률 및 기초대사량에는 집단 간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실험집단에서는 골격근량에서 유의한 증가가 나타났다. 또한 요부근력의 경우 엉덩이관절 신전근과 요추 신전 가동범위는 필라테스 매트 운동을 수행한 집단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요통 수준과 임신 스트레스 수준을 분석한 결과 집단 간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필라테스 매트 운동은 임산부의 근육량을 증가시키고, 요부근력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내어 임산부에게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는 운동이라고 할 수 있다.

임신 여성과 가임기 여성의 심박변이도(HRV) 비교 (Comparison of Heart Rate Variability(HRV) in Pregnant Woman and Non-pregnant Woman)

  • 김수민;예수영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499-505
    • /
    • 2021
  • 본 연구는 HRV 신호를 분석하여 비임산부와 임산부의 시기별 자율신경계 활성도를 비교하였다. W병원의 질병이 없는 임산부 99명과 비임산부 27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획득한 HRV 신호는 프로그램을 이용해 시간영역 분석, 주파수 영역 분석을 실시하였다. 측정된 값은 일원배치 분산 분석을 통해 임신 시기별 간의 차이를 통계 분석 하였다. 결과에서, 시간 영역 분석에서 SDNN과 RMSSD는 임신 초기와 비임신 여성의 결과값이 임신 중기, 말기와 비교했을 때 유의하게 높았다. 주파수 영역 분석에서 LF와 HF는 임신 초기와 비임신의 값이 중기, 말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으나 VLF와 LF/HF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임신이 진행될수록 비임신 상태와 임신 초기보다 중기 및 말기에 자율신경 조절 능력이 저하되고 신체적 피로도와 정신적 피로도가 증가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임신 기간이 길어질수록 임산부의 심신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 각별한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임신 후기 임부의 임신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피로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Fatigu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gnancy Stress and Depression during the Third Trimester of Pregnancy)

  • 김미옥;김영란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4권1호
    • /
    • pp.81-89
    • /
    • 2018
  • Purpose: We aimed to assess the mediating effect of fatigu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gnancy stress and depression during the third trimester of pregnancy. Methods: We surveyed 161 pregnant women at a hospital in Gyeonggi province in Korea from October to November, 2017.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 WIN 22.0 program. Results: The mean scores of pregnancy stress, fatigue and depression were $2.09{\pm}.87$ with a range of 1~4, $2.31{\pm}0.84$ with a range of 1~4 and $0.85{\pm}0.81$ with a range of 0~3, respectively. Pregnancy stres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fatigue (r=.60, p<.001) and depression (r=.59, p<.001) and fatigu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r=.48, p<.001). The mediating effect of fatigu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gnancy stress and depression (${\beta}=.21$, p=.010) was found. Conclusion: We found the mediating effect of fatigu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gnancy stress and depression. Thus, healthcare professionals should assess the pregnant woman's negative emotions in the early stage and facilitate their positive transition utilizing the assesment findings. For example, a development of interventions considering physical and psychological aspects for decreasing fatigue may improve the pregnant women's well-being during pregnancy and childbirth. In conclusion, the healthcare professionals should understand the potential problems during pregnancy and strive to enhance the positive process of pregnancy and growth of the baby.

임신후기 여성의 피로, 수면장애 및 임신 스트레스 (Relationship between Fatigue, Sleep Disturbance, and Gestational Stress among Pregnant Women in the Late Stages)

  • 정미영;황경혜;조옥희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95-203
    • /
    • 2014
  •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atigue, sleep disturbance, and gestational stress in women during late stage of pregnancy.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113 healthy pregnant women at gestational age greater than 27 weeks who were registered at community health centers and received prenatal care. A structured questionnaire regarding fatigue, sleep disturbance, and gestational stress was used. The data was analyzed using a t-test, an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Results: The subjects with unplanned pregnancies and irregular exercise patterns showed a higher level of fatigue than those with planned pregnancies and regular exercise patterns. Pregnant women with caffeine intake manifested higher levels of gestational stress and sleep disturbance than those without. The levels of sleep disturbance and gestational stress increased as the fatigue levels increased. The fatigue levels increased with increased levels of sleep disturbance. Conclusion: Planned pregnancy, regular exercise patterns, and caffeine intake were related with fatigue, sleep disturbance, and gestational stress in women during late stages of pregnancy. Fatigue, sleep disturbance, and gestational stress had close associations to each other. In the future, such results should guide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for women in late stages of pregnancy.

임부 스트레스 측정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평가 (Validity and Reliability Evaluation of Pregnancy Related Stress Scale)

  • 이혜정;서민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503-512
    • /
    • 2017
  • 임신 중 임부가 경험하는 스트레스는 출생하는 신생아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임신부의 심리사회적 안녕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 임부의 스트레스를 측정하는 도구는 매우 부족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1984년에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26문항의 안황란의 임부스트레스 측정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산전교육에 참석하는 200명의 임신부를 대상으로 임부스트레스, 우울과 일반적 특성에 대한 질문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2013년 3월과 5월에 자료수집을 하였다. 주요인 성분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으로 구성타당도를 검증하였고, 우울점수와의 상관관계분석으로 동시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원도구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6개 문항이 제외되고, 5개 요인(신체적 불편감, 태아, 양육, 배우자 관계, 가사일)이 추출되었고, 57.25%의 설명력을 보였다. 도구의 모형 적합도 지수는 수용할만하였으며, Cronbach's alpha는 .89였다. 우울점수와 상관관계는 유의하게 나타났다(r=.48, p <.001). 본 연구에서 시대적 변화를 반영하여 제시한 20문항의 임부스트레스 도구는 산전 진찰과 간호사정에서 임부의 스트레스 정도를 측정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임신한 청소년들을 위한 스트레스 대처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Stress Coping Program for Pregnant Adolescents)

  • 김만지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9권9호
    • /
    • pp.27-48
    • /
    • 200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stress coping program for pregnant adolescent to alleviate the stress levels and symptoms, and to cope with the stress adequately. The program of this study was based on the cognitive-behavioral theory and the stress management. The program was done twice a week totally 8 times and preview meeting was done 1 week before the program and follow-up was formed 4 weeks after finishing the program.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held and the group was 13. In case of qualitative research, the content of discussion in the course of group process, investigation, and the materials which were made from the group members were classified and analysed to the objects of program. first, the common change of members was reduction of stress levels by attending stress management program. Second, the coping skills for stress were verified and improved. More than one new coping skills were acquired such as positive re-evaluation, persuasion, self-talk, I-message communication method, assertive self-expression, and problem settlement. Third, the group members admitted their irrational beliefs and partially had a change of it. The implications for the future practice are discuss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