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curacy of the Glenohumeral Joint Injection According to the Approach

도달 방법에 따른 관절와상완 관절내 주사의 정확도

  • Choi, Nam Yong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t.Paul'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Lee, Kang Wook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t.Paul'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Kim, Hyung Seok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t.Paul'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Song, Hyun Seok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t.Paul'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최남용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성바오로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이강욱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성바오로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김형석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성바오로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송현석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성바오로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Published : 2013.09.30

Abstract

Purpose: We wanted to compare the accuracy between the blind anterior approach and ultrasound guided posterior approach, which are preferred in the present clinical practice for the glenohumeral joint injection. Materials and Methods: The consecutive 95 cases were included in that the glenohumeral joint injection was done in the university hospital and the medical record and ultrasonography were available. There were 52 cases which were injected by blind anterior approach (group I) and 43 cases who were injected by ultrasound guided posterior approach (group II). The injection was decided as accurate if the fluid was visualized in the posterior joint under the ultrasound. We evaluated the range of motion before and after 2 weeks of injection. A subjective satisfaction of the patients was interviewed at the 2 weeks after injection. Results: The accuracy of the glenohumeral joint injections of the group I and group II was 80.8% and 90.7%, respectively. The range of motion was improved for the all cases regardless of the approaches. At the 2 weeks after injection, the subjective satisfaction (better than good) was achieved in 73.7%. Conclusion: The accuracy of the blind anterior approach for the glenohumeral joint injection was 80.8%. The accuracy of the ultrasound guided posterior approach was 90.7%. In this comparative study by the one physician, the ultrasound guided posterior approach showed the better accuracy.

목적: 관절와상완 관절내 주사의 도달법에 있어서, 현재 임상에서 선호되고 있는 맹검 도달법에 의한 전방 도달법과 초음파 장비를 이용한 후방 도달법의 주사 정확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서 견관절의 관절와상완 관절내 주사를 시행하였으며, 시술 전-후의 임상 경과에 관한 의무기록 및 초음파 영상의 확인이 가능한 연속적인 95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맹검법을 사용하여 전방 도달을 시행한 52예(I군), 초음파 장비를 이용하여 후방 도달을 시행한 43예(II군)였다. 후방 관절내에서 주사액의 존재가 초음파로 확인된 경우에 관절내 주사의 성공으로 판정하였다. 주사 주입전과 주사 후 2주의 견관절의 운동 범위를 측정하였다. 시술 후 2주 추시시 환자의 주관적인 증상 호전 정도를 기록하였다. 결과: 맹검 전방도달법(I군)에서의 관절내 주사의 정확도는 80.8%였으며, 초음파 유도하 후방 도달법(II군)에서의 성공률은 90.7%였다. 모든 환자에게서 관절와 상완 관절내 주사의 도달법에 상관 없이, 견관절의 운동 범위의 증가를 보였다. 시술 후 2주 추시 관찰 시, 양호 이상의 만족을 보인 환자는 73.7%(70/95)였다. 결론: 맹검법에 의한 전방 도달법을 이용한 관절와상완 관절내 주사의 성공률은 80.8%였다. 초음파 장비를 이용한 후방 도달법을 이용한 관절와상완 관절내 주사의 성공률은 90.7%였다. 동일한 시술자에 의한 두 가지 방법의 비교 연구에서, 초음파 유도하 후방 도달법이 보다 우월한 정확도를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