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일정 계획 검증

Search Result 96,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Development of Progress Management System based on Quality Inspection Information - Case Study on Nuclear Power Plant Construction - (품질관리 정보를 기반으로 한 진척도 관리 시스템 개발 - 원자력발전소 건설공사 사례를 중심으로 -)

  • Kwahk, Kil-Jong;Kim, Jae-Jun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2 no.1
    • /
    • pp.73-84
    • /
    • 2011
  • This study represents construction progress management model based on quality inspection process in addition to cost-schedule integration. Quality inspection process cycle, resource estimate as progress measurement parameter, hierarchical structure of schedule, and inspection lots linking quality inspection to resource estimate are addressed as four main information areas. The authors established several process models to give a structure and correlations among information elements on each of these areas. Applying the process models proposed, an information system was implemented and utilized for nuclear power plant construction. It reveals that the system achieves accurate and objective progress information in near real time with significantly reduced time and effort as well as administrative efficiencies from making quality inspection process online.

Sensory Evaluation of Foundation Product and Application for Product Develpomnent (파운데이션의 관능적 특성평가와 제품개발에 대한 응용 사례 연구)

  • 김수정;양윤정;선보경;이성호;문성준;장이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1.05a
    • /
    • pp.253-261
    • /
    • 2001
  • 화장품의 사용감은 개개인에 따라 다양한 기호를 나타내며 상대적이고 감성적인 개념들이 우선하게 된다. 이러한 관능특성들을 보다 객관적이며, 과학적으로 고찰하고자 하는 연구분야가 바로 관능평가이다. 본 연구에서는 메이크업 단계 중 베이스 메이크업에 속하는 제품인 파운데이션의 관능 특성을 보다 객관적이며 신뢰성 있게 평가, 분석하는 전문패널 평가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 사내 여성을 대상으로 discriminative 및 descriptive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적합한 패널을 선정하였고 일정하게 규정된 일련의 교육과정들을 통해 패널을 훈련시킴으로써 베이스 메이크업 전문 패널 평가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그 후 파운데이션에 대해 질감별 제품을 평가하도록 한 후 이러한 방법으로 수집된 데이터를 신뢰성 있는 통계적 분석법을 이용하여 제품의 사용감 특성이 위치되니 2차원적 공간영역과 제품별 사용감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후 분석된 결과를 자사 브랜드 메이크업 라인의 파운데이션 제품에 응용하여 제품을 차별화 시키도록 설계하고 질감별 특징적 사용감과 적합한 특성강도를 제시한 후 이를 나타내는 처방의 제품을 결정하였다. 최종적으로 출시된 제품을 실제 소비자들을 통해 기호형 관능평가를 다시 한번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실제 느끼는 사용감각 특성과 상품개발 계획 시 소구하고자 했던 관능특성이 일치하게 나타나 사용감 설계의 객관성을 검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관능평가를 제품개발에 응용한 활용방안으로 보고자 하였다.

  • PDF

Application of Chiu's Velocity Distribution Equation to Laboratory Channel with Varied Channel Slope (Chiu 유속분포공식의 하상경사가 변화는 실험실 수로에 적용성 분석)

