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임무 통제 시스템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4초

복수 무인기 운용을 위한 적응형 지상체 개발 및 운용자 과부하 분석 (Development of Adaptive Ground Control System for Multi-UAV Operation and Operator Overload Analysis)

  • 오장진;최성환;임형진;김승균;양지현;김병수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529-536
    • /
    • 2017
  • 일반적인 지상통제 시스템은 단일 무인항공기 운용을 위한 통제 및 정보 전시 기능을 갖추고 있다. 현대에서는 단일 지상통제 시스템을 사용하여 복수 무인항공기의 운용이 요구되고 있다. 이로 인하여 무인기 운용자는 과거보다 다양한 임무 수행이 요구되며, 임무 수행 중 다양한 요인에 의하여 임무과부하를 받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복수무인기 운용자의 임무과부하 측정을 통해 운용자의 상태를 반영한 적응형 지상통제 시스템을 제안한다. 복수무인기를 운용할 수 있는 지상통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또한 시뮬레이터를 구성하여 운용자가 지상통제 시스템의 운용을 통해 시스템의 기능을 검증한다. 적응형 지상체 실험을 분석한 결과, 비적응형 지상체 실험 결과와 대비하여 운용자의 동공지름이 감소하고, 임무 성능이 증가하는 등 적응형 지상체의 효용성을 확인하였다.

KSR-III 발사 통제 시스템 설계 (Design of the Fire Control System for KSR-III)

  • 홍일희;서진호;김양모;류형선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학회본부 D
    • /
    • pp.721-723
    • /
    • 2000
  • 국내 과학관측 로켓(Korea Sounding Rocket-III; 이하 KSR-III) 발사통제 시스템 개발 중 로켓 임무 달성에 필요한 시스템 구성과 제작에 대한 전반적인 설계내용을 기술하였다. 로켓 임무와 설계 요구 조건에 의해 각 통제 콘솔과 발사 상황판은 설계되었고 현재 제작 중에 있으며. 향후 KSR-III 발사시험 시 활용 할 계획이다.

  • PDF

복수 무인기 네트워크 통합 운영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Operation System for Network of Multiple UAVs)

  • 김성환;조상욱;김성수;유창경;최기영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9권11호
    • /
    • pp.1042-1051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복수 무인기의 편대 비행을 위한 탑재 무선 통신 및 임무통제 네트워크 (지상관제시스템)를 포함하는 통합 운영 시스템의 구성 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편대비행을 위한 무인기에 탑재되는 시스템들의 구성 형태에 따라 다양한 운영 시스템들을 분류하였다. 또한 각각의 운영 시스템에 대한 장단점 및 고장에 대한 신뢰성을 파악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편대기의 임무비행을 수행하는데 있어 적절한 운영 시스템의 형태를 결정하고 구성 요소들을 개발하였다. 제안된 운영 시스템을 이용하면, 이종의 비행체로 편대를 구성할 수 있으며, 복잡한 임무를 여러 무인기에 나누어 수행 가능하고, 단일 임무의 협업 또는 다양한 임무의 동시 수행이 가능하다.

정적 임무분리를 만족하는 사용자-역할 할당 방안 (Methods of User-Role Assignment for Static Separation of Duty)

  • 윤희정;전준철;김용석;전진우;유기영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2 (1)
    • /
    • pp.451-453
    • /
    • 2004
  • 오래 전부터 많은 컴퓨팅 시스템에서 기분적으로 제공되어지는 원리인 임무분리는 중대한 업무를 둘 이상의 사용자에게 나누어줌으로써 단독 사용자가 시스템을 손상시키는 것을 막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역할기반 접근통제에서 임무분리 원리를 제공하는 종류로는 정적 임무분리, 동적 임무분리, 기능적 임무분리, 객체기반 임무분리 등이 있다. 여기서 우리는 정적 임무분리를 만족시키는 모델로서 상호 배제 역할 쌍을 이용한 모델과 역할유형을 이용한 모델 그리고 상호 무관 역할 쌍을 이용한 모델을 제안한다

  • PDF

고정익 유/무인기의 협업 모의를 위한 원격공중통제 시뮬레이터 개발 및 활용방안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Remote Airborne Control Simulator for Experimentation of Manned-Unmanned Teaming of Fixed Wing UAV)

  • 최영미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56-62
    • /
    • 2021
  • 본 논문은 고정익 유·무인기 협업을 모의하는 원격공중통제 시뮬레이터에 관하여 기술한다. 무인기의 급격한 기술개발을 통해 무인기의 임무 능력은 크게 성장하였다. 무인기의 역할은 단순 정찰 임무에서 부터 전자전, 근접 공중 지원, 유·무인 협업과 같은 복합 임무까지 수행할 수 있도록 발전하고 있다. 이에, 지상에서 이러한 복합 임무를 모의할 수 있는 환경에 대한 개발 요구가 커지고 있다. 원격공중통제 시뮬레이터는 고정익 유·무인기 협업 기술 개발을 위해 지상에서 유·무인 협업 임무모의 수행을 위하여 개발되었다. 최신의 유·무인 협업 연구 사례와 더불어 원격공중통제 시뮬레이터의 무인기 임무 수행 모의 환경 활용과 적용에 대하여 기술하고자한다.

