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일-생활균형

Search Result 98,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Influence of Nonprofit Organization works' Work-Life Balance on Turnover Intention (비영리기관 종사자의 일-생활균형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Seo, Jong Soo;Lee, Mi Young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and Policy Review
    • /
    • v.20 no.2
    • /
    • pp.57-74
    • /
    • 2016
  • This study examines the level of work-life balance for Nonprofit organization(NPO) workers and their turnover intentions, to identify how work-life balance affects workers' turnover intention. From October 10 to November 10, 2013,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workers at NPOs located in Busan, South Korea, through interviews, emails, and mail, and 286 responses were used for this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PO workers' level of work-life balance was 3.12 for work-family life, 3.07 for work-leisure life, and 3.02 for work-personal life on a five-point scale; the median value was 3.0. Turnover intention was 2.71, which was slightly lower than the median value of 3.0, again on a five-point scale, but it was relatively higher for younger workers, single workers, workers who indicated a lower level of work-personal life balance, and workers whose education included two-years or less of colleg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determine factors that lower turnover intention among these workers and develop programs and support that enhances work-life balance, particularly work-personal life balance.

The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Workers in the Shift Work Service: The Fif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교대근무 서비스 종사자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제 5차 근로환경조사를 이용하여)

  • Kim, Hyeon-Ah;Lim, So-Hee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2 no.1
    • /
    • pp.178-187
    • /
    • 2021
  • This study is a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life satisfaction for shift service workers and is a secondary data analysis study using the raw data from the Fifth Korean Work Environment Survey. Five hundred and seventy-seven study subjects were selected from 20-year-old wage workers who had more than one year of work experience at the time of the survey and had worked more than 40 hours a week. The analysis used SPSS 23.0 WIN, including a t-test, one-way ANOVA by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oefficient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gard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re was a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age, educational level, industrial type,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The higher the work-life balance and work satisfaction of the shift service worker, the higher the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social support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life balance and work satisfaction of shift service workers. Active social support, work satisfaction, and work-life balance improvement promotion programs were developed and applied to shift work service workers considering the factor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thereby improving the life satisfaction of work shift service workers.

Job Stress, Work-family Promotion, Quality of Life on the Work-family Balance in Dental Hygienists with Preschool Children (미취학 자녀를 둔 치과위생사의 일-가정 균형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일-가정 촉진,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Yoon, Sung-Uk;Jeong, Mi-Ae;Oh, Na-Ra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9 no.12
    • /
    • pp.327-335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ork stress on work stress, work-family promotion, an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work-family balance of 194 dental hygienists with preschool children in K area. On average, the work-family balance was 3.36, and in case of low child support (3.43), family help was as high as 3.54, job stress averaged 2.82, with a low household income (2.94), high child support (3.19), and family help was bad (3.66). The average home-work facilitation was 3.47, with more than 10 years of experience (3.55). The average quality of life was 3.19 and the family help was good (3.55). Regression analysis of general characteristics, job stress, work-family promotion, and quality-of-life effects on work-family balance showed low child support (p = .037), low job stress (p = .002), There was a high level of work-family promotion (p = .000) and a high quality of life (p = .000). In order to improve the work-family balance, work-family promotion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by seeking ways to reduce the family's help and job stress for the satisfactory job and family life of working married dental hygienists.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ype of Time Use in the Rural Elderly (농촌노인의 생활시간 유형에 따른 생활만족도 차이)

  • Cho, Hee-Keum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and Policy Review
    • /
    • v.23 no.2
    • /
    • pp.41-59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 typology of time use and analyze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time use in the rural elderly. The research subjects were 1,000 people aged 65 years and over living in the rural areas of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a time-use diary.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in the analysis included calculation of the mean and the standard deviation,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cluste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time use practices of the rural elderly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work-leisure balance, work-oriented, and leisure-oriented type. Life satisfaction of the rural elderly differed according to the type of time use. The work-oriented types showed the highest scores of life satisfaction, and leisure-oriented types showed the lowest.

Effects of Virtual Reality Based Video game and Rehabilitation Exercise on the Balance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Chronic Stroke Patients (가상현실기반 비디오게임과 재활운동이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영향)

  • Lee, Hyun-M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 /
    • v.8 no.2
    • /
    • pp.201-207
    • /
    • 2013
  • 연구목적: 닌텐도 위를 이용한 가상현실기반 비디오게임 프로그램을 만성기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하여 균형능력 및 일상생활동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뇌졸중 환자의 재활프로그램으로서 적용 가능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만성기 뇌졸중 환자를 무작위로 가상현실기반 비디오게임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n=7)과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n=10)으로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모든 대상자에게 30분의 Bobath therapy와 15분간의 FES 치료를 기본적으로 실시하였다. 이에 더하여 실험군은 가상현실기반 비디오게임 프로그램을 1일 30분이내, 주 5회, 3주간 실시하였다. 대조군은 자전거 운동과 보행훈련으로 30분간 시행하였다. 실험 전 후 눈뜨고 외발서기(OLST; open leg standing test), Timed Up and Go(TUG) 검사, 10m 걷기 검사,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FIM)를 측정하였다. 실험 전과 실험 후 측정값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Wilcoxon Signed Ranks Test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각 측정값의 변화량에 대한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Mann-Whitney U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험군에서는 FIM의 유의한 증가와 TUG, 10m 걷기 검사의 유의한 감소를(p<.05) 보였다. 대조군에서는 OLST의 증가와 TUG, 10m walking test의 감소가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오직 FIM에서만 유의한 증가가 나타났다(p<.05). 2) 실험 전 후의 실험군과 대조군의 각 측정값들의 평균차를 비교한 결과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실험 전 후 OLST, TUG, 10m walking test 차이의 평균은 컸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부터 가상현실기반 비디오게임이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동적균형능력 및 일상생활동작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생활습관병 예방 프로젝트 2 바로알기 - 잘못된 자세가 불러오는 척추질환