  • Choo, Tai-Ho;Ok, Chi-Youl;Je, Sung-Jin;Lee, Seoung-Kwa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7.05a
    • /
    • pp.99-103
    • /
    • 2007
  • 정확하고 신뢰성 높은 유량 자료는 수자원의 정량적인 계획과 관리에 필수적이다. 이를 위하여 Chiu는 기존의 결정론적인 흐름 방향 유속분포식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으로 확률통계에서 사용되는 엔트로피 개념을 이용한 3차원 유속분포 식을 제안하였고, 이를 실험실 데이터와 자연하천에 적용하여 신뢰성과 정확성을 지속적으로 증명하여 마침내 이에 대한 활용성이 매우 크게 대두되어 Chiu의 유속공식을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이론적인 유속 분포식을 검증하기 위하여 단면 형상이 일정한 직사각형이나 사다리꼴 동의 실험수로에서부터 불규칙한 단면 형상을 갖는 자연 하천에 대한 적용을 거의 이루고 있는 실정이나, 하상경사가 변하는 경우에도 엔트로피 파라미터(M)가 이에 대응하여 평형상태에 도달하려고 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다. 본 연구에서는 하상경사를 임의로 변경 가능한 실험수로를 선택하여 정밀법에 의한 유속측정을 실시하였다. 같은 지점의 같은 단면에서 하상경사(${\Theta}$)가 0.000935부터 0.025794까지 28번의 경사변화를 주고 각 경사마다 유량을 측정하여 28개의 유량측정 데이터를, Chiu의 엔트로피 유속공식에 적용하여, 평균유속과 최대유속 사이의 관계가 선형관계, 즉 하상경사가 변하는 경우에도 엔트로피 파라미터(M)가 이에 대응하여 평형상태에 도달함을 증명하였다.

  • PDF

An Estimating Method for Software Testing Manpower (소프트웨어 시험 인력의 추정 방법)

  • Park Ju-Seok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11D no.7 s.96
    • /
    • pp.1491-1498
    • /
    • 2004
  • Successful project planning relics on a good estimation of the manpower required to complete a project, together with the schedule options that may be available. Despite the extensive research done developing new and better models, existing software manpower estimation models are present only the total manpower or instantaneous manpower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testing time for the software life-cycle. This paper suggests the manpower estimating models for software testing phase as well as testing process and debugging process in accordance with de-tected faults. This paper presents the polynomial model for effort based on testing and debugging faults. These models are verified by 5 different software project data sets with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and mean magnitude of relative error for adaptability of model.

Development of a Chaotic Electric Arc Furnace Model (전력 품질 해석을 위한 개선된 전기아크로 모델 개발)

  • Jang, Gil-Soo;Wang, Weiguo;Lee, Byong-Jun;Kwon, Sae-Hyu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0.07a
    • /
    • pp.55-57
    • /
    • 2000
  • 대규모의 전력을 사용하며 전력 수요가 일정하지 않고 변동하는 제철소의 전기아크로 (electric arc furnace) 부하는 전압 플릭커 (voltage flicker) 등 전력품질을 저하시키는 현상의 주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전력품질의 향상을 위한 전력계통의 계획과 운용에 있어서 이러한 부하들의 비선형적인 전압-전류 특성을 해석하고 모델링하는 것이 우선 되어야 한다. 특히 전기아크로 부하의 비선형적이고 랜덤 신호에 가까운 특성은 stochastic 접근법에 의해 주로 모델링되어 왔으나, 전기아크로 부하에 의한 전력계통에서의 영향을 평가를 위해서는 deterministic 접근법에 의한 모델링이 필요하며 전기아크로 부하가 가지는 chaos 특성을 Lorenz 시스템으로 표현한 부하모델이 개발되었다[1]. 개발된 모델에 의해 하나의 chaos 시스템으로 예측된 전기아크로 부하 패턴은 전 동작 범위에서 부하 특성을 정확하게 반영하는데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전기아크로 부하 패턴을 표현할 수 있는 복수의 chaos 시스템을 이용하여 보다 나은 예측 특성을 가진 부하 모델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Lorenz 시스템과 전기아크로 부하의 고주파영역 특성을 보다 적절하게 반영할 수 있는 Logistic 시스템을 혼합한 형태의 chaos 모델을 개발하고, 전력 계통에서의 전력품질 저하현상을 정량화하는 지수를 통해 모델의 유용성과 정확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Maximum and mean velocity Relationships in laboratory flumes with Varied Channel Slopes (수로경사가 변화하는 실험실수로에서의 최대유속과 평균유속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 Choo, Tai-Ho;Ok, Chi-Youl;Lee, Seoung-Kwan;Je, Sung-Ji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7.11a
    • /
    • pp.116-119
    • /
    • 2007
  • 정확하고 신뢰성 높은 유량 자료는 수자원의 정량적인 계획과 관리에 필수적이다. 이를 위하여 Chiu는 기존의 결정론적인 흐름 방향 유속분포식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으로 확률통계에서 사용되는 엔트로피 개념을 이용한 3차원 유속분포 식을 제안하였고, 이를 실험실 테이터와 자연하천에 적용하여 신뢰성과 정확성을 지속적으로 증명하여, 마침내 이에 대한 활용성이 매우 크게 대두되어 Chiu의 유속공식을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이론적인 유속 분포식을 검증하기위하여 단면 형상이 일정한 직사각형이나 사다리꼴 등의 실험수로에서부터 불규칙한 단면 형상을 갖는 자연 하천에 대한 적용을 거의 이루고 있는 실정이나, 하상경사가 변하는 경우에도 엔트로피 파라미터(M)가 이에 대응하여 평형상태에 도달하려고 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다. 본 연구에서는 하상경사를 임의로 변경 가능한 실험수로를 선택하여 정밀법에 의한 유속측정을 실시하였다. 같은 지점의 같은 단면에서 하상경사($\theta$)가 0.00069부터 0.019034까지 28번의 경사변화를 주고 각 경사마다 유량을 측정하여 28개의 유량측정 데이타를, Chiu의 엔트로피 유속공식에 적용하여, 평균유속과 최대유속 사이의 관계가 선형관계, 즉 하상경사가 변하는 경우에도 엔트로피 파라미터(M)가 이에 대응하여 평형상태에 도달함을 증명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Supporting tool for WBS-based cost (작업분류체계 기반 공사비 작성을 위한 지원도구 개발)

