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일-생활 균형전략

Search Result 7,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A Preliminary Study on Work-life Balance Through Career Management Over the Lifespan (일생에 걸친 경력관리를 통한 일-생활 균형에 관한 기초연구)

  • Jeong, Young-Keum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29 no.1
    • /
    • pp.41-53
    • /
    • 2011
  • Recently, workers are interested in work-life balance. However, most dual- income couples do not make the effort to achieve work-life balance in their everyday life compared with many workplaces that make various family-friendly policies available to them.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necessity and process of work-life balance through career management over one's lifespan. The needs and resources of families are not the same during every stage of the family life cycle. Thus, dual-income couples should aim to invest in career management which includes balancing their work and their family when considering their future career and life. Additionally, they should try to match the needs and resources of both their work and their family by using family resources, workplace policies, and community networks.

향토자원을 활용한 농촌발전전략

  • 황종환;박진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Conference
    • /
    • 2004.05a
    • /
    • pp.205-216
    • /
    • 2004
  • UR, DDA, FTA 확대 경제 블록화 등 전 세계적으로 개발 확대 및 경쟁심화 추세가 지속되면서 전체경제와 농업부문간의 성장격차확대, 농가 교역 조건 악화 등으로 농가 경제의 어려움이 증대되고 있으며, 규모화ㆍ전업화 진행과정에서 경영위험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주 5일 근무제의 도입ㆍ웰빙 문화의 급속한 확산ㆍ참여정부에 의한 지역균형 발전 정책추진ㆍ바이오 기술의 급격한 발전ㆍ농산물 수출국의 경제발전에 따른 농업인구 감소에 따른 수입 농산물 비용인상 등 위기와 기회가 교차하는 시점으로 농업의 경쟁력 강화가 무엇보다 중요하다.(중략)

  • PDF

향토자원을 활용한 농촌발전 전략

  • 황종환;박진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Conference
    • /
    • 2004.05a
    • /
    • pp.23-42
    • /
    • 2004
  • UR, DDA, FTA 확대 경제 블록화 등 전 세계적으로 개발 확대 및 경쟁심화 추세가 지속되면서 전체경제와 농업부문간의 성장격차확대, 농가 교역 조건 악화 등으로 농가경제의 어려움이 증대되고 있으며, 규모화ㆍ전업화 진행과정에서 경영위험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주 5일 근무제의 도입ㆍ웰빙 문화의 급속한 확산ㆍ참여정부에 의한 지역균형 발전 정책추진ㆍ바이오 기술의 급격한 발전ㆍ농산물 수출국의 경제발전에 따른 농업인구 감소에 따른 수입 농산물 비용인상 등 위기와 기회가 교차하는 시점으로 농업의 경쟁력 강화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중략)

  • PDF

Qualitative Research on Psychological Difficulties and Coping Strategies Experienced by Working Mothers (워킹맘들이 경험하고 있는 심리적 어려움 및 대처방안에 관한 질적 연구)

  • Lee, Kyung-Jin;Yu, Kum La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9 no.6
    • /
    • pp.587-604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difficulties, coping strategies and help needed for working mothers in their work and home life. I asked about the difficulties of working together with family life, how to balance the balance between work and family life and what kind of help is needed for working mothers. As a result, 37 categories and 86 subcategories were derived from 11 domains. The 11 areas are: stress factors, psychological experiences, effects of work on family, effects of family on work, positive experiences as working mam, strategy as working mam, establishment of coping strategy, execution of coping strategy, external assistance and what you can do.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A Comparative Study on the Paid Work Time and Work-Leisure Balance by Household Income (가구소득별 유급노동 시간과 일-여가 균형에 관한 국가비교)

  • Noh, Hye Jin;Hwang, Eunjung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
    • v.49 no.1
    • /
    • pp.51-83
    • /
    • 2018
  •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widening gap between income groups is worsening in the distribution of time use, similar to the worsening of income distribution after the IMF. To do this, we conducted multilevel analysis (HLM) on six countries including France, the Netherlands, Spain, the United Kingdom, the United States and Korea.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 all countries, low income groups have a longer paid working time and shorter leisure time. Second, the low income groups in Korea have the longest paid work time and the shortest leisure time, the lowest level of work-leisure balance, and this aspect has not recovered since the IMF. Third, as the result of multilevel analysis, the lower the household income, the more time paid labor increased and the work-leisure balance decreased. Fourth, while average annual working hours increase paid working time, the expansion of family policy expenditure, redistribution policy and income maintenance policy has reduced it. Fifth, the annual average working hours decreased the work-leisure balance, but the family policy expenditure, the redistribution policy and the income guarantee policy increased the work-leisure balanc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after the IMF, not only the income distribution but also the inequality among the income class in time use has deepen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is study suggests the reinforcement of labor time regulation, the activation of parental leave system, the realization of the income replacement rate, the expansion of the policy related to income redistribution, and the complementary development of the income guarantee and the time guarantee policy as the policy intervention strategy that restructures time.

