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임상 경과

Search Result 2,561,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Dystocia Causing Postrenal Azotemia in a Captive Spotted Hyena (Crocuta Crocuta) (점박이 하이에나에서 신후성 질소혈증을 유발한 난산 증례)

  • Han, Jae-Ik;Kim, Jeong-Ho;Lee, Sook-Jin;Lee, Jong-Won;Han, Sang-Hui;Na, Ki-Jeong;Kim, Ill-Hwa;Kang, Hyun-Gu
    • Journal of Veterinary Clinics
    • /
    • v.27 no.5
    • /
    • pp.614-617
    • /
    • 2010
  • A 3-year-old, female spotted hyena (Crocuta crocuta) was referred with dystocia. The hyena had been in labor for over 5 days, but she failed to expel the infant. The blood biochemistry profiles showed severe azotemia. During caesarian section, we confirmed that the uterus had expanded and contained 1 dead, decayed infant, which compress the urethra, leading to the expansion of the urinary bladder and that the dead fetus was nearly 3 kg in weight (approximately 5% of the maternal weight). Thus, we confirmed that the dystocia caused by oversized fetus and malposture, and the severe azotemia resulted in compression of the urethra by fetus in the hyena. This report is the first to show that the dystocia can induce postrenal azotemia in female spotted hyenas.

Accuracy of the Glenohumeral Joint Injection According to the Approach (도달 방법에 따른 관절와상완 관절내 주사의 정확도)

  • Choi, Nam Yong;Lee, Kang Wook;Kim, Hyung Seok;Song, Hyun Seok
    • The Journal of Korean Orthopaedic Ultrasound Society
    • /
    • v.6 no.2
    • /
    • pp.45-52
    • /
    • 2013
  • Purpose: We wanted to compare the accuracy between the blind anterior approach and ultrasound guided posterior approach, which are preferred in the present clinical practice for the glenohumeral joint injection. Materials and Methods: The consecutive 95 cases were included in that the glenohumeral joint injection was done in the university hospital and the medical record and ultrasonography were available. There were 52 cases which were injected by blind anterior approach (group I) and 43 cases who were injected by ultrasound guided posterior approach (group II). The injection was decided as accurate if the fluid was visualized in the posterior joint under the ultrasound. We evaluated the range of motion before and after 2 weeks of injection. A subjective satisfaction of the patients was interviewed at the 2 weeks after injection. Results: The accuracy of the glenohumeral joint injections of the group I and group II was 80.8% and 90.7%, respectively. The range of motion was improved for the all cases regardless of the approaches. At the 2 weeks after injection, the subjective satisfaction (better than good) was achieved in 73.7%. Conclusion: The accuracy of the blind anterior approach for the glenohumeral joint injection was 80.8%. The accuracy of the ultrasound guided posterior approach was 90.7%. In this comparative study by the one physician, the ultrasound guided posterior approach showed the better accuracy.

  • PDF

Assessment on Forest Resources Change using Permanent Plot Data in National Forest Inventory (국가산림자원조사 고정표본점 자료를 활용한 산림자원변화 평가에 관한 고찰)

  • Yim, Jong-Su;Kim, Eun Sook;Kim, Chel Min;Son, Yeong M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4 no.2
    • /
    • pp.239-247
    • /
    • 2015
  • Since 2006, new national forest inventory in Korea has been restructured to assess current status and and monitor the changes in forest resources based on permanent sample plots. The objective of estimate this study is to assess changes in forest resources such as land use/cover categories and forest stand variables. For this study, permanent plot data were collected between 2006-2008 and 2011-2013 in Chungcheongbuk-do, respectively. In order to produce land use/cover change matrix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as an activity data for estimating GreenHouse Gas inventory, permanent plots were classified into six land use/cover categories. Additionally, matrixes for assessing the changes in age class and dominant tree species can provide more detailed information. For forest stand variables(tree density, basal area, growing stock, mean diameter at breath height, and mean height), their growth and change were assessed. The periodic annual growth ratios for tree density and basal area were slightly declined whereas that of growing stock was estimated to be about 3.7%. The uncertainty of changes in forest stand variables is less than 5%, except for tree density (RSE: 58%). The variation of tree density is relatively high compared to the other variables.

