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임상실무

검색결과 270건 처리시간 0.027초

간호사의 임상실무지침서 사용현황과 근거중심 임상실무지침서 요구도 조사 (Nurses' Usage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 and Demand of Evidence 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

  • 하미숙;박명화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82-592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ffer the baseline data for developing a systematic and high quality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 by exploring how nurses utilize clinical guidelines and what they need for. Method: This study has been done with 242 nurses of a university hospital in Daegu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developed by research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vious studies. Data analysis was done with SPSS 11.0 Program. Results: Nurses felt that clinical guidelines were not sufficiently disseminated to update their clinical knowledge education. Nurses showed the strong demand for developing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with the newest and systematic evidence. However, a relatively low number of nurses knew evidence-based nursing and evidence-based clinical guidelines.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for evidence-based nursing and an evidence-based nursing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nurses and to explore the strategies for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evidence-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to solve the urgent and frequent clinical problems.

  • PDF

PC와 스마트 폰 기반 임상간호분류체계 교육 코스웨어 개발 (Development of Education Courseware for Clinical Care Classification System based PC and Smartphone)

  • 홍해숙;이인근;조훈;김화선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49-56
    • /
    • 2011
  •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으면서 컴퓨터 또는 스마트 폰을 활용하여 간호사나 간호학생들의 평생교육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간호분류체계를 교육 프로그램으로 개발하여 간호학생의 임상실무를 위한 가이드라인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북 가이드라인과 개발된 PC 기반 가이드라인의 검색 시간을 비교한 결과 3.5배 이상 빠른 결과를 획득하였다. 오류율도 4배 이상 적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간호 실무에서 빠르고 정확하게 중재 및 평가 가이드라인에 접근하므로 환자에게 정확한 중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임상연구환자를 돌보는 병동간호사와 임상연구간호사의 역할기대와 협력 인식 (Role Expectations and Cooperation of Staff Nurses and Clinical Research Nurses who take care of Clinical Research Patientser)

  • 이혜영;김상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420-430
    • /
    • 2021
  • 입원을 경험하는 임상연구 환자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이들을 돌보는 간호사들의 업무가 증가하고 있으나, 모호한 역할 경계로 혼란이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임상연구업무 중 병동간호사의 참여가 가능한 직접실무 제공업무, 교육 및 상담업무, 옹호 및 조정업무에 대한 역할기대와 병동에서의 협력인식 및 협력 장애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병동 간호사 66명, 임상연구간호사 65명이었다. 자료수집은 SAS 9.3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 통계, two-sample t-test, 𝑥2 test 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임상연구 간호업무의 직접실무 제공영역, 교육 및 상담영역, 옹호 및 조정영역을 포함한 역할기대 점수는 병동간호사는 4.56±0.41점, 임상연구간호사는 3.83±0.60점으로 서로에 대한 역할기대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통계적으로 병동간호사의 역할기대가 유의하게 (p<.001) 임상연구간호사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두 군 간의 협력 인식은 5개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협력장애요인으로는 업무과중과 임상연구에 대한 인식부재가 높은 순위로 나타났다. 높은 역할기대는 역할 갈등의 요소가 된다. 그러므로, 새로운 임상연구 간호업무에서의 병동간호사와 임상연구간호사의 역할 정립을 위하여 절차 마련과 효과적인 실무 관행의 정착, 공식적 시스템 운영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두 군 간의 협력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서로를 동반자로 생각하고 상대에 대한 전문성을 인정할 수 있는 상호 신뢰하고 협력하는 문화가 형성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의 예방을 위한 근거기반 간호실무지침 개발 (Development of Evidence-Based Nursing Practice Guideline for Prevention of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 김화영;류세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630-644
    • /
    • 2021
  • 본 연구는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예방을 위한 근거기반 간호실무지침을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의 하이브리드 방법에 따라 근거기반 간호실무지침을 개발하고 유효성을 검증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주제와 핵심 질문은 문헌 검토와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도출하였고, 핵심 질문과 관련된 권고안은 체계적 검색과 선정에 의한 기존 가이드라인을 분석하여 수렴하였으며, 미해결 핵심 질문과 관련된 권고안은 체계적고찰과 메타 분석을 통해 새로 개발하였다. 개발된 권고안은 RAND에 의한 유효성 검증과 간호실무지침 초안은 AGREE II에 의한 방법론적 질평가를 수행하였다. 9개 범주의 44개 권고안으로 구성된 최종 간호실무지침의 임상타당성은 중환자실 간호사 122명을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최종 개발된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예방을 위한 근거기반 간호실무지침은 방법론적 타당성과 내용타당도가 검증되었고 우리 간호실무 환경에 적합하여 중환자 간호실무의 질적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입원환자의 급성 악화 신속대응 가이드라인 개발 (Development of Guidelines for Raid Response to Acute Deteriorating of Hospitalized Patients)

