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임계 평면법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7초

평면 곡선에 기반한 다중 임계값 결정 (Multi-thresholds Selection Based on Plane Curves)

  • 단나;서석태;박혜공;권순학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279-284
    • /
    • 2010
  • Boukharouba 등에 의해서 제안된 평면 곡선(Plane curve) 분석 기법은 히스토그램 누적분포함수에 기반한 마루-골(Peak-Valley) 탐색을 통한 임계값 결정 기법이다. 그러나 이 기법의 경우 평면 곡선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외부 변수의 설정이 요구되며, 그에 따라서 구성된 평면 곡선의 형태가 달라지고 마루-골 검출에 영향 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엔트로피에 기반하여 평면 곡선 구성을 구성하기 위한 최적의 변수값을 설정하며, 설정된 변수 값에 기반한 다중 임계값 결정기법을 제안한다. 다수 영상에 대한 모의실험과 기존 히스토그램 기반의 임계값 결정법과의 비교 및 검토를 통해 제안한 기법의 효용성을 보인다.

임무를 가지는 가스터빈 엔진 회전부품 피로수명 평가 (Mission based gas turbine engine rotating parts life evaluation)

  • 김경희;김현재;전승배;김동현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85-390
    • /
    • 2009
  • 가스터빈의 구조물은 열에 의한 응력과 기계적인 하중에 의한 응력이 동시에 중요하게 작용을 하며 다축응력상태에 놓이게 된다. 가스터빈 엔진은 일반적으로 임무를 가지게 되며 임무를 바탕으로 성능평가, 열전달해석, 구조해석, 수명평가의 일련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임무에 따라 복잡하게 나타나는 변형율과 응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임계평면법을 적용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보다 간단하고 편리한 평가 모델인 "The Simplified Model"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개발된 평가방법을 사용하여 터빈휠의 수명평가를 수행하여 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

미분구적법(DQM)을 이용한 곡선보의 내평면 좌굴해석 (In-Plane Buckling Analysis of Curved Beams Using DQM)

  • 강기준;김영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2858-2864
    • /
    • 2012
  • 곡선보 (curved beam)의 내평면 모멘트 및 등분포하중 하에서 평면내 (in-plane) 좌굴 (buckling)을 미분구적법(DQM)을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다양한 경계조건 (boundary conditions)과 굽힘각 (opening angles)에 따른 임계모멘트 및 임계하중을 계산하였다. DQM의 해석결과는 해석적 해답 (exact solution) 결과와 비교하였으며, DQM은 적은 요소 (grid points)를 사용하여 정확한 해석결과를 보여주었다. 두 경계조건(고정-고정, 단순지지-고정)하에서 새 결과를 또한 제시하였다.

미분구적법(DQM)을 사용한 비대칭 곡선 보의 신장 좌굴해석 (Extensional Buckling Analysis of Asymmetric Curved Beams Using DQM)

  • 강기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594-600
    • /
    • 2021
  • 곡선 보는 철교 그리고 자동차와 갈은 구조물의 구성으로 널리 사용되어왔다.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분야인 이러한 구조물의 안정성 거동 해석분야는 괄목할 만한 성과가 있어 왔다. 곡선 보 구조물의 기하학적 구조 및 물성치가 탄성 및 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정역학적 동역학적 해석이 필요하다. 그러나 구조물의 복잡성 때문에 어떠한 경계조건에서도 엄밀해를 얻기가 매우 어렵다. 전통적으로 미분방정식의 해법은 유한차분법 혹은 유한요소법으로 해결해왔으나 이러한 방법들은 때론 복잡한 비선형 구조물에는 과도한 컴퓨터 용량사용과 복잡한 알고리즘 프로그램을 요구한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미분구적법(DQM)이 여러 분야에 사용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복잡한 편미분 방정식의 해를 구하기 위하여 미분구적법이 사용되었다. 중면 신장을 고려한 등분포 하중 하에서 선형으로 변하는 비대칭 곡선 보의 내평면 신장 좌굴의 지배방정식을 유도하였고, DQM을 이용하여 지배방정식의 해를 구하였다. 다양한 열림 각, 경계 조건, 그리고 파라미터에 의한 임계하중을 계산하였다. DQM 결과는 비교 가능한 엄밀해와 비교하였고 DQM은 적은 격자점을 사용하고도 정확성을 보여주었다. 예를 들어 열림 각이 180°인 비 신장 고정단 곡선 보의 경우, 엄밀해의 임계하중 값은 8.0이고 DQM의 임계하중 값은 7.98로, 오차가 0.3% 미만 이었다. 곡선 보의 내평면 비 신장 임계하중도 계산하였고, 두 이론을 상호 비교 분석하였다. 아크축의 중면 신장을 고려한 연구는 곡선 보의 임계하중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준다.