Stand Growth Analysis and Carbon Storage/Removals Assesment using the Data of Forest Growth Monitoring Plots (고정조사구 자료를 이용한 임분생장 해석 및 탄소흡수${\cdot}$저장량 평가)

  • Kwon Soon Duk;Son Yeong Mo;Lee Kyeong Hak;Chong Se Kung;Kim Jung Myeong
    • Journal of Korea Foresty Energy
    • /
    • v.23 no.2
    • /
    • pp.1-8
    • /
    • 2004
  • This study looked into the change of tree growth of seven forest growth monitoring plots which were set up at the Undulyeong Hongchungun Kangwondo, and was accomplished to offer the basic data for the forest administration calculating carbon storage and removal in the Undulyeong area. Annual height and DBH growth were slowly progressed in the Pinus koraiensis and Larix kaempferi stand which was young stand, but the growth rate of the other stands was lower than those young stand. The diameter class of the mixed forest and Qurcus mongilica stand was predicted to be similar to the now and Pinus koraiensis and Larix kaempferi stand was predicted to move now diameter class to the high diameter class because thickening growth speed of the those stands were rapid. Now the end of 2003, total carbon storage of the Undulyeong model forest increased 149,000TC$(2.7\%)$ compared with the previous year. Seeing by forest types, occupied broad-leaved forest$(50\%)$, mixed forest$(34\%)$ and coniferous forest. During in 2003, total carbon which was removed and stored according to growth of the forest was 156,813TC and net carbon removal(148,664TC) increased into 2,613TC$(1.8\%)$ compared with the previous year. Seeing by forest types, occupied coniferous forest$(3.3\%)$, mixed forest$(3.1\%)$, broad-leaved forest$(2.8\%)$. Resultingly, the Undulyeong model forest is acting to net removal resource when see as green-gas side and net carbon removal are showing the tendency to increase recently little by little.

  • PDF

GIS based Effective Methodology for GAS Accident Management (GIS를 이용한 효율적인 가스사고관리 방법에 관한 연구)

  • 김태일;김계현;전방진;곽태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4.03a
    • /
    • pp.399-406
    • /
    • 2004
  • 최근 급속한 도시의 팽창과 산업의 발전으로 인하여 가스시설은 급속히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가스시설물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많은 도시가스업체에서는 가스관망 시설정보를 전산화하여 항상 최신의 현황을 유지할 수 있는 가스시설물관리시스템을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은 가스시설물의 현황파악 및 유지관리를 위한 기본적인 기능만을 제공하는 관계로, 가스 누출사고 발생시 정확한 사태의 파악과 함께 신속한 대책 마련을 위한 의사결정 지원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체계적인 가스사고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응용시스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가스사고분석을 신속하고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가스사고관리 적용알고리즘 분석 및 최적의 알고리즘을 정립하여 가스사고관리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결과는 1ㆍ2차 차단밸브의 산정이 가능해짐으로써 빈번한 가스 누출사고 발생시 실시간으로 적정대처방안의 제시가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누출 최대가스량을 제시함으로써 누출에 대한 피해예상 분석을 위한 정보 제공 및 가스의 신속한 재공급을 위해 필요한 의사결정 지원 정보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아울러, 가스누출사고에 의한 가스공급중단 관로 및 수용가에 대한 속성현황의 파악은 물론 시각적인 도식을 통한 전체적 현황파악이 가능하였다. 이러한 가스사고관리시스템의 개발을 통하여 사고 발생시 신속한 사고방안 제시 및 사고피해의 최소화를 위해 필요한 의사결정 지원 정보의 제공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국민의 안전 및 복지와 도시가스업체의 업무 효율화로 인한 예산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가시권 분석기능을 이용하여 실제 지형공간상에서 전파경로 손실치를 도시화함으로써 전파관리자가 무선서비스지역 설계, 전파음영지역 판단, 최적 중계기와 기지국 위치 선정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하지 않은 지역과 서로 다른 분광특성을 나타내므로 별도의 Segment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임상도의 경계선으로부터 획득된 Super-Object의 분광반사 값과 그 안에서 형성된 Sub-Object의 분광반사값의 차이를 이용하여 임상도의 갱신을 위한 변화지역을 탐지하였다.라서 획득한 시추코아에 대해서도 각 연구기관이 전 구간에 대해 동일하게 25%의 소유권을 가지고 있다. ?스굴 시추사업은 2008년까지 수행될 계획이며, 시추작업은 2005년까지 완료될 계획이다. 연구 진행과 관련하여, 공동연구의 명분을 높이고 분석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시료채취 및 기초자료 획득은 4개국의 연구원이 모여 공동으로 수행한 후의 결과물을 서로 공유하고, 자세한 전문분야 연구는 각 국의 대표기관이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방식을 택하였다 ?스굴에 대한 제1차 시추작업은 2004년 3월 말에 실시하였다. 시추작업 결과, 약 80m의 시추 코아가 성공적으로 회수되어 현재 러시아 이르쿠츠크 지구화학연구소에 보관중이다. 이 시추코아는 2004년 8월 중순경에 4개국 연구팀원들에 의해 공동으로 기재된 후에 분할될 계획이다. 분할된 시료는 국내로 운반되어 다양한 전문분야별 연구에 이용될 것이다. 한편, 제2차 시추작업은 2004년 12월에서 2005년 2월 사이에 실시될 계획이다. 수백만년에 이르는 장기간에 걸쳐 지구환경변화 기록이 보존되어 있는 ?스굴호에 대한

