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임무 통제 시스템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6초

무인항공기 체계 연동검증을 위한 시험환경 및 검증절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est Environment and Process for Interface Verification of Unmanned Aerial Systems)

  • 조선미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40-47
    • /
    • 2019
  • 본 논문은 무인항공기 체계(UAS; unmanned aerial system)의 비행체 탑재장비 및 지상에서 운용하는 장비의 연동 검증을 위한 체계통합실험실(SIL; system integration laboratory) 및 체계통합시험(SIT; system integration test)의 환경 구축 및 이를 통한 검증방법에 대하여 다룬다. SIL 내 구축된 지상통제체계, 데이터링크체계, 비행체 탑재장비, 임무장비(EO/IR, SAR) 등과 같은 부체계간의 인터페이스 환경 및 모의 비행을 통한 체계 운용로직의 검증방법과 실험실 레벨에서의 검증이 완료된 각 부체계를 실제 시험 환경에서 검증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임무분리와 역할 계층구조를 고려한 대칭 RBAC 모델 (Symmetric RBAC Model that Takes the Separation of Duties and Role Hierarchies into Consideration)

  • 문창주;박대하;박성진;백두권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0권12호
    • /
    • pp.699-707
    • /
    • 2003
  • RBAC은 기존의 DAC과 MAC보다 진보된 접근 통제 방법으로 받아들여진다. RBAC 모델의 권한-역할 부분은 사용자-역할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구가 부족하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칭 RBAC 모델에 대한 연구도 시작 단계이다. 따라서 역할에 적합한 권한을 배정 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연구들에서 제시한 권한 배정 제약조건들을 보완한 대칭형 RBAC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한 대칭형 RBAC 모델은 임무분리와 역할의 계층구조를 고려한 권한 배정 제약조건을 제시함으로써 역할의 이해관계 충돌과 권한의 공유와 통합을 권한배정에 반영하고 있다. 또한, AND/OR 그래프를 통해 동적인 권한간의 선행관계를 규정하는 제약조건을 표현함으로써 권한들의 복잡한 선행관계를 효과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제안한 대칭형 RBAC 모델의 권한 배정 제약조건들은 권한 배정시 지켜야하는 규칙들을 적절히 명세함으로써 권한 배정의 오류를 감소시킨다.

임무지향 컴퓨터를 위한 메시지패싱 고장감내 기법 (A Fault-Tolerant Scheme Based on Message Passing for Mission-Critical Computers)

  • 김태현;배정일;신진범;조길석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762-770
    • /
    • 2015
  • Fault tolerance is a crucial design for a mission-critical computer such as engagement control computer that has to maintain its operation for long mission time. In recent years, software fault-tolerant design is becoming important in terms of cost-effectiveness and high-efficiency. In this paper, we propose MPCMCC which is a model-based software component to implement fault tolerance in mission-critical computers. MPCMCC is a fault tolerance design that synchronizes shared data between two computers by using the one-way message-passing scheme which is easy to use and more stable than the shared memory scheme. In addition, MPCMCC can be easily reused for future work by employing the model based development methodology. We verified the functions of the software component and analyzed its performance in the simulation environment by using two mission-critical computers. The results show that MPCMCC is a suitable software component for fault tolerance in mission-critical computers.

속성인증서 프로화일 연구 (Attribute Certificate Profile Research)

  • 윤이중;류재철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75-84
    • /
    • 2001
  • 속성인증서는 사용자의 속성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인증서로서 기존 공개키인증서가 사용자의 공개키 정보를 통해 인증 정보를 제공한 것과는 달리 사용자의 지위, 권한, 임무 등과 같은 다양한 권한정보를 제공한다. 최근 국제적인 표준 단체에서 속성인증서에 대한 표준이 제정되고 있으며 국내외적으로 속성인증서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시작되고 있으며 인증뿐만 아니라 인가정보가 필요한 많은 실응용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이와 같은 속성인증서의 출현배경, 표준화 동향에 대하여 고찰하며 현재 IETF에서 제정중인 속성인증서의 프로화일과 관련 기술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속성인증서를 이용한 접근통제 시스템을 소개하여 속성 인증성의 활용에 대하여 기술한다.

