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임부상태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4초

임부의 상태불안, 부부적응이 임신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ate-Anxiety and Dyadic Adjustment on Pregnant Women's Pregnancy Stress)

  • 황란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5호
    • /
    • pp.225-23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임부의 상태불안, 부부적응 및 임신스트레스 정도를 측정하고, 상태불안과 부부적응이 임신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산전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158명의 임부를 대상으로,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여 지료를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상태불안은 평균 $39.59{\pm}8.78$점(범위:20~80점)으로,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부부적응은 평균 $59.62{\pm}12.69$점(범위:14~84점)으로, 교육정도, 종교 유무 및 가족의 수입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임신스트레스는 평균 $61.75{\pm}13.86$점(범위:27~135점)으로, 일반적 특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임신스트레스는 상태불안과 유의한 수준의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부적응과는 유의한 수준의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태불안과 부부적응과는 유의한 수준의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부의 임신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상태불안이었다. 임부의 상태불안이 1점 높을수록 임신스트레스는 0.799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임신스트레스 영향요인에 대한 회귀모형은 유의하였고 설명력은 25.1%였다. 본 연구결과는 임부의 정서적 건강관리를 위한 산전교육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향후 임부의 임신스트레스와 상태불안 완화를 위한 표준화된 간호중재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임부의 사회적 지지, 임신 스트레스, 그리고 불안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egnant Woman Social Support, Pregnancy Stress and Anxiety on Quality of Life)

  • 김정숙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50-56
    • /
    • 2021
  • 본 연구는 임부의 사회적 지지, 임신 스트레스 그리고 불안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 되었다. 본 연구는 2개 지역 D 와 S 지역에 거주하는 임부 117명을 대상으로 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설문 전 연구의 취지와, 목적, 절차에 대하여 설명을 하고 진행하였다. 자료는 SPSS 21.0 을 이용하였고, 빈도분석, 분산분석, t검증, 상관분석, 희귀분석으로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2020년 1월부터 2월까지 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부의 삶의 질 차이는 수면시간, 경제수준, 건강상태, 활동량, 임신주기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사회적 지지(β= .432, p= .000), 임신 스트레스(β=- .407, p= .000), 불안(β=- .182, p= .010) 순으로 확인되었다. 임부는 임신 스트레스와 불안 등을 경험하는 삶의 질 저하문제로 이어질 수 있어 임부에 대한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해야 할 것이며 삶의 질 증진을 위한 적극적인 간호중재 제공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된다.

임부의 정기적인 인접면 세균막 관리와 치주건강상태간의 연관성 (Association between Regular Interdental Cleaning and Periodontal Condition among Pregnant Women)

  • 하정은;김현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144-151
    • /
    • 2017
  • 임부의 구강건강과 건강한 출산을 위하여 치주조직 감염을 적절하게 관리하기 위한 효율적인 임신기 구강건강관리법을 제시하고자, 임신부 319명을 대상으로 인접면 세균막 관리가 임상적 및 세균학적 치주조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정기적으로 인접면 세균막 관리를 시행하는 군보다 비정기적으로 관리하거나, 인접면 세균막 관리를 하지 않는 군에서 치은출혈 조직 수 및 치은염, 치주염 유병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접면 세균막 관리를 정기적으로 시행하지 않을 경우, P. gingivalis가 더 많이 검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임부의 치실 및 치간솔 사용과 같은 인접면 세균막 관리는 임부의 치주조직건강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부 스트레스 측정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평가 (Validity and Reliability Evaluation of Pregnancy Related Stress Scale)