  • PDF

Assessment of actual condition based on GIS for UHF band Propagation Interference caused by Apartment (GIS를 활용한 아파트 지역의 전파 장애 실태 평가)

  • 김진택;엄정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4.03a
    • /
    • pp.389-397
    • /
    • 2004
  • 본 연구는 GIS를 이용하여 아파트 단지의 UHF대역의 전파장애에 대한 예측모델을 제시한다. 전파예측모델은 기지국 및 중계기 위치설계와 전파음영지역 결정 등 무선네트워크 서비스에 결정적으로 활용된다 기존의 전파예측모델은 한국지형요소나 3차원 공간기술이 반영되지 않고 외국지형기반의 2차원적인 접근으로 개발되어 있다. 특히 많은 사람이 거주하는 아파트단지에 대해서는 고려가 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며, 마치 아파트 단지가 일반 건물로 취급되어 전파환경 요소로 분류되지 않은 상태이다. 그리고 전파관리자가 기존 전파 예측모델을 이용한 무선네트워크 설계 및 운용등에 있어 정확한 의사결정지원에 어려움이 많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아파트 단지의 전파에 대한 영향을 3차원 공간밀집, 건물높이, 전파의 전송방향에 대한 건물배치등 3가지 요소로 분류하고 GIS 도구로 그 요소들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상관과 회귀분석등 정량적인 방법으로 평가하여 아파트 전파예측모델(GARP)을 개발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첫째, 아파트 단지가 UHF 대역의 전파에 대한 영향은 전파진행방향성이 57%, 공간밀집이 30%, 건물높이가 13%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아파트 모델은 기존 모델에 비해 평균 6.3dBm, 최소 2.15 ~ 최대 12.48dBm의 개선 효과가 있다. 셋째, 급속히 확산되는 도시 개발에 3차원 공간상에서 전파예측모델을 시뮬레이션하여 전파의 영향을 예측할 수 있으며, 대단지 아파트 건설과 전파환경영향평가의 기초정보 수집에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GARP모델과 GIS 가시권 분석기능을 이용하여 실제 지형공간상에서 전파경로 손실치를 도시화함으로써 전파관리자가 무선서비스지역 설계, 전파음영지역 판단, 최적 중계기와 기지국 위치 선정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하지 않은 지역과 서로 다른 분광특성을 나타내므로 별도의 Segment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임상도의 경계선으로부터 획득된 Super-Object의 분광반사 값과 그 안에서 형성된 Sub-Object의 분광반사값의 차이를 이용하여 임상도의 갱신을 위한 변화지역을 탐지하였다.라서 획득한 시추코아에 대해서도 각 연구기관이 전 구간에 대해 동일하게 25%의 소유권을 가지고 있다. ?스굴 시추사업은 2008년까지 수행될 계획이며, 시추작업은 2005년까지 완료될 계획이다. 연구 진행과 관련하여, 공동연구의 명분을 높이고 분석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시료채취 및 기초자료 획득은 4개국의 연구원이 모여 공동으로 수행한 후의 결과물을 서로 공유하고, 자세한 전문분야 연구는 각 국의 대표기관이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방식을 택하였다 ?스굴에 대한 제1차 시추작업은 2004년 3월 말에 실시하였다. 시추작업 결과, 약 80m의 시추 코아가 성공적으로 회수되어 현재 러시아 이르쿠츠크 지구화학연구소에 보관중이다. 이 시추코아는 2004년 8월 중순경에 4개국 연구팀원들에 의해 공동으로 기재된 후에 분할될 계획이다. 분할된 시료는 국내로 운반되어 다양한 전문분야별 연구에 이용될 것이다. 한편, 제2차 시추작업은 2004년 12월에서 2005년 2월 사이에 실시될 계획이다. 수백만년에 이르는 장기간에 걸쳐 지구환경변화 기록이 보존되어 있는 ?스굴호에 대한 시추사업은 후기 신생대 동안 유라시아 대륙 중부에서 일어난 지구환경 및 기후변화를 이해함과 동시에 이러한 변화가 육상생태계 및 지표지질환경에 미친 영향을 이해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lieve in safety with Radioactivity wastes control for harmony with Environment.d by the experiments under vari