유연한 자율화 수준의 적응형 임무통제 아키텍처 (Adaptive Mission Control Architecture with Flexible Levels of Autonomy)

  • 박원익;이호주;최준성;최덕선;김종희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65-276
    • /
    • 2024
  • The future battlefield operation concept does not focus on advanced and complete weapon systems, but requires a new battlefield operation concept that can effectively demonstrate offensive power by combining a large number of low-cost, miniaturized weapons. Recently, research on the autonomous application of major technologies that make up the mission control system is actively underway. However, since the mission control system is still dependent on the operator's operating ability when operating multiple robots, there are limitations to simply applying the automation technology of the existing mission control system. Therefore, we understand how changes in operator capabilities affect multi-robot operation and propose an adaptive mission control architecture design method that supports multi-robot integrated operation by adjusting the level of autonomy of the mission control system according to changes in operator capability.

저고도 방공자동화체계의 운용아키덱처 개발 (A Development of the Operational Architecture of a Low Altitude Air Defense Automation System)

  • 손현식;권용수
    •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31-45
    • /
    • 2008
  • 본 연구는 시스템엔지니어링적 접근방법을 통한 저고도 방공자동화체계의 운용아키텍처 개발을 기술한다. 미래 전장은 단일전구 내에서 다수의 다양한 센서체계와 슈터체계가 각각의 그리드를 형성하고, 네트워크기반 전장관리에 의해 지휘통제(C2: Command and Control)되는 신복합시스템 개념으로 변화하고 있다. 미래 위협은 UAV나 순항미사일 그리고 전술탄도미사일과 같이 전략적 효과가 큰 무인 항행체의 사용으로 특성화 될 수 있으며, 저고도 스텔스 순항미사일과 같은 새로운 위협이 등장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미래 위협에 대한 저고도방공 운용개념 설정은 시스템엔지니어링 기반의 복합적이고 통합적인 접근방법이 요구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임무 및 미래 운용환경의 식별을 통해 운용시나리오를 작성하고 운용요구사항을 도출했으며, 컴퓨터지원 시스템엔지니어링도구인 CORE 5.0을 사용하여 네트워크기반의 저고도 방공자동화체계의 운용아키텍처를 제시했다.

멀티레이어드 시각화를 적용한 사이버작전 상황도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yber Operation COP based on Multi-layered Visualization)

  • 권구형;고장혁;김선영;김종화;이재연;오행록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143-151
    • /
    • 2020
  • 제 5의 전장이라고 불리는 사이버 전장은 육·해·공·우주의 기존 물리 전장과 달리, 지형적인 정보를 기반으로 하지 않으며 각 정보간 긴밀한 연관 관계를 갖는 특징을 갖고 있다. 사이버 전장은 물리 전장에 위치한 장비의 네트워크 연결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되므로 지형 정보와 완전히 분리되어 있지 않으면서도, 물리적 공간 제약을 넘어서 네트워크 토폴로지 기반의 논리적인 연결 상태와 OS 및 SW의 취약점 등에 의존적인 특징을 가진다. 그러므로 사이버 전장의 상황인식을 위한 정보 분석은 지리적이거나 논리적인 특정 정보 분석으로는 제한적이며, 여러 도메인의 상황을 한 눈에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정보가 제공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사이버 전장에서의 지휘통제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사이버작전 상황도 개발에 관한 연구를 기술한다. 특히 멀티레이어드 개념을 적용한 시각화 기술을 기반으로 지리정보를 비롯한 사이버 자산, 위협, 임무 등 상호 연관분석이 필요한 여러 계층의 정보를 상황도에서 직관적으로 도시할 수 있는 아키텍쳐를 제안한다. 본 연구를 통해 사이버작전 수행을 위해 필요한 지휘결심 지원 정보들이 도시요소로 표현되어, 복잡하고 이해하기 어려운 사이버 전장에서 지휘관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지휘통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상황도 구조를 제안한다.