  • Lee, Jin-Han
    • 건강소식
    • /
    • v.37 no.3
    • /
    • pp.8-11
    • /
    • 2013
  • 가슴, 배, 엉덩이로 떨어지는 척추의 'S라인'은 아름다운 허리선을 대표한다. 그러나 외면적 아름다움보다 내면이 건강한 허리를 만들기 위해 신경 써야 할 것은 바로 척추의 중심을 잡는 일. 잘못된 자세로 신체의 균형이 깨져 발생하는 요통은 다양한 질환으로 발전하게 된다. 가장 대표적인 척추질환에 대해 알아보자.

  • PDF

국내 고속전철 기술 현황 및 차세대 시제차량개발

  • 정경렬;김경택
    • Journal of KSNVE
    • /
    • v.14 no.2
    • /
    • pp.35-45
    • /
    • 2004
  • 한국에서의 철도는 1890년대 말 서울-노량진간(33 km)을 시속 20km/h로 1시간 30분에 주파한 이래 100여년이 지난 2004년 4월 1일 시속 300 km/h 의 고속철도시대를 개막하였다. 고속철도의 개통은 전국을 한나절 생활권으로 묶으면서 국민 생활 전반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지역균형 발전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사람과 물류의 이동시간을 단축시켜 운송 및 물류비용을 절감시키는 등 고속철도는 국토의 대동맥 역할을 담당할 신교통수단으로서 그 자리를 굳건히 할 것이다.(중략)

향토자원을 활용한 농촌발전전략

  • 황종환;박진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Conference
    • /
    • 2004.05a
    • /
    • pp.205-216
    • /
    • 2004
  • UR, DDA, FTA 확대 경제 블록화 등 전 세계적으로 개발 확대 및 경쟁심화 추세가 지속되면서 전체경제와 농업부문간의 성장격차확대, 농가 교역 조건 악화 등으로 농가 경제의 어려움이 증대되고 있으며, 규모화ㆍ전업화 진행과정에서 경영위험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주 5일 근무제의 도입ㆍ웰빙 문화의 급속한 확산ㆍ참여정부에 의한 지역균형 발전 정책추진ㆍ바이오 기술의 급격한 발전ㆍ농산물 수출국의 경제발전에 따른 농업인구 감소에 따른 수입 농산물 비용인상 등 위기와 기회가 교차하는 시점으로 농업의 경쟁력 강화가 무엇보다 중요하다.(중략)

  • PDF

향토자원을 활용한 농촌발전 전략

  • 황종환;박진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Conference
    • /
    • 2004.05a
    • /
    • pp.23-42
    • /
    • 2004
  • UR, DDA, FTA 확대 경제 블록화 등 전 세계적으로 개발 확대 및 경쟁심화 추세가 지속되면서 전체경제와 농업부문간의 성장격차확대, 농가 교역 조건 악화 등으로 농가경제의 어려움이 증대되고 있으며, 규모화ㆍ전업화 진행과정에서 경영위험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주 5일 근무제의 도입ㆍ웰빙 문화의 급속한 확산ㆍ참여정부에 의한 지역균형 발전 정책추진ㆍ바이오 기술의 급격한 발전ㆍ농산물 수출국의 경제발전에 따른 농업인구 감소에 따른 수입 농산물 비용인상 등 위기와 기회가 교차하는 시점으로 농업의 경쟁력 강화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중략)

  • PDF

An Analysis of Indicative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Life by Local Governments (지방자치단체별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지표 분석)

  • Im, Kwang Hyuk;Kim, Seok-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23-224
    • /
    • 2019
  • 최근 개인의 일과 생활이 조화롭게 균형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워라밸(Work and Life Balance)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커지고 있다. 즉, 과거에는 직장에서의 성과 창출을 통한 지위 향상에 관심을 가졌지만, 현재에는 직장과 개인적인 생활의 균형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이러한 사회 현상과 맞물려 많은 지방자치단체를 비롯한 공공기관은 물론 규모가 큰 민관기관에서도 삶의 질과 관련된 구성원들의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의 다양한 지표를 나타내는 지방지표 중에 삶의 만족도 지표도 포함되어 있다.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 통합데이터베이스 및 e지방지표를 이용하여 지방자치단체에 속한 구성원들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지표를 분석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