  • PDF

Survey of the public's knowledge and opinions;the therapeutic effects of current orally administered drugs for periodontal diseases (시판중인 경구 치주질환치료제의 효과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도 조사)

  • Sohn, Kang-Bae;Yang, Byung-Kun;Lee, Chul-Woo;Kim, Tae-Il;Ku, Young;Han, Soo-Boo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6 no.1
    • /
    • pp.179-194
    • /
    • 2006
  • 목적 : 이번 연구에서는 일반인의 치주질환 치료제에 대한 인식도를 설문을 통하여 알아보았고 현재 국내에서 시판중인 치주질환, 치료제를 의약품 검색 사이트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조사한 치료제의 효과를 해당 약품의 성분과 관련된 문헌을 고찰함으로써 알아보았다. 재료 및 방법 : 일반인의 치주질환 치료제에 대한 인지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열 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은 한림대학교 성심병원 산업의학과에 정기 건강검진을 위하여 내원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보건복지부에 등록된 치주질환 치료제를 조사하기 위하여 킴스 온라인 홈페이지를 이용하였다. 의약품 종합 검색 페이지에서 '추가조건 입력하기'의 '복지부 분류'란에 '231. 치과-구강용약'의 조건을 주어 검색하였다. 검색 결과로부터 경구 치주질환 치료제를 구별하여 정리하였다. 치주질환 치료제와 관련된 문헌을 조사하기 위하여 미국 국립도서관의 검색 서비스인 Pubmed 홈페이지를 이용하였다. 검색어는 각 지료제의 성분명과 치은염, 치주염, 치주질환의 조합어를 사용하였다. 결과 : 설문에 참여한 사람은 100명이었다. 이 중 85%는 치주질환이라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었으며 72%는 자신의 치주건강상태가 좋지 않다고 생각하였다. 14%는 치주질환 치료제를 복용한 경험이 있었다. 61%는 치주질환 치료제에 관한 정보를 광고로부터 획득하였다. 향후 치주질환 치료제의 선택과 관련하여 35%는 치과의사에게, 24%는 의사에게 그리고 20%는 약사에게 문의하겠다고 대답하였다. 치주질환 치료제는 70개였다. 이 중 38개는 아스코르빈산 제제, 25개는 옥수수 불검화 추출물 제제, 5개는 저용량 독시싸이클린 제제였고 아보카도-콩 불검화물과 동양의학적 제제가 각각 한 개였다. 결론 : 치주질환 치료제에 대한 일반인의 인지도는 비교적 낮았으며 정보를 획득하는 주요 경로는 광고였다. 일반인들이 치주질환 치료제를 선택하는 데 치과의사는 큰 역할을 하지 못하였다. 시판중인 치주질환 치료제는 70개였다. 치료제는 다섯 개의 군으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아스코르빈산 제제, 옥수수 불검화 추출물 및 저용량 독시싸이클린이 대부분이었고 아보카도-콩 불검화물과 동양의학적 제제는 각각 한 개였다. 옥수수 불검화 추출물과 저용량 독시싸이클린은 임상 연구에 의해 그 효과가 입증되었으나 아스코르빈산 제제는 임상 연구가 없었으며 따라서 이상적인 제제라고 할 수 있다. 기존의 문헌에 기초하여 볼 때 옥수수 불검화 추출물과 저용량 독시싸이클린만이 전통적인 치주질환 치료법(SRP)과 병행하여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

Influence of Sleep-Related Breathing Disorders on Changes of Cardiovascular Function (수면과 관련된 호흡장애가 심혈관계의 기능 변화에 미치는 영향)

