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mparative Study on the Paid Work Time and Work-Leisure Balance by Household Income

가구소득별 유급노동 시간과 일-여가 균형에 관한 국가비교

  • Received : 2018.01.27
  • Accepted : 2018.03.08
  • Published : 2018.03.31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widening gap between income groups is worsening in the distribution of time use, similar to the worsening of income distribution after the IMF. To do this, we conducted multilevel analysis (HLM) on six countries including France, the Netherlands, Spain, the United Kingdom, the United States and Korea.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 all countries, low income groups have a longer paid working time and shorter leisure time. Second, the low income groups in Korea have the longest paid work time and the shortest leisure time, the lowest level of work-leisure balance, and this aspect has not recovered since the IMF. Third, as the result of multilevel analysis, the lower the household income, the more time paid labor increased and the work-leisure balance decreased. Fourth, while average annual working hours increase paid working time, the expansion of family policy expenditure, redistribution policy and income maintenance policy has reduced it. Fifth, the annual average working hours decreased the work-leisure balance, but the family policy expenditure, the redistribution policy and the income guarantee policy increased the work-leisure balanc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after the IMF, not only the income distribution but also the inequality among the income class in time use has deepen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is study suggests the reinforcement of labor time regulation, the activation of parental leave system, the realization of the income replacement rate, the expansion of the policy related to income redistribution, and the complementary development of the income guarantee and the time guarantee policy as the policy intervention strategy that restructures time.

본 연구는 IMF 이후 소득 차원에서의 분배 악화와 유사하게 시간사용의 분배에서도 소득계층간 격차가 심화되고 있는 지를 검토하고, 그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다국가시간사용조사(MTUS)와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프랑스, 네덜란드, 스페인, 영국, 미국, 한국 등 6개국을 대상으로 다층분석(HLM)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제시하면, 첫째, 분석대상 국가들에서 저소득층은 유급노동시간은 길고 여가시간은 짧은 반면, 고소득층은 유급노동시간이 짧고 여가시간은 긴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의 저소득층은 비교 국가 중 유급노동시간이 가장 길고 여가시간은 가장 짧아, 일-여가 균형이 가장 낮은 수준이었고, 이러한 양상은 IMF 이후 회복되지 않고 있었다. 셋째, 다층분석 결과, 가구소득이 낮을수록 유급노동시간은 증가하고 일-여가 균형은 감소하여 장시간 노동이 특정 집단으로 귀결되는 시간 불평등 양상이 포착되었다. 넷째, 연평균노동시간은 유급노동시간을 증가시키는 반면, 가족정책지출, 재분배 정책, 소득보장정책은 유급노동시간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드러났다. 다섯째, 연평균노동시간은 일-여가 균형을 감소시켰으나, 가족정책지출, 재분배정책, 소득보장정책은 일-여가 균형을 증가시켰다. 본 연구의 의의는 IMF 이후 한국 사회에서 소득 분배뿐 아니라 시간 사용에서의 계층 간 불평등이 심화되어 왔음을 규명하였다는 것이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시간을 재구조화하는 정책적 개입 전략으로 노동시간 규제 강화, 육아휴직제도 활성화와 소득대체율 실질화, 소득 재분배 관련 정책 확대, 소득보장과 시간보장 정책의 상호보완적 발전 등을 제시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