  • 이하늬;박정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359-373
    • /
    • 2022
  • 본 연구는 입원환자들의 급성 악화 시 신속한 대응을 위한 근거 기반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해 기존의 가이드라인을 검색하였고, 총 13편이 선정되어 가이드라인에 대한 Appraisal of guidelines for research and evaluation (AGREE II) 도구를 활용한 질 평가, 최신성 평가, 권고 내용 비교표를 통한 내용 및 권고안의 근거평가, 권고의 수용성 및 적용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본 가이드라인은 신속대응체계의 개념 모형에 따라 관리, 인식, 활성화, 대응, 평가에 대한 권고로 구성되어 있다. 전문가 16명에게 가이드라인 초안의 적절성, 적용 가능성, 효과성에 대한 평가와 적용 여부에 대한 검토를 통해 최종적인 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130개의 권고를 확정하였다. 가이드라인의 실무 적용성 평가를 위해 임상 현장에서 신속대응 업무를 수행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실무 적용성을 파악한 결과, 가이드라인에 대한 전체 실무 적용성 평균은 5점 만점에 4.41±0.78점으로 지침 내용에 대한 실제 임상 업무에서의 적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폰즈스쿨의 임상치위생학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국내 임상치위생학 교육과정에 관한 고찰 (Study on Clinical Dental Hygiene in Korea Based on Analysis of Clinical Dental Hygiene Curriculum of Fones School in the United States)

  • 최용금;임근옥;한양금;배수명;신보미;안세연;전현선;김진;장선옥;김혜진;박지은;임희정;장윤정;정진아;이효진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23-13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국제적인 치위생계의 임상실무와 교육의 표준인 치위생 관리 과정을 기반으로 표준화된 치위생 교육기관인 미국 폰즈스쿨의 임상치위생학 교육과정에 대해 심층분석 함으로써 국내 실정에 맞는 임상치위생학 교육과정의 표준화 방안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2015~2016년 폰즈스쿨의 임상치위생학은 모두 'Dental Hygiene Clinical Practice (DHYG)'라는 과목명으로 운영되었고, 실습의 비중이 매우 컸으며, 실습강의는 교수 1명당 학생 5명이 한 팀으로 운영되었다. 폰즈스쿨의 학과 목표는 브릿지포트 대학교의 미션에 따라 설정되었고, 폰즈스쿨의 임상치위생학 교육목표 또한 폰즈스쿨의 학과 목표에 기반하여 설정되었다. 또한, 임상치위생학의 교육목표는 ADHA에서 제시한 치위생임상 실무표준에 따라 개발되었고, 이를 기반으로 임상치위생학 교육을 통해 달성해야 하는 임상 핵심역량과 세부역량을 제시하고 있었다. 임상치위생학 교육내용은 다양한 대상자에게 적절한 치위생 관리 과정을 제공하기 위한 이론 및 실습으로 구성되었고, 특히, 졸업 후 실제 임상 현장에서 수행하게 될 업무에 대한 실습내용이 다뤄졌다. 학생은 대상자/환자별로 수행한 술식에 문서를 작성하여 교수자와 함께 검토 및 보완작업을 통해 치위생 임상역량을 높이고자 하였다. 실습내용 중 치위생 관리 과정 실습은 필수적으로 어린이, 청소년, 성인, 노인, 특별환자를 대상으로 선정해야 하며, 구강 상태에 따라 중등도 이상의 치주환자를 포함해야 했다. 이론평가는 지필고사 혹은 사례연구 발표 등으로 이루어졌고, 실습평가는 주로 임상역량의 달성 정도에 따라 평가되었다. 특히 교수자의 로테이션 평가를 실시하였는데, 이를 통해 모든 학생의 임상역량 달성 정도를 파악하고 부족한 역량에 대해 개선방안을 함께 모색하는 과정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ADHA에서 제시하는 치위생임상 실무표준에 따라 운영되고 있는 표준화된 임상치위생학 교육과정을 심층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향후 우리나라 임상치위생학의 개선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되었다.

