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22626/jkfrma.2019.23.2.003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ype of Time Use in the Rural Elderly  

Cho, Hee-Keum (Dept. of Family Welfare, Daegu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and Policy Review / v.23, no.2, 2019 , pp. 41-59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 typology of time use and analyze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time use in the rural elderly. The research subjects were 1,000 people aged 65 years and over living in the rural areas of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a time-use diary.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in the analysis included calculation of the mean and the standard deviation,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cluste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time use practices of the rural elderly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work-leisure balance, work-oriented, and leisure-oriented type. Life satisfaction of the rural elderly differed according to the type of time use. The work-oriented types showed the highest scores of life satisfaction, and leisure-oriented types showed the lowest.
Keywords
rural elderly; time-use types; work-leisure balance; work-oriented; leisure-oriented; life satisfac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강성진(2010). 한국인의 생활만족도 결정요인 분석. 경제학연구, 58(1), 5-36.
2 권미애.김태현(2008). 노년기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자원봉사활동 집단과 경제 활동 집단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28(4), 1080-1111.
3 권중돈.조주연(2000). 노년기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20(3), 61-76.
4 김외숙(2015). 노인의 시간배분 유형에 따른 시간만족도의 차이.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9(1), 163-180.
5 김외숙(2016). 노인의 여가참여유형에 따른 생활만족도의 차이.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0(1), 23-42.
6 김은경.김응렬(2002).노인의 생활시간 구조 분석. 한국학연구, 17, 145-175
7 김주현(2007a). 생활시간사용으로 본 논년기 생산적 활동. 한국노년학, 27(4), 739-754.
8 김주현(2007b). 노인 생산적 활동의 복합성과 생활만족도. 한국인구학, 30(3), 57-81
9 김주현(2016). 한국여성 노인의 가족 돌봄과 생활만족도. 한국인구학, 39(2), 49-70.
10 김진욱(2006). 한국 노인의 생활시간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32, 149-177.
11 남기민.박현주(2010). 노인의 종교활동과 사회활동 참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49, 405-428.
12 박기남(2004). 노년기 삶의 만족도의 성별 차이. 한국노년학, 24(3), 13-29.
13 박순미(2010). 노인의 생활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비교연구-도시노인과 농촌노인의 특성비교-. 노인복지연구, 47, 137-160.
14 박순미(2011). 노인의 건강상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참여와 경제활동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53, 291-318.
15 연합뉴스(2019.2.21.). https://www.yna.co.kr/view/AKR20190221108452004.
16 이미경.최영순.남은숙(2017). 농어촌 거주 노인의 주관적 생활만족도 결정요인. 한국도서연구, 29(2), 73-90.
17 이보람.이정규(2016). 노인의 생활만족에 대한 사회적 참여와 경제적 참여의 효과 비교. 노인복지연구, 71(2), 351-377.
18 이소정(2009). 우리나라 노인의 사회참여 유형 분석. 한국인구학, 32(1), 71-91.
19 이신숙(2011a). 은퇴한 노인의 생활시간 사용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20(2), 311-325.   DOI
20 이신숙(2011b). 은퇴한 노인의 생활시간 사용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6(2), 35-58.
21 이정훈.이한우.이옥자(2014). 노인의 공식/비공식적 생산적 활동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 노인복지연구, 17(3), 85-110-
22 정경희(2001). 노인의 생활시간 배분실태. 보건복지포럼, 61, 7-18
23 이향숙.신원우(2016). 노인의 여가활동 유형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문화산업연구, 16(3), 157-165.
24 이혜자.전동일(2011). 농촌.도시지역 거주 노인의 생산적 활동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31(2), 419-437.
25 장주효(2010). 노인의 생활영역만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정순둘.박현주.오은정(2013). 베이비부머의 은퇴 후 희망 노후생활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노인복지연구, 62, 289-316.
27 지현진(2012). 2009 생활시간자료를 근거로 한 노년층의 여가프로파일. 한국노년학, 32(3), 675-687.
28 채화영.김주희.이기영(2011). 중.고령자의 생활시간 유형화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5(2), 129-146
29 최종후.소선하.노원희(2005). 생활시간조사에 기반한 노인층 생활유형분석. 한국조사연구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55-70.
30 통계청(2018a). 2018 고령자 통계 보도자료
31 통계청(2018b). 2017 농림어업조사결과
32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2). 2011년도 노인실태 조사.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3 황남희(2014). 한국 노년층의 여가활동 유형화 및 영향요인 분석. 보건사회연구, 34(2), 37-69.
34 Koyano, W., Shibata, H., Nakazato, K., Haga, H., & Syunyama, Y.(1987), Measurement of competence in the elderly living at home: development of an index of competence. Japanese Journal of Public Health, 34(3), 109-114.
35 통계청(2014). 2014 생활시간조사 결과 보고서
36 통계청(2015). 2015 고령자통계 보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