수정 S-N곡선법을 이용한 용접연결부의 피로수명 추정 (Modified S-N Curve Method to Estimate Fatigue life of Welded Joints)

  • 양박달치;김미경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6-32
    • /
    • 2012
  • In this paper, the effects of irregular bead shapes on fatigue life were investigated. A modified S-N curve method was used to estimate the fatigue life, which considered the inherent multiaxiality caused by the geometrical feature produced by the welding process. The point method of the critical distance method was used to determine the fatigue effective stress. Three types of fillet joint models were tested in the fatigue experiments. For each model, real bead shapes were collected using a 3D laser scanner, and finite element analyse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analyses with actual bead shapes were compared with those using an idealized bead shape model. The results of the present analytical methods showed good agreement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임계평면법을 이용한 거친 표면의 구름접촉시 피로균열 시작수명 (The Fatigue Crack Initiation Life under the Rolling Contact of Rough Surfaces using Critical Plane Approach)

  • 설광조;김태완;조용주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19권1호
    • /
    • pp.26-30
    • /
    • 2003
  • The stresses of surface and substrate under the rough surface contact are irregular. Using rainflow counting method for irregular stresses, the fatigue surface crack initiation lift was calculated. With the surface generated by computer, this paper figures out the random load generated by contacting to the rough surface, analyzes the stress of its subsurface, and calculates the fatigue crack initiation life of the rough surface fatigue theory.

미분 구적법 (DQM)을 이용한 곡선 강지보의 안정성 해석 (Elastic stability analysis of curved steel rib using differential quadrature method (DQM))

  • 강기준;김병삼;김상환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6권4호
    • /
    • pp.279-290
    • /
    • 2004
  • 이 논문은 I-단면 곡선강지보 (curved steel rib)의 등분포 하중 하에서, 비틀림 (warping)을 포함한, 외평면 (out-of-plane)의 안정성을 해석하였다. 미분구적법 (differential quadrature method, DQM)을 이용하여 다양한 경계조건, 굽힘각 (opening angles)과 강성매개변수 (stiffness parameter)에 따른 임계하중 (critical loads) 및 임계하중 매개변수 (dimensionless buckling parameter)를 계산하였고, Differential quadrature method (DQM)의 해석결과를 타 이론과 비교 분석 하였다. 또한 두 경계조건 (고정-고정, 고정-단순지지)하에서의 새로운 결과를 제시하였고, DQM을 이용한 곡선강지보의 좌굴해석은, 비교적 적은 요소 (grid points)를 사용하고도, 타 이론에 의한 해석적 결과에 비해 정확성과 안정성을 보여주었다.

  • PDF

미분구적법(DQM)을 이용한 곡선보의 외평면 좌굴해석 (Out-of-Plane Buckling Analysis of Curved Beams Using DQM)

  • 강기준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89-195
    • /
    • 2002
  • I-단면 곡선보 (curved beam)의 모멘트 하중 하에서 비틀림(warping)을 포함한 평면외 (out-of-plane)의 좌굴을 미분구적법 (DQM)을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다양한 경계조건(boundary conditions) 및 굽힘각(opening angles)에 따른 임계모멘트 (critical moments)를 계산하고, DQM의 해석결과는 해석적 해답 (exact solution) 과 비교 분석하였다. DQM은 적은 요소(grid points)를 사용하여 정확한 해석결과를 보여주었고, 두 경계조건 (고정-고정, 고정-단순지지)하에서 새로운 결과 또한 제시하였다.

미분구적법(DQM)을 이용한 비대칭 곡선보의 내평면 좌굴해석 (In-Plane Buckling Analysis of Asymmetric Curved Beam Using DQM)

  • 강기준;박차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4706-4712
    • /
    • 2013
  • 편미분방정식해법을 위한 효일적인 방법 중의 하나는 미분구적법이다. 이방법은 복잡한 구조 및 하중에 따른 컴퓨터 용량의 과도한 사용뿐만 아니라, 복합알고리즘의 어려움 피하기 위해 많은 분야에 적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내평면 등분포하중 하에서 단면적이 변하는 비대칭 곡선보의 좌굴 (buckling)을 미분구적법(DQM)으로 해석하였다. 다양한 단면적 변화와 열림각 (opening angle)에 따른 임계하중을 계산하였다. DQM의 해석결과는 정확한 수학적해법 (exact analytic solution)과 비교하였으며, DQM은 적은 격자점 (grid point)을 사용하여 정확한 해석결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다양한 단면적 변화에 따른 새로운 결과를 제시하였다.

풍하중을 받는 평면 막구조물의 동적불안정 판정에 관한 연구 (Study on Dynamic Instability of Plane Membrane Structures under Wind Action)

  • 한상을;후효무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145-152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풍하중을 받는 평면 막구조물의 동적불안정 판정을 규명하였다. 풍하중을 받는 막구조물의 지배방정식을 정식화할 경우 가장 중요한 것은 막 표면의 공기 압력을 합리적으로 산정하는 것이다. 베르누이 윈리에 의하여 유체 압력은 속도 퍼텐셜과 관계를 가지며 않은 날개 원리에 의해 막 표면 공기의 움직임을 일련의 와류로 간주하고 속도 퍼텐셜을 구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가장 많이 쓰이는 3 절점 삼각형 막요소를 이용하여 가중 잔여치 갤러킨법을 적용한 안정 평가의 판별식을 유도하였다. 수치해석 모델로는 정사각형과 직사각형의 막구조물을 채택하였고 임계 풍속에 대한 초기인장력과 풍방향의 영향을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