  • Moon, Hwa-Sik
    •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 /
    • v.4 no.2
    • /
    • pp.129-139
    • /
    • 1997
  • The data collected to date indicate that sleep-related breathing disorders, including sleep-disordered breathing(sleep apnea) and underlying respiratory system diseases, are one of the important risk factors for cardiovascular dysfunction. Sleep-disordered breathing(sleep apnea) is now recognized as one of the leading causes of systemic hypertension, cardiac arrhythmias, coronary heart disease, pulmonary hypertension, right heart failure, and stroke. Sleep may exert a profound effect on breathing in patients with underlying respiratory system disease including bronchopumonary diseases, chest wall abnormalities, central alveolar hypoventilation syndromes or respiratory neuromuscular disorders. Chronic hypoxia and hypercapnia in these patients may accelerate the development of long term cardiovascular complications such as cardiac arrhythmias, pulmonary hypertension, and right heart failure(cor pulmonale). Several recent studies reported that sleep-related breathing disorders are associated with long-term cardiovascular morbidity and mortality. Careful assessment of respiratory and cardiovascular function in these patients is critical. Aggressive and highly effective treatment of sleep-related breathing disorders using tracheostomy, mechanical ventilation, nasal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therapy(nCPAP), intercurrent oxygen therapy or other interventions can reduce the prevalence of cardiovascular dysfunction and the long-term mortality.

  • PDF

The Changes of Soil Microarthropoda at the Burned Areas by Forest Type (임상별(林相別) 산화지역(山火地域)의 토양미소절지동물(土壤微小節肢動物) 변화(變化))

  • Oh, Ki-Cheol;Kim, Jong-Kab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89 no.3
    • /
    • pp.287-296
    • /
    • 200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and compare the changes of inhabitation of soil microarthropoda after forest fire between different types of forest; i.e. the coniferous forest (Mt. Chocdae) and the broad-leaved forest (Samsinbong in Mt. Chiri). The individuals of soil microarthropoda found at the burned and unburned areas of Samsinbong and Mt. Chocdae were 12 orders in 5 classes, and individuals of Insecta and Arachnida 98% of them. In respect of classification groups, Collembola order was high at the burned and unburned areas of coniferous forest, while Acari order was high at the broad-leaved area. When classified by soil depth, the total number of soil microarthropoda individuals inhabiting at Samsinbong, the broad-leaved forest, was 25,342 and 37,350 at 1~5cm depth of burned and unburned areas respectively, while at 5~10cm depth the number turned out 9,722 and 15,906. Soil microarthropoda individuals of unburned area was 1.6 times higher than for the burned area. At the coniferous forest, the number marked 31,665 and 51,431, respectively for 1~5cm depth of burned and unburned area, and 10,189 and 13,202 for 5~10cm depth. Here also, the number for the unburned area was examined to be 1.4 times higher than for the burned area.

  • PDF

A Clinical Review of Ectopic Pregnancy (자궁외임신의 임상적 고찰)

  • Hwang, Tai-Young;Nah, Yong-Yun;Kim, Jong-Wook;Park, Wan-Seok;Lee, Tae-Hyung;Lee, Sung-Ho;Chung, Wun-Yong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v.2 no.1
    • /
    • pp.229-235
    • /
    • 1985
  • This study was undertaken for the clinical evaluation and statistical analysis on the 88 women with histopathologically confirmed ectopic pregnancies who were admitted and treated from grand opening on May-28, 1983 to Sept.-30, 1985. Incidence of ectopic pregnancy was 1 in 22.2 deliveries and the most common age group was in 30~34 years of age. There was tendency of decreasing incidencies as the gravidity, panty or artificial abortion were over 3. The most common etiologic factor was pelvic inflammatory disease and procedures for family planning were the next common. Common symptoms were lower abdominal pain (85.2%) and vaginal spotting (56.8%). At the admission, hemoglobin level under 10gm% were 44.3%, 69.5% of urine HCG tests were positive. Culdocentesis was positive only in 75.9%. Termination was frequent at 6 ~ 7 weeks of gestation mostly with rupture or abortion. Free blood in the abdominal cavity was averaged 1,224 ml. 4 cases of clinicobiochemically suspected ectopic pregnancies with spontaneous regression were excluded, and there was no fatal case treated in hospita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