  • 이혜정;서민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503-512
    • /
    • 2017
  • 임신 중 임부가 경험하는 스트레스는 출생하는 신생아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임신부의 심리사회적 안녕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 임부의 스트레스를 측정하는 도구는 매우 부족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1984년에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26문항의 안황란의 임부스트레스 측정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산전교육에 참석하는 200명의 임신부를 대상으로 임부스트레스, 우울과 일반적 특성에 대한 질문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2013년 3월과 5월에 자료수집을 하였다. 주요인 성분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으로 구성타당도를 검증하였고, 우울점수와의 상관관계분석으로 동시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원도구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6개 문항이 제외되고, 5개 요인(신체적 불편감, 태아, 양육, 배우자 관계, 가사일)이 추출되었고, 57.25%의 설명력을 보였다. 도구의 모형 적합도 지수는 수용할만하였으며, Cronbach's alpha는 .89였다. 우울점수와 상관관계는 유의하게 나타났다(r=.48, p <.001). 본 연구에서 시대적 변화를 반영하여 제시한 20문항의 임부스트레스 도구는 산전 진찰과 간호사정에서 임부의 스트레스 정도를 측정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임부의 위험상태에 따른 모성역할 획득의 예측인자들 (Predictors of Maternal Role Acquisition by Risk Status)

  • 이선아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940-950
    • /
    • 1999
  • One hundred two high-risk women(HRW) and 115 low-risk women(LRW) were studied at post-partal hospitalization and at 1, 4, and 8 months after giving birth to determine whether they would differ in the achievement of perceived maternal acquisition and whether predictors of maternal acquisition would differ for the two groups over time. The subjects were 102 HRW and 115 LRW, all in the above 27 weeks, admitted to two hospitals and to two clinic in the Kyoungnam area between July 1, 1998 and May 4, 1999. The data were analyzed by a SPSS program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Predictors of Maternal role acquisition in the HRW were fetal attachment, maternal attachment, state anxiety, relationships of partner, social support in the early postpartum, maternal attachment, relationships of partner, depression, infant's health status in the postpartal 1 month, relationships of partner, self-esteem, educational degree in the postpartal 4 month, and maternal attachment, social supports in the postpartal 8 month. 2) Predictors of Maternal role acquisition in the LRW were fetal attachment, social supports, perceived experience about labor and delivery in the early postpartum, maternal attachment, sense of mastery in the postpartal 1 month, sense of mastery, experience with infants, relationships of partner in the postpartal 4 month and maternal attachment, experience with infants, social supports in the postpartal 8 month. 3) The hypothesis that HRW would score significantly lower on maternal competency than LRW was rejected. 4) The hypothesis that maternal acquisition would be significantly related to maternal attachment was accepted.

  • PDF

복식호흡이 조기진통임부의 상태불안, 스트레스, 진통억제제 투여량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bdominal Breathing on State Anxiety, Stress, and Tocolytic Dosage for Pregnant Women in Preterm Labor)

  • 유우정;송주은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442-452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abdominal breathing on state anxiety, stress and tocolytic dosage for pregnant women in preterm labor.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60 pregnant women in preterm labor who were hospitalized from April to July, 2009. Thirty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30 to the control group. None of them had any other complications except preterm labor. The modified Mason's breathing technique was used with the experimental group 3 times a day for 3 days.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and chart review, and analyzed with the SPSS 13.0 WIN program. Results: "State anxiety of the experimental group will be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Stress of the experimental group will be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The Ritodrine dosage for the experimental group will be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The Atosiban dosage for the experimental group will be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bdominal breathing i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pregnant women in preterm labor.

임부의 수면양상 (Sleep Patterns of Pregnant Women)

