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임계온도

Search Result 560, Processing Time 0.053 seconds

Studies on the Behavior of Film in the Zone Drawin Process (띠연신 공정에 있어서 필름의 거동에 관한연구)

  • 한성수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6 no.2
    • /
    • pp.139-146
    • /
    • 1994
  • 미연신, 비결정 PET 필름의 띠연신조건(띠연신 응력, 띠연신 온도, 띠열판의 상승속 도)에 따른 필름의거동을 연구하였다. 띠열판의 상승속도가 10, 20, 30, 50 mm/min일 때 온 도(Td) 이하에서는 임계네킹응력이 띠연신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고 그 온도 이상에서는 거의 변하지 않고 일정했으며 임계온도 이하에서는 임계온도와 띠연신 온도의 온도차(Tc-Td)가 임계네킹응력과 비례관계를 가져 다음과 같은 간단한 실험식을 얻었다. $\sigma$c=0.838 (Tc-Td)+$\sigma$0 임계네킹응력에서 띠연신한 필름의 치수는 연신 온도와 띠열판의 상 승속도에 거의 의존하지 않고 일정한 값을 나타내었다. 임계네킹응력 이상에서는 연신 조건 에 따라 필름의 폭, 두께, 그리고 연신비가 거의 변하지 않았다.

  • PDF

The magnetization loss estimation of HTS coil according to the change in critical current density (임계전류밀도 변화에 따른 고온초전도 코일의 자화손실 추정)

  • Kim, Yungil;Lee, Ji-Young;Lee, Seyeon;Park, Sang Ho;Kim, Woo-Seok;Lee, Ji-Kwang;Choi, Kyeongdal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1116-1117
    • /
    • 2015
  • 최근에 개발되고 있는 2세대 고온초전도 선재는 77.3 K의 액화질소보다 높은 임계온도를 가진다. 응용기기의 특성에 따라 액화질소 온도 이하의 다양한 온도 범위에서 운전되고 있다. 이러한 운전 온도의 차이는 초전도 선재의 임계전류 차이를 가져오고, 높아진 임계전류는 시스템의 안정도 측면에서 장점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운전 온도 조건에 따른 임계전류에 의한 교류손실 측면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다양한 초전도 권선 형태에서의 임계온도에 따른 교류손실 특성을 수치해석을 통해 확인하고, 시스템의 안정성 향상에 필요한 운전온도에 대한 기본적인 특성 연구를 수행하였다.

  • PDF

Critical Temperature for Inter-Laminar Shear Strength and Effect of Exposure Time of FRP Rebars (FRP 보강근의 계면전단강도에 대한 임계온도와 노출시간의 영향)

  • Moon, Do-Young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25 no.1
    • /
    • pp.45-51
    • /
    • 2013
  • Short beam tests of GFRP and CFRP specimens exposed to high temperature were conducted to measure the inter-laminar shear strength. For the phase I test, the exposure time and temperature were varied to measure reduction in the strength due to the applied conditions. As a results, the critical temperature was found to $270^{\circ}C$ for the both FRP reinforcements. The high temperature, which causes 50% loss of inter-laminar shear strength, is defined as the critical temperature in this study. It should be noted that the critical temperature for the inter-laminar shear strength is mainly dependent on resin properties not on fiber type. In the phase II test, the effect of exposure time was investigated at intervals of 0.25hour for the critical temperature. All test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exposure time effect is not significant compared to the maximum exposure temperature, but it is not negligible and, moreover, is significant at the critical temperature.

Nonlinear Dielectric Effect in Critical Solution (임계용액에서 비선형 유전체 효과)

  • Jo, Chang-Ho
    • The Journal of Natural Sciences
    • /
    • v.3
    • /
    • pp.1-10
    • /
    • 1990
  • 임계 이중 연계혼합물인 nitroethane 과 cyclohexane 혼합물의 임계온도 근처에서 전기적 감수율 (electric susceptibility)을 전기용량의 온도에 대한 변화를 측정하여 얻었다. 비선형 효과를 관측하기 위하여 자기유도 타원편광축 회전에 의한 제3차 비선형 광학감수율을 측정하여 임계지수를 구하였다. 임계지수는 0.34 였다.

  • PDF

Dielectric Constant Anomaly near the Consolute Point of a binary Mixture of MEEP and water (상전이 온도 근처에서 관찰되는 MEEP-물로 구성된 두 종류 섞임체의 유전상수 비정상성)

  • Cho, Chang-Ho;Seo, Young-Seok;Kim, Sei-Chang;Kim, Young-Baek
    • The Journal of Natural Sciences
    • /
    • v.8 no.1
    • /
    • pp.17-22
    • /
    • 1995
  • Dielectric constant was measured near the consolute point of a binary mixture of water and Poly[bis(methoxyethoxyethoxy)phosphazene], MEEP. Dielectric constant changed incontinously at phase separation temperature plotted against the concentration to abtain coexistence curve. The critical temperatures and the critical concentration were $71^{\circ}C$, 5.5% as determined from the coexistence curve, respectivley. The critical exponent of dielectric constant, $\theta$, was 0.85. The dependence of dielectric constant on frequency is discussed in this report.

  • PDF

The Dependence of the Critical Temperature on the Dimensions of the Electron Motion (전자유체의 차원에 따른 임계온도의 변화)

  • Park, Seong-Hun;Kim, Mi-Yeon;Chair, Tong-Seek;Kim, Won-Soo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40 no.6
    • /
    • pp.401-408
    • /
    • 1996
  • In general, the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ors have two-dimensional anisotropic structures. It is important to investigate the dependence of the critical temperature on the dimensions of the electron's motion. The equation of state for electron gas is deduced which describes the electron's motion in superconductors using the kinetic theory of gas. And the critical temperatures of three, two, and one dimensional gases were calculated. According to these equations, restricting the dimension of the electron's motion induces the increase of the critical temperatures. This implies the possibility that the multi-critical temperature of some superconductors is caused by the change of the dimension related to the pathways of the electron.