포대/대대 별 재구성 가능한 전술작전화면 프레임워크 개발 (Development of Reconfigurable Tactical Operation Display Framework by Battery and Battalion)

  • 이상태;이승영;위성혁;조규태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4권5호
    • /
    • pp.476-485
    • /
    • 2017
  • 미래 대공 유도무기체계 전술작전센터는 미래 공중위협, 전술정보, 통합전장 환경 생성 및 관리, 교전통제 및 지휘통제 알고리즘 연구를 위한 환경을 제공한다. 통합전장상황 생성 및 처리, 전술작전 자동화 처리 핵심 기능요소에 대한 개발을 위해서는 다역할(포대/대대) 전술작전 통제 및 재구성 설계가 가능한 소프트웨어가 필요하다. 따라서 기능 별 알고리즘 소프트웨어, 전술작전화면 소프트웨어, 장비들 간 연동을 위한 링크 소프트웨어를 데이터 중심 설계를 통해 재구성 가능하도록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포대/대대 별 전술작전 운용화면에 재구성이 가능한 전술작전화면 프레임워크를 소개한다. 전술작전화면 프레임워크는 포대/대대 및 임무별 다역할 전술작전화면을 재구성 가능한 구조를 위해 공통데이터 모델설계와 MVC패턴을 이용한 화면구성도구를 개발하였다. 화면구성도구를 이용하여 화면 개발을 위한 전술작전화면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전술작전화면 프레임워크를 이용하게 된다면 공통기반의 구조를 통해 화면 설계를 재사용 할 수 있다. 또한 쉽고 빠르게 재구성이 가능한 화면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AI 참모 구축을 위한 의사결심조건의 데이터 모델링 방안 (A Methodology of Decision Making Condition-based Data Modeling for Constructing AI Staff)

  • 한창희;신규용;최성훈;문상우;이치훈;이종관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237-246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의사결심 지원체계인 전장관리체계의 지능화를 위해 의사결심 조건에 기초한 데이터 모델링 방안을 제시하였다. 인간처럼 보고 식별도 하고, 자유롭게 움직임을 통해 원하는 위치에 도달하는 모습은 쉽게 이해되거나 실생활에서 체감하고 있는데 비해, 원하는 위치에 도달한 이후 인간 인지 행위 중 가장 중요한 하나인 의사 결심 판단을 구현했다거나 혹은 그러한 예제를 아직은 찾아 볼 수 없는 실정이다. 도착을 원했던 회의실에 인간을 대신해 에이전트가 오기는 했지만 판단을 도와주거나 대신 해주어야 할 임무인 예컨대, 가격 정책을 올릴 것인지 내릴 것인지, 지휘관이 심사숙고하고 있는 예컨대, 역습을 하는 것이 현명한지 아닌지에 대한 판단을 지원해 주지 못하고 있다. 군 지휘 통제의 현상과 현안을 고찰하였고, 각 상황에 대한 판단을 내릴 때 기계참모의 조언이 가능하게하기 위한 많은 양의 데이터 확보가 가능하도록, 현 지휘통제 체계를 변경시킬 방안으로 의사결심 조건에 기초한 데이터 모델링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제시한 방안에 대해 기계가 하는 의사결정의 한 예시로써 의사결정 트리 방법론을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AI 상황 판단 참모가 어떠한 모습으로 우리에게 다가올지에 대한 혜안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비행체 탑재 펄스 도플러 레이다 시험모델 개발 (Airborne Pulsed Doppler Radar Development)

  • 곽영길;최민수;배재훈;전인평;양주열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73-180
    • /
    • 2006
  • 비행체 탑재 레이다는 기상에 관계없이 전천후로 비행체의 안전항행, 임무감시, 사격통제, 충돌회피, 이착륙 등 비행에 필수적인 항공장치이다. 본 논문에서는 비행체 탑재 다중 모드 펄스 도플러 레이다 시험 모델의 설계, 제작 및 비행시험 결과를 제시한다. 레이다 시스템은 안테나부, 송수신부, 신호처리부와 전시부의 4-LRU(Line Replacement Unit)로 구성되며, 개발기술은 평판 슬롯 배열 안테나, TWTA 송신기, coherent I/Q detector, 디지털 펄스 압축, 도플러 FFT 필터를 기반으로 한 DSP, 적응 CFAR, TWS 추적 처리기, 비행정보 IMU 및 도플러 추정보상 기법을 포함한다. 개발된 레이다 시스템의 설계 성능은 다양한 헬기탑재 비행시험을 통하여 기능 및 성능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