  • Yoon, Hoi-Su;Moon, Jin-Suk;Kim, Seong-Jin;Han, Chung-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11a
    • /
    • pp.1430-1432
    • /
    • 2011
  • 공사비정보와 일정정보는 사업을 관리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정보로 이들이 연계활용되어야 공정공사비 관리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 그러나 국내의 실정은 공사비가 내역체계 기반으로 관리됨에 따라 설계사에서 작성되어 시설, 부위, 공간 등의 정보를 갖고 있던 수량정보가 내역체계 기반으로 전환되면서 정보들을 상실하고 시공사에서는 다시 물량분개라는 작업을 통해 다시 시설, 부위, 공간 등의 정보를 부여하는 작업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도로분야 사업을 대상으로 작업분류체계(WBS)를 그 연계방안으로 제시하고 작업분류체계 기반 공사비 작성을 통해 설계사에서 작성된 정보를 시공사에서까지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사업에서는 이러한 작업분류체계 공사비 작성을 위한 지원도구 개발을 위해 업무 프로세스 검토, 지원도구 활용 공사비 작성, 시험적용을 통한 지원도구 검증을 수행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내역정보와 공정정보의 연계가 실현되고, 효율적인 공사비 관리의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A Study that Target Amount of Standardization by Menu Management Effect on the Job Efficiency (메뉴관리에 따른 조리 표준량 목표가 업무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Lee, Sang-Jung
    • Culinary science and hospitality research
    • /
    • v.16 no.2
    • /
    • pp.49-63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menu management effect on job efficiency at a hotel restaurant. Target standardization amount is needed to set for effective menu management to give quality menu toward customers to do that bring effective job efficiency. The survey is conducted to employees who are working at hotel restaurant. To verify the hypotheses, set this study up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rough statistical package SPSS WIN 12.0. Moreover, adjusting regression analysis using multiplying matrix was carried to obtain the results of effectiveness. The results show that menu management is required to apply the target amount of standardiza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job efficiency. At a menu planning phase, managers are expected to compose menu after having full consultation with employees. During the process, the target standardization amount can play a key role to improve job efficiency. Conclusively, to get effective customer service performance, it is necessary to set the target amount standardization if you are considering a trend and taste of customers who should be kept being adjusted or supplemented in line with a trend.