전장 환경에서의 비상 운용기법을 활용한 무인지상로봇과 원격통제장치 개발 (Development of Remote Control Station and Unmanned Ground Vehicle using Emergency Operation Technique in Combat Field Situation)

  • 이준표;조철영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225-233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전장 상황에서 무인지상로봇의 효율적인 운용을 위한 통제장치와 지상로봇의 개발 방법을 제안 한다. 제안하는 통제장치의 활용을 통해 지상로봇을 운용자가 원하는 장소로의 이동 또는 지상로봇에 탑재된 다양한 임무장비의 활용을 통해 부여된 임무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안하는 통제장치는 햅틱 장치를 이용하여 입력된 운용자의 지상로봇 플랫폼 및 임무장비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원격에서 무인지상로봇의 동작을 정밀하게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통제장치는 운용자의 입력을 받는 햅틱 장치, 무인지상로봇의 운용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전시장치, 내/외부 데이터를 처리하는 정보처리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통제장치를 통해 부여받은 임무를 수행하는 지상로봇은 항법처리 컴퓨터, 차량 플랫폼, 장애물 회피 컴퓨터, 통합주행 컴퓨터로 구성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을 통해 실 개발된 통제장치를 통해 다수의 지상로봇을 운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지상로봇과 통제장치의 효율성을 검증하였다.

유인회전익기에 의한 다수 무인기 운용통제기술의 통합검증환경 구현 및 검증 (Implementation and Verification of System Integration Laboratory for Multiple Unmanned Aerial Vehicle Operation and Control Technology using Manned Rotorcraft )

  • 김형진;권상은;조영우;김봉규;고은경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133-143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유무인 협업을 위한 유인회전익기에 의한 다수 무인기 운용통제기술의 요구도 검증을 위한 통합검증환경의 요구도 분석, 구현 및 검증에 대해 기술하였다. 통합검증환경은 유인회전익기 비행 모의, 무인항공기 비행 및 임무장비 모의, 무인항공기 제어 및 유인회전익기와의 통제권 변경을 위한 지상통제장비 모의, 유인회전익기 및 무인항공기 임무계획 작성 및 전송을 위한 운용통제장비 모의로 구성된다. 각각 구현된 구성품들은 소프트웨어/하드웨어 통합시험을 통해 요구도를 검증하였다.

프로세서 이중화를 통한 로켓 발사통제시스템 시퀀스 컨트롤러 구현 (Implementation of a Sequence Controller for a Rocket Fire Control System through Processor-Hot Backup System)

  • 문경록;김재문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3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
    • /
    • pp.2795-2798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국내에서 개발하고 있는 과학로켓용 발사통제시스템(FCS, Fire Control System)의 시퀀스제어의 처리 영역을 PLC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하였다. 프로세서의 이중화를 통하여 Hot Backup 시스템을 구축하고 ControlNet 네트워크[l][2]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세서와 I/O 간의 통신을 이용하였다. 먼저 로켓 발사통제시스템의 개요 및 주요 임무에 대하여 설명하고 기존에 사용된 발사통제시스템 구성을 분석하였다. PLC 시스템의 개요와 CPU 동작 내용 그리고 ControlNet 통신방식에 대하여 설명하고 프로세서를 이중화한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또한 이중화된 프로세서의 Switchover[2]방법을 알아보고 이러한 조건에 따른 PLC 시스템을 응용한 발사 통제시스템을 구성하여 이를 위해 작성된 시스템 운용 Ladder Diagram 프로그램에 대한 기술을 논하였다. 개발된 PLC 시스템의 구성을 제시하고 발사체 및 각종 지원시설과 연계한 시험을 통하여 성능을 검증하였다.

  • PDF

위험분석시스템을 위한 역할기반접근통제 모델 (A Role Based Access Control Model for Risk Analysis System)

  • 박현우;최상수;이강수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 /
    • pp.679-682
    • /
    • 2003
  • 정보시스템관리를 위한 위험분석시스템은 다수의 사용자가 각각의 역할과 임무에 따라 평가대상조직의 민감한 내공을 다루므로, 대상조직에 대한 역기능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위험분석시스템 자체의 보안을 위한 접근통제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위험분석시스템을 위한 RBAC정책 모델을 제안한다. 제시한 모델은 위험분석시스템의 특성을 고려하여 연구되었으며, 역할의 상속성에 의한 권한남용 방지를 위해 금지적접근목록(n-ACL)을 적용하였다.

  • PDF

헬기 운용환경을 고려한 가상 사격 통제 시스템 개발 (The Development of Virtual Fire Control System Considering Operational Environment of Helicopter)

  • 김우식;이동호;장인동;박한준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48-455
    • /
    • 2014
  • Virtual Fire Control System(VFCS) in attack helicopter is developed. VFCS is comprised of multifunction display, store management computer, mission computer, target acquisition and designation system, mission planning system, weapon simulator and flight simulator. Weapon engagement process under the operational environment of helicopter was considered by using the VFCS. We considered hellfire missile, tow missile, unguided rocket and turret gu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tilized efficiently on integrated fire control system SIL(System Integration Lab.) in attack helicop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