  • PDF

Study on the Vulnerability Regarding High Temperature Related Mortality in Korea (우리나라 지역별 고온 극한 현상에 의한 사망 취약도 비교)

  • Jung, Jihoon;Kim, In-Gyum;Lee, Dae-Geun;Shin, Jinho;Kim, Baek-Jo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9 no.2
    • /
    • pp.245-263
    • /
    • 2014
  • This study tries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mortality regarding heat waves which are usually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direct impacts of climate change. Based on 17 years data period (1994-2010), each city's threshold temperature and minimum mortality temperature are recognized. According to the results, minimum mortality temperature varies from 23 to $25^{\circ}C$, showing minimum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23^{\circ}C$ in Gangwondo and maximum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25.4^{\circ}C$ in Jeollabukdo and Major 7 city group. In case of threshold temperature, it ranges from 27 to $30^{\circ}C$. The cities having higher threshold temperatures tend to have large populations and vice versa. In addition, the cities having negative demographic vulnerability relatively have lower temperatures, representing correlation -0.44(p=0.06). The socio-economic-environmental vulnerability shows negative correlation with minimum mortality temperature(r=-0.36, p=0.032) and threshold temperature(r=-0.29, p=0.081). This paper represents that the number of mortality could increase rapidly and show large spatial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mortality depending on various factors including natural, social, and economic factors of each region.

  • PDF

Nonlinear Optical Behavior of Binary Mixture Protein and Water near the Phase Separation Temperature (두 종류 임계 섞임체 단백질-물의 상전이 온도 근방에서 비선형 광학적 특성)

  • Cho, Chang-Ho;Seo, Young-Seok;Kim, Chil-Min;Park, Jong-Dae;Lee, Jong-Soo
    • The Journal of Natural Sciences
    • /
    • v.9 no.1
    • /
    • pp.83-88
    • /
    • 1997
  • The critical behavior was studied in the mixture of lysozyme and salt water near the phase separation temperature. The 3rd order nonlinear optical susceptibility was measured through the self-induced ellipse rotation. And we obsered that as the quantity of salt and glycerol increase, the phase separation temperature increases and decreases, respectively.

  • PDF

초전도 마그네틱 베어링의 부상력 특성에 관한 시뮬레이션

  • 유제환;임윤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Tribologists and Lubric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7.04a
    • /
    • pp.122-128
    • /
    • 1997
  • 초전도체의 임계온도를 높이는 연구들이 수행되어 임계온도가 액체질소의 비등점(77K)보다 높은 산화물 고온 초전도체가 1986년에 발견되었고, 최근에는 $10^4A/cm^2$이상의 임계전류밀도를 갖는 덩어리형 고온 초전도체가 용융공정을 통해 개발되었으며, 산화물 고온 초전도체 $YBa_2 Cu_3 O_{7-y}$은 산소 조성이 7에 가까우며 임계온도가 95K로서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응용 분야로서는 수송분야, 의료분야, 전력분야, 그리고 기초과학분야등이 있고, 향후 상온 초전도체의 출현으로 인한 응용범위의 확대는 획기적일 것으로 예측되어 진다. 이중에 10$^{-8}$이하의 마찰계수를 갖는 초전도 마그네틱 베어링을 플라이휠 같은 에너지 저장장치에 적용시키는 연구가 국내외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여러 선진국에서는 용융공정된 초전도체를 이용하여 실험단계적인 플라이휠의 설계, 제작 및 성능실험을 진행중이거나 완성하였고, 제2단계 목표로서 실용화를 위한 대규모 플라이휠의 설계와 제작에 대한 연구가 진행중이다.

  • PDF

Saccharification of lignocellulosics by Supercritical Water (초임계수를 이용한 목질바이오매스의 당화 가능성)

  • Choi, Joon-Weon;Lim, Hyun-Jin;Han, Gye-Sung;Choi, Don-Ha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11a
    • /
    • pp.525-528
    • /
    • 2006
  • 아임계 및 초임계수에 의한 목질바이오매스의 당화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분해공정 동안 압력을 23MPa(물의 임계압력)로 고정하고 물의 아임계 온도$(325^{\circ}C,\;350^{\circ}C)$와 초임계 온도$(380^{\circ}C,\;400^{\circ}C,\;425^{\circ}C)$에서 현사시나무 목분을 각각 60초 동안 처리하였다. 생성된 현사시나무의 분해산물에는 액상과 고형분의 분해산물이 섞여 있었다. 각 처리조건에 따른 목질바이오매스의 분해율은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초임계 온도인 $425^{\circ}C$에서 최고 83.1%의 분해율을 나타냈다. 아임계 및 초임계수에 의해서 생성된 단당류는 고성능 음이온 교환 크로바토그래프(HPAE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목질바이오매스의 초임계수 분해과정에서 처리 온도가 높아지면서 단당류 수율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425^{\circ}C$에서 가장 높은 7.3%의 단당류 수율을 나타내었다. 아임계 온도 범위에서는 현사시나무의 섬유소 성분 중에서 자일란이 우선적으로 분해되어 자일로스의 생성비율이 비교적 높았으며, 처리온도가 높아지면서 셀롤로오스의 분해에 의한 글루코오스 생성율이 급격히 상승하였다. 이렇게 생성된 단당류 성분들은 고온의 반응조건하에서 열분해 반응에 의해서 더욱 분해되어 퓨란계 화합물로 변형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