  • PDF

Optimal Scheduling of Satellite Tracking Antenna of GNSS System (다중위성 추적 안테나의 위성추적 최적 스케쥴링)

  • Ahn, Chae-Ik;Shin, Ho-Hyun;Kim, You-Dan;Jung, Seong-Kyun;Lee, Sang-Uk;Kim, Jae-H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6 no.7
    • /
    • pp.666-673
    • /
    • 2008
  • To construct the accurate radio satellite navigation system, the efficient communication each satellite with the ground station is very important. Throughout the communication, the orbit of each satellite can be corrected, and those information will be used to analyze the satellite satus by the operator. Since there are limited resources of ground station, the schedule of antenna's azimuth and elevation angle should be optimized. On the other hand, the satellite in the medium earth orbit does not pass the same point of the earth surface due to the rotation of the earth. Therefore, the antenna pass schedule must be updated at the proper moment. In this study, Q learning approach which is a form of model-free reinforcement learning and genetic algorithm are considered to find the optimal antenna schedule. To verify the optimality of the solution, numerical simulations are conducted.

Issues and Improvements in Extended Application of LID technologies (국내 LID 기법 적용확대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 Choi, Jong-Soo;Hyun, Kyoung-Hak;Lee, Jung-Min;Kang, Myung-Soo;Jung, Seung-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242-246
    • /
    • 2012
  • 우리나라의 경우 비점오염원에 의한 오염부하 기여도가 점차 증가하면서 '06년 관련 법규 개정을 통해 일정 규모 이상의 개발사업에 대해서는 비점오염저감시설 설치를 의무화하였으며, '11년 기준 국내에는 약 6,000여개 이상의 저감시설이 설치되었다. 해당 시설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 장치형에 비해 자연형이 처리효율 및 유지관리 측면에서 유리한 것으로 보고되면서 환경부는 개발사업에 대해 저영향개발기법(LID)의 적용을 의무화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개발사업에 있어 LID는 토지이용기법을 통해 우수 유출과 오염원 유출을 저감하고자 하는 기법으로, 비용 및 유지관리 측면에서는 유리하나 기존 단위시설 적용기법에 비해 계획적인 요소가 강해 적용 확대 및 의무화가 용이하지 않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ID 적용 확대와 관련된 문제점을 분석하고 적용 의무화를 위해 필요한 대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해당 기법 자체가 가지는 한계와 제도적인 문제점을 분석하였으며, LID 기법의 확대 적용을 위해 필요한 대안을 제안하였다. 분석 결과, LID 기법은 기존 장치형 시설에 비해 계획기법의 측면이 커 기술개발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저감시설의 적용여부에 대한 검증도 곤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처리효율 계량화가 어려워 오염총량제와 연계된 오염부하 삭감효과 인정이 곤란해 확대 적용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의 분석결과에 근거할 때, LID 기법의 확대 적용은 국내의 제도적 여건 및 LID 기법 자체의 한계를 감안하여 단계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조속한 확대 시행을 위해서는 다음의 방안 마련을 제안한다. 첫째, 적용 여부에 대한 판단이 모호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적정 적용여부를 심의할 수 있는 인증제도 도입을 제안한다. 이 제도는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 등 기존 유사 제도에 항목을 추가하는 방법과 별도의 제도를 신설하는 방법이 가능할 것이다. 둘째, 처리효율 정량화를 위해 기존 농도 위주의 처리효율 개념을 벗어나 유량 개념의 처리효율 산정이 필요하다. 즉, 처리용량 범위내에서 외부에 유출없이 우수저류 및 침투가 가능한 경우 전량 처리되는 것으로 간주하는 방식이다. 연구결과로 제안한 LID 기법 적용에 대한 인증제도 마련과 유량개념의 처리효율 산정방안이 도입된다면, 보다 조속한 시일내 LID 기법의 확대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