중환자 간호실무 질 향상을 위한 근거중심 임상실무지침서의 개발 (Development of Evidence 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 to Improve Quality of Critical Care Nursing)

  • 박명화
    • 중환자간호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68-78
    • /
    • 2009
  • Evidence 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 are designed to help healthcare practitioners evaluate and implement the increasing amount of evidence on best practice. Critical care area is one of the clinical sites where evidence 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 is needed most. This paper reviewed the definition of evidence 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the development method of evidence 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 and the current trends in guideline developing. Traditional method of guideline development is consensus based but it moves into evidence based development. Evidence based guideline is based on best available evidence and uses the strongest method to determine its effect on clinical outcomes. The current trends in guidelines is to develop the guideline at regional/national level and do subsequent modification to suit local circumstances. There is an urgent need of exploring the method of guideline development and adaptation which are appropriate for Korean clinical setting.

  • PDF

치위생학과 학생의 임상실습 적극성 유발요인에 대한 개념도 연구 (A Concept Mapping Study on Factors Inducing Dental Hygiene Student's Activeness During Clinical Practice)

  • 김형미;정미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359-366
    • /
    • 2020
  • 치위생학과 임상실습 시 실습생의 적극성을 유발하는 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임상실습에 참여한 학생을 대상으로 2019.9.2.부터 2019.9.27.까지 개념도 연구를 수행하였다. 초점질문은 '임상 실습 시 적극성을 유발시키는 요인은 무엇입니까?' 이었고, 이에 대한 응답을 분석하여 총 33개의 진술문을 도출하였다. 다차원척도분석과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적극성을 유발하는 요인은 '실습에 관한 정보 제공', '실무 참여 가능성', '적응 가능성', '교육자 태도', '교육자 인내심', '실습생 대우' 등 6가지로 나타났고, 이 중 적극성을 가장 높게 유발하는 요인은 '실무 참여 가능성'으로 나타났다. 적극성을 높이는 항목은 '실습 매뉴얼을 제공한다.', '가까이에서 자세히 관찰할 수 있다.', '충분한 기간동안 실습한다.', '교육자의 태도가 친절하다.' 등 4가지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임상실습 효과를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임상 간호사의 약리학 지식과 임상실무 연계성 및 교육내용 필요도 (A Study on Perceived Connectivity between Pharmacological Knowledge and Clinical Practice, and the Need for Pharmacology Education Contents in Undergraduate Courses among Clinical Nurses)

  • 김철규;조미경;박승미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6권1호
    • /
    • pp.41-51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linical nurses' knowledge of pharmacology, their need on pharmacology education contents, and perceived connectivity between knowledge and clinical practice. Methods: Subjects consisted of 114 clinical nurses. They responded to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bout knowledge of pharmacology and need in pharmacology, and perceived connectivity between the knowledge and clinical practice. Results: The mean score of knowledge of pharmacology was $5.2{\pm}1.7$. The mean score of need on pharmacology in clinical practice was $7.9{\pm}1.9$, and those of satisfaction, application, and confidence with clinical performance by applying the knowledge to clinical practice were $7.4{\pm}1.9$, $6.8{\pm}2.0$, and $7.5{\pm}2.1$ respectively. Knowledge of pharmacolog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erceived connectivity between knowledge and clinical practice. Scores of need of dose calculations was the highest among 14 units of pharmacology education contents in undergraduate courses while that of development of new drugs was the lowest. Scores of need of coagulation modifier drugs and thrombolytic agents were the highest among 16 units of pharmacology education contents by system specific drug while those of dermatologic and ophthalmic drugs were the lowest.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knowledge of pharmacology is important in promoting perceived connectivity with clinical practice by applying knowledge to clinical practice.

임상초음파사의 전문직 자아개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onographers' Professional Self-Concept on Job Satisfaction)

  • 양성희;최정미;이진수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0권3호
    • /
    • pp.485-491
    • /
    • 2017
  • 본 연구는 전문직 자아개념 및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임상초음파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수행하였다. 자료 수집은 일개지역 임상초음파사 141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회수된 자료의 분석은 SPSS를 사용하였으며, 전문직 자아개념과 직무만족도의 차이검정은 독립표본 t 검정(independent t-test)과 일원배치분산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고 분석결과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검증된 경우 Sheffe를 이용하여 사후검증 하였다. 그 결과 전문직 자아개념 및 직무만족도는 기혼일수록, 실무경력에 따른 급여가 적절한 경우와 전문자격증을 취득한 경우 높게 나타났다. 또한 직무만족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전문직 자아개념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임상초음파사들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업무능력 개발을 위한 전문자격 제도의 정착과 실무 경력에 따른 적절한 보상체계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