  • 최병선;윤진상
    • 수면정신생리
    • /
    • 제5권1호
    • /
    • pp.45-53
    • /
    • 1998
  • 연구배경 : 본 연구는 정상 단태 임부에서 임신 경과에 따른 수면양상의 변화 및 그 원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임신 제1 삼분기에 수면설문지를 작성한 임부를 대상으로, 임신 제2 및 제3 삼분기에도 동일한 수면 설문지를 가지고 추적조사를 하였다. 조사내용은 각 임신 시기에서의 수면 잠복기, 총 수면시간, 수면중 깨는 횟수, 각성시 회복감, 주간의 상태, 수면 자세, 수면 양상변화의 원인 등이었다. 결과 : 다음은 총 3회의 설문조사를 성실히 수행했던 26명의 임부에 대한자료분석의 결과이다. 1. 각 임신 시기와 임신전과의 비교 결과, 수면 잠복기는 임신 제1 및 제2 삼분기에서 감소하였고, 총 수면시간은 임신 제1, 제2 및 제3 삼분기에서 모두 증가하였다. 임신 제3 삼분기에는 수면 중 깨는 횟수가 증가하였고, 각성시 회복감이 감소하였다. 임신 제1, 제2 및 제3 삼분기 모두에서 주간에 피곤감과 졸리움이 증가하였다. 2. 각 임신 시기간의 비교 결과, 임신 제3 삼분기에는 수면 잠복기 및 수면중 깨는 횟수가 임신 제1 및 제2 삼분기보다 증가하였다. 또한 임신 제3 삼분 기에는 제1 및 제2 삼분기보다 각성시 회복감이 더 적었고, 주간의 졸리움도 더 심하였다. 3. 수면 자세는 임신 제1 및 제2 삼분기에 복와위 또는 앙와위를 취했던 임부도 제3 삼분기에는 모든 임부가 측와위를 취했다. 4. 수면양상변화의 원인으로서 임신제1 삼분기에는 오심과 구토, 속쓰림과 소화불량 및 빈뇨, 제2 삼분기에는 빈뇨, 태아의 움직임 및 둔부의 통증, 제3 삼분기에서는 빈뇨, 태아의 움직임, 하지의 경련과 요통순으로 많았다. 결론 : 이상의 결과는 정상 단태임신과 관련한 수면 변화의 자료로서, 향후 임부에서 수면위생의 향상과 수면장애의 치료를 위한 기초적 자료로 활용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된다.

  • PDF

임신 여성의 산전우울 실태 및 영향요인 (Status of Antepartum Depression and Its Influencing Factors in Pregnant Women)

  • 이은주;박정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3897-3906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임신 여성을 대상으로 산전우울의 발생 정도와 이와 관련된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D광역시 소재 종합병원 및 산부인과 병원 외래를 방문하거나 원내 특강을 받는 160명의 임부를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우울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 한국형 EPDS(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서술적 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와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임신 여성의 우울점수는 평균 $7.80{\pm}4.86$점(0-30점)이었으며, 대상자의 56.3%가 정상(0-8점), 23.1%가 경계선(9-12점), 20.6%는 심각한 수준(13점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임신 여성의 산전우울 영향요인으로는 주관적 건강상태, 임부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순이었으며, 이 변수들은 산전우울을 36.7%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산전우울을 예방하기 위해 이러한 변수들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아로마 흡입요법이 입원한 고위험 임부의 스트레스와 상태불안, 우울 및 자율신경계 반응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roma Inhalation Therapy on Stress, Anxiety, Depression, and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in High-risk Pregnant Women)

  • 고기연;박효정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3-41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roma inhalation therapy on stress, anxiety, depression, and an autonomic nervous system reaction in high-risk hospitalized pregnant women. Methods: A quasiexperimental study us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Fifty high-risk hospitalized pregnant women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on delivery room and maternity ward at university hospital. Twenty-five were select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25 were assigned to a control group. Neroli essential oil was used for aroma therapy and was already identified as not being hazard to pregnant women. It provided emotional stability from previous study. The participants inhaled Neroli 2 minutes, 3 times (9 am to 10 am, 4 pm to 5 pm, just before sleep) a day. A total of 15 sessions were held from the day of the preliminary investigation. Pre and post written survey and measuring an autonomic nervous system reaction were collected from both groups. Results: The data were analyzed by $x^2$ test, t-test, and paired t-te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tress (t=-3.98, p<.001)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aroma inhalation therapy is effective as a nursing intervention for the stress relief of hospitalized high-risk pregnant women.

임부의 구강상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ral condition of Pregnant Woman)

  • 최상열;성백균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11권10호
    • /
    • pp.643-647
    • /
    • 1973
  • The auther has made the oral examination of 523 pregnant women-such as calculus, gingival disease, periodontal disease, and dental caries-who visit the dental department and obstetric department in National Medical Center in Seoul. After the above studies, results of the changes of the pregnant women's oral condition are following. 1. In creasing of calculus deposition due to the changes of saliva components. 2. Increasing of incidence of gingival and periodontal and pathological changes followed by calculus deposition. 3. Incidence of new cavities are not related to the pregnancy, but old cavities have become more progressive in dental car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