Changes in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Occupational Balance and Quality of Life in Epidemic of COVID-19 (COVID-19 유행으로 인한 작업치료(학)과 학생들의 작업균형과 삶의 질 변화)

  • Lee, Hyang-sook;Han, Gyeong-ju;Park, In-yeong;Hwang, Eun-bi;Chae, Hyun-ah;Noh, Chong-su;Cha, Jung-jin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 /
    • v.11 no.1
    • /
    • pp.11-22
    • /
    • 2021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occupational balance and quality of life caused by COVID-19 in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Methods : From May 27 to June 26, 202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a total of 35 universities among 62 occupational therapy departments nationwide. General characteristics, COVID-19 related characteristics, OBQ and WHOQOL-BREF were used to evaluate and analyze occupational balance and quality of life. The SPSS/PC 24.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frequency analysis, crossover analysis, chi-square test, independent t-test, analysis of variance,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hool system(years), class, life pattern, quality of life, personal and public schedule depending on whether they are interested in occupational balanc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occupational balance(OBQ) and quality of life(WHOQOL-BREF), 'Hobby', 'new hobbies after COVID-19', 'life patterns', 'use of public transportation', 'maintenance of occupational balance', and 'quality of life'.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occupational balance and quality of life. Conclusion : This study showed that the more people who have changed their lives due to COVID-19 are interested in work balance, and the better they maintain their work balance and emotional well-being, the higher the work balance and quality of life, and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work balance and quality of life was confirmed. This will be the basis for studies related to intervention strategies that can improve occupational balance and quality of life in a time when social isolation is easy due to the COVID-19 epidemic.

Analysis of Law and System for Agriculture Water Right (농업용수 수리권 관련 법 및 제도 분석)

  • Lee, Kwang-Ya;Kim, Hae-D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268-272
    • /
    • 2007
  • 우리나라는 아시아몬순지역에 속하면서 수도작을 주로 하는 지역으로 오래전부터 저수지나 보를 만들어 농업용수를 공급하여 왔으며, 이러한 농업용수의 사용에 대해서는 관행적으로 수리권을 보호해왔다. 그러나 최근 그동안 안정적으로 보호되던 농업용수의 기득 수리권에 대한 재검토와 농업용수의 이용에 따른 사회 경제적 요소의 편익을 기준으로 하는 물 이용의 우선순위 재조정논의가 제기되고 있는데 이는 국가전체 물 수요와 농촌지역사회의 변화 등에 기인한 것이다. 농업용수의 개발과 이용이 기존의 농업생산기반 확충 위주에서 농촌 삶의 질 향상 차원의 농촌 개발로 농업 농촌정책의 방향이 전환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농촌의 생활용수, 환경용수, 관광용수, 지역용수 등 농업용수 외의 수자원 수요가 증대하고 있다. 즉 지금까지 농업용수는 주로 농촌의 관개용수 위주로 개발 공급되어 왔으나 농촌지역의 생활양식의 변화 및 생활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위생적이고 편리한 생활용수 및 공업용수 등 다양한 목적의 농업(농촌)용수의 수요가 증대 되고 있고 이러한 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기계화 영농, 직파 재배 등 영농방식의 변화에 따라 농업용수의 수요가 증가되고 있으며, 농업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경감시킬 수 있는 환경친화적인 농업이 요구되고 있어 농촌지역의 한정된 수자원을 합리적으로 이용하여 21세기 물부족 사태에 대비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이미 낙동강, 영산강, 섬진강 유역과 남부 해안 및 도서지역의 가뭄이 심각해지는 등 물 부족 문제로 국토 균형개발이 곤란해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여건 변화 속에서 지속가능발전위원회의 제67회 국정과제보고회의(2005년 10월 19일)에서는 농업용수 10% 절약 대책과 유역단위의 통합적 물 관리를 요구하게 되었다. 우리나라는 현실적으로 매년 홍수 피해가 발생하고 있지만, 다른 한편 인구밀도가 높고 1인당 가용 수자원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국지적 물 부족 문제를 경험하고 있다. 최근 국제적으로도 농업용수의 물 낭비 최소화와 절약 노력 및 타 분야 물 수요 증대에 대한 대응 능력 제고가 매우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2006년 3월 멕시코에서 개최된 제4차 세계 물 포럼에서 국제 강 네트워크는 "세계 물 위기의 주범은 농경지", "농민들은 모든 물 위기 논의에서 핵심"이라고 주장하고, 전 프랑스 총리 미셀 로카르는 "...관개시설에 큰 문제점이 있고 덜 조방적 농업을 하도록 농민들을 설득해야 한다. 이는 전체 농경법을 바꾸는 문제..."(segye.com, 2006. 3. 19)라고 주장하는 등 세계 물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농업용수의 효율적 이용 관리가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국내외 여건 및 정책 환경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물 분쟁에 따른 갈등해소 전략 수립과 효율적인 물 배분 및 이용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농업용수 수리권과 관련된 법 및 제도를 분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