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일정주파수

Search Result 691,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Silp frequency control of magnetic levitation propulsion system using a linear induction motor (선형유도전동기를 이용한 자기부상추진시스템의 슬립주파수 제어)

  • Lee, Seok-Young;Park, Sang Uk;Mok, Hyung soo;Lim, Jae-Won;Park, Doh-Young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5.07a
    • /
    • pp.493-494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선형유도전동기를 이용하는 자기부상열차의 슬립주파수 일정 벡터제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기존의 사용했던 슬립주파수 일정 RMS제어방식에서 슬립주파수를 일정 벡터제어 방식으로 전환하여 그에따른 슬립주파수와 노치변화를 통해 더효율적인 운전 조건과 주파수를 찾기위한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통해 제안한다.

  • PDF

Quasi-Resonant PWM Converter Controlled by Constant Frequency (일정한 주파수로 제어되는 쿼지 공진형 PWM 컨버터)

  • Joung, Gyubum
    • Journal of Satellit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 /
    • v.12 no.2
    • /
    • pp.28-32
    • /
    • 2017
  • In this paper, a quasi-resonant PWM converter, which is controlled by constant frequency, has been suggested. As quasi-resonant converter, the switches of the suggested converter has soft switching characteristics, which can operate to high frequency with high efficiency. Comparing with varied controlled frequency of quasi-resonant converter for controlling output voltage, the suggested converter has advantages which optimize filter and EMI filter design at constant switching frequency. The converter has been analyzed by switch mode analysis which verified soft switching operation. Also, the PWM ope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nverter are verified by simulation and experiment of 100 kHz DC-DC converter.

Improvement of Dynamic Response for IPMSM based on DTC-CFTC Using Sliding Mode Control (일정 스위칭 주파수를 가지는 DTC 기반 IPMSM의 슬라이딩 모드 제어를 이용한 속응성 향상)

  • Han, Byeol;Bak, Yeongsu;Lee, Kyo-Beum
    • Journal of IKEEE
    • /
    • v.23 no.2
    • /
    • pp.628-635
    • /
    • 2019
  • This paper proposes sliding mode control (SMC) method for improvement of dynamic response for IPMSM based on DTC with constant switching frequency. DTC with constant switching frequency method consists of PI torque controller and triangular comparator for constant torque error status. It has the poor dynamic response compared to conventional DTC. This paper proposes improvement method of dynamic response of DTC with constant switching frequency by using SMC. Simulation results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Novel Frequency Modulation Circuit using Phase Locked Loop Synthesizer (PLL 주파수 합성기를 이용한 새로운 주파수 변조 회로 설계 및 제작)

  • 양승식;이종환;염경환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15 no.6
    • /
    • pp.599-607
    • /
    • 2004
  • In this paper, using phase locked loop(PLL) synthesizer, we introduce a novel but simple and low cost frequency modulation(FM) circuit of a flat peak frequency deviation fur modulation signal whose frequency covers from outside to inside of the loop-bandwidth of PLL. The FM circuit was basically designed to compensate an amount of feedback of the loop filter in PLL. The circuit also includes the capability of the adjustment of peak frequency deviation and of blocking the intereference with the loop filter. The designed circuit was successfully implemented and showed the flat frequency deviation as expected in the design. In addition, the novel measurement method of the wideband FM modulation index is suggested verified With the suggest measurement, it can be successfully shown the designed circuit has the expected frequency deviation.

Frequency Stabilization of Femtosecond Mode-Locked Laser (펨토초 모드록 레이저의 주파수 안정화)

  • 김억봉;박창용;염진용;윤태현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2.07a
    • /
    • pp.224-225
    • /
    • 2002
  • 펨토초 모드록 레이저는 공진기의 왕복시간 $\tau$마다 펨토초 폭을 갖는 펄스를 발생시키고, Fourier 변환에 의해 주파수 공간에서는 일정한 주파수 간격 $\Delta$ = 1/$\tau$을 가지는 불연속 스펙트럼, 즉 광빗 스펙트럼을 갖게 된다(1). 광빗의 간격, 즉 펄스의 반복률, 은 $\Delta$ : v$_{g}$l$_{c}$의 관계식에 의해 그룹속도(v$_{g}$)와 공진기 길이(l$_{c}$)에 의해 결정된다. 광빗의 간격을 고정시키기 위한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공진기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다. (중략)

  • PDF

Improvement of Time Resolution of the Constant Q Transform using Octave Band Filter Banks (옥타브 밴드 필터 뱅크를 이용한 일정 Q 변환의 시간 해상도 개선)

  • Byun, Jeong-Keun;Kim, Dong-Jun;Choi, Do-Ill;Park, Sang-Hui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4 no.6
    • /
    • pp.32-39
    • /
    • 1995
  • This paper describes a method of musical frequency estimation using tree structured octave band filter banks and the constant Q spectral transform. The performances of the proposed method a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ventional constant Q transform using FFT. The performances are evaluated by the estimated fundamental frequency, varying the bandwidth and the frequency resolut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With the same frequency resolution of the conventional constant Q transform using FFT, the proposed method gives the better time resolutions, thus, the limit of the processing bandwidth is removed. And, when the bandwidth and the frequency resolution are set high for more accurate results,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of the proposed method is less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one.

  • PDF

Improvement of ATO Efficiency by Varying Slip Frequency for a Magnetic Levitation Propulsion System Using a Linear Induction Motor (선형유도전동기를 이용한 자기부상추진시스템의 ATO운전 효율 향상)

  • Park, Sang Uk;Jeon, Chan Yong;Mok, Hyung Soo;Lim, Jae-Won;Park, Doh-Young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6.07a
    • /
    • pp.109-110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현재 운행되고 있는 선형 유도전동기의 슬립주파수 고정 방식이 아닌 선형 유도전동기를 이용한 자기부상열차의 슬립주파수와 수직력 및 추진력과의 관계를 이용, 열차의 가감속시 운행패턴에 따라 운행 중 슬립주파수가 가변할 수 있는 슬립주파수 가변패턴을 형성, 선형유도전동기 자기부상시스템에서의 에너지 효율향상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슬립주파수와 수직력, 추진력과의 관계를 이용 슬립주파수 일정 실효치전류제어 알고리즘과 슬립주파수 일정 벡터제어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운전조건과 슬립주파수를 변경하며 운전조건에 따른 가장 효율적인 슬립주파수의 패턴을 형성하였다. 이 후 모의시험과 실차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알고리즘에 대한 정당성과 실제 효율의 증가를 통해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앞선 두 가지 알고리즘을 통해 열차부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의 수직력을 가지는 범위내에서 슬립주파수를 가변 운전 조건에 따른 최적의 슬립주파수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운행 중 가변하는 슬립주파수를 자동열차운전(ATO)시스템에 적용 모의실험을 통해 그 적용가능성과 효율을 검증하였다.

  • PDF

Performance Verification of Anti-Islanding of Reactive Power Variation Method using Positive Feedback (정궤환을 이용한 무효전력 변동기반의 단독운전 방지 성능 검증)

  • Jo, Jongmin;An, Hyunsung;Park, Jiho;Cha, Hanju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8.07a
    • /
    • pp.141-143
    • /
    • 2018
  • 본 논문은 계통연계형 인버터의 단독운전 방지를 위해 정궤환을 이용한 무효전력 변동기법을 제안하였으며, 구현 및 실험을 통해 단독운전 방지 성능을 검증하였다. PCC 지점에는 양호도($Q_f$) 2.5의 특성을 갖는 3상 RLC 부하가 연결되며, 부하 공진주파수는 60Hz로 설정하였다. 무효전력 변동기법은 일정 크기로 주입되는 무효분과 주파수 편차를 이용한 정궤환으로부터 공급되는 무효분으로 구성된다. 계통연계 운전 시에는 일정한 무효전력 성분만이 공급되며 역률은 0.9975이다. 단독운전 발생 시, 일정 무효전력 때문에 변화된 PCC 주파수와 계통 정격주파수 간의 편차는 정궤환 성분을 활성화하고, 증가된 무효전력에 의한 PCC 주파수 변화를 검출하여 단독운전을 판단한다. 1.7kW 3레벨 T-타입 인버터를 통해 단독운전 방지 성능을 실험하였으며, 검출시간은 각각 53ms, 150ms로써 우수한 성능을 검증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Trellis coded 4-ary Continuous Phase FSK with Nonconstant Frequency Space (비일정 주파수 간격을 갖는 트렐리스 부호화 4-ary 연속위상 FSK의 성능개선에 관한 연구)

  • 조경룡;심수보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19 no.10
    • /
    • pp.1925-1934
    • /
    • 1994
  • In this paper, it was studied the method of performance improvement of trellis encoded 4-ray continuous phase FSK with nonconstant frequency space when permitted complexity. It was used the nonconstant mapper in order to produce nonconstant frequency, fixed maximum symbol values 3, -3 for comparision in similar bandwidth, changed symbol values 1, -1 from 0.5 to 3.0 as symmetry. Free Euclidean distance evaluation of all encoder/nonconstant mapper combinations, which is the parameter of performance of error probability, was performed with the trellis-based algorithm,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ose.

  • PDF

Reduction Method of Torque Ripple in Induction Motor using DTC with Constant Switching Frequency (일정 스위칭 주파수를 가지는 유도전동기 직접토크제어의 토크리플 저감기법)

  • La, Koang-Kyun;Shin, Myoung-Ho;Hyun, Dong-Seo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0.07b
    • /
    • pp.1257-1259
    • /
    • 2000
  • 직접토크제어(DTC)가 빠른 포크 응답을 가지고있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이것은 기존의 벡터 제어와는 달리 공간 전압벡터에 의해 직접적으로 토크와 자속이 제어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직접토크제어 기법은 그것이 도입되어진 1980년대 중반 이래로 노크의 빠른 응답을 필요로 하는 분야에 점차적으로 적용되어져 왔다. 하지만 이런 장점에도 불구하고 직접토크제어는 히스테리시스 밴드, 속도 그리고 전동기 파라메타의 변화에 따른 스위칭 주파수의 변화와 토크 리플의 증가, 좋은 성능을 위한 높은 제어 주기 등의 몇 가지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 DTC의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여러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다. 본 논문에서는 이들 단점들 중 하나인 토크리플을 개선하려한다. 다른 논문들에서도 일정 주파수를 가지는 여러 제어 기법을 사용하여 직접토크제어의 단점을 해결하려 했지만 너무 복잡하고 큰 성능을 나타내지 못했으며 몇몇 논문들은 오히려 직접토크제어의 장점인 빠른 응답성을 잃는 결과도 가져왔다. 그래서 본 논문은 간단한 개념을 가지고 토크리플을 줄이며 일정 스위칭 주파수를 가지므로 DSP를 사용하여 제어하기 용이한 직접토크제어기법을 제안하려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