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일정계획 수정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4초

조선의 일정계획 수정 및 통제 : DAS-REACT (Reactive Scheduling and Control for Shipbuilding : DAS-REACT)

  • 이정승;이재규;최형림
    • 지능정보연구
    • /
    • 제2권1호
    • /
    • pp.59-73
    • /
    • 1996
  • 전체적인 조선 생산일정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 계층적 구조를 채택하였다. 이 구조에 의하면 도크의 상위 일정계획 생성기는 탑재 일정계획을 생성하고, 조립공정의 하위 일정계획 생성기는 상위 일정계획 생성기가 요구하는 범위 내에서 각각 세부적인 조립 일정계획을 세우게 된다. 그런데 하위 일정계획 생성기가 아무리 노력하여도 상위 일정계획 생성기로부터의 제약조건을 만족시킬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면, 일정계획 수정기에 통보하여 초기 탑재 일정계획을 수정해야 한다. 하위 일정계획 생성기로부터의 조정요청을 반영하기 위해서 부분 수정을 통해 충격을 최소화시키는 일련의 휴리스틱으로 구성된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각각의 휴리스틱은 여유시간 제거, 버퍼 제거, 작업시간 축소, 다단계 여유시간 제거, 과부하 자원 공유블럭 조정, 자원 제약조건 완화 등이고, 흡수되지 않은 일부의 충격은 주변으로 전파된다. 이와같은 방법론을 대우조선의 상황에 적용하여, 조선일정계획 수정 시스템인 DAS-REACT를 개발하였다.

  • PDF

실시간 전문가 시스템개발툴(G2)를 이용한 생산일정계획 전문가 체계의 개발

  • 이치근;방종식;이창호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산업공학회/한국경영과학회 1994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논문집; 창원대학교; 08월 09일 Apr. 1994
    • /
    • pp.491-499
    • /
    • 1994
  • 중대형 컴퓨터생산 라인은 요구 사양의 다양성, 주문의 가변성, 잦은 주문의 변화, 자재의 긴 납기들로 특징지워진다. 이와 같은 생산체계에서의 생산일정계획은 첫째, 자재및 재공의 엄격한 가용성 점검기능, 둘째, 돌발적인 주문에 대비한 안전재공의 유지기능, 셋째, 자재 부족시 완성품의 수를 극대화 시킬수 있는 자재할당처리, 넷째, 자재수급계획의 변동을 흡수할 수 있는 생산 일정계획의 수정기능이 지원되어야 한다. 본 시스템은 이상의 요구조건들을 만족시키는 생산 일정계획 수립시스템으로 현장에서 사용되는 3000-4000가지에 이르는 자재의 보유상황을 엄격히 점검하여 주문된 제품에 대한 자재 사용계획을 수립하고 안전재공으로 관리되는 재공의 보유수량을 점검해서 일정 범위내에 보유수량이 유지되도록 자동으로 생산계획을 수립한다.

제약만족 및 휴리스틱 교정기법을 이용한 최적 선석 및 크레인 일정계획 (Optimal Berth and Crane Scheduling Using Constraint Programming and Heuristic Repair)

  • 백영수;류광렬;박영만;김갑환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1999년도 추계학술대회-지능형 정보기술과 미래조직 Information Technology and Future Organization
    • /
    • pp.151-157
    • /
    • 1999
  • 선석계획 및 크레인 일정계획은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입항하는 선박들의 빈번한 변동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유연하면서도 신속한 의사결정이 가능하도록 여러 명의 전문가가 장기적인 계획을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수정 보완해 나가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선사 및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수시로 변경되는 다양한 요구조건을 수용하는 최적의 선석 및 크레인 일정계획 수립을 위하여 제약만족기법과 휴리스틱 교정(Heuristic Repair)기법을 이용하였다. 선석계획 및 크레인 일정 계획문제는 기본적으로 제약조건 만족문제로 정형화할 수 있지만 선박의 접안위치를 결정하는 문제는 목적함수를 가지는 최적화문제이다. 따라서 이 문제는 제약조건 만족문제와 최적화문제가 혼합된 문제(CSOP, Constraint Satisfaction and Optimization Problem)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각 선박의 최적 전압위치를 찾고 최우선 순위 선박의 최적 접안위치로부터 주어진 모든 제약조건을 만족하는 해를 찾는 탐색기법을 활용했고 휴리스틱 교정기법을 사용해서 제약만족기법에서 찾은 해를 교정했다.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선박부터 탐색을 하기 위해 Variable Ordering 기법을 사용했고 그 선박의 최적 접안위치부터 탐색을 해 나가는 Value Ordering 기법을 사용하였다. 실제 부산 신선대 컨테이너 터미널의 선석계획자료를 사용해서 실험을 하였다.

  • PDF

Dock의 자원과 작업환경을 고려한 탑재 Simulation (Ship Hull Block Erection Simulation In Consideration of Resource Constant and Work Environment)

  • 김정제;차희철
    • 한국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공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7-50
    • /
    • 2002
  • 선반건조 일정계획에 있어서 탑재 공정은 전체 생산일정 계획 중 선박 한 척에 대한 계획의 시발점이 되며, 병목현상 등을 유발하여 다른 일정에 가장 큰 영향을 주게 되는 공정이다. 최근 많은 조선소에서 하나의 Dock 내에서 두 착 이상의 배를 동시에 건조하는 tandem 방식을 택하고 있어 dock 내의 한정된 Crane 의 개수와 Crane의 Capacity, 공수 등의 자원, 그리고 작업환경에서 일어날 수 있는 여러 가지 변수들을 제대로 고려하지 못 했을 시에는 일정의 차질과 Dock의 회전율을 떨어트리게 한다. 본 논문에서는 가상공간에 하나의 Dock 를 만들어서 일정계획에서 작성한 Network를 사용하여 실제 작업하게 해서 그 Network가 현장에서의 최적한가를 점검하게 하고 현장에서 수정하는 작업을 줄이게 하는 것의 방법으로 simulation을 개발하였다.

  • PDF

오리의 인공수정

  • 박용우
    • 오리마을
    • /
    • 통권56호
    • /
    • pp.54-56
    • /
    • 2008
  • 오리 종란을 수집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가장 보편적인 사육 방법은 암.수를 일정한 비율로 합사하는 것으로 자연교미를 이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우수한 종오리나 특정 합성종오리(종간 혹은 속간 잡종)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인위적인 인공수정기술을 이용하여 계획교배를 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 선발된 오리들은 케이지 사육을 하여야 한다. 오리 인공수정기술이 닭의 인공수정기술과는 숫오리의 정액 채취기술에서만 차이가 있고 다른 부분에서는 매우 유사하므로 정액채취부분을 중심으로 설명을 하고자 한다.

  • PDF

소프트웨어 개발 진척도 확인을 위한 소스코드 기반의 프로젝트 일정 관리 도구 설계 (Design of Project Schedule Management Tool Based on Source Code for Checking Software Development Progress)

  • 황병일;이성희;이우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529-532
    • /
    • 2016
  • IT 융 복합 산업에서 소프트웨어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짐에 따라 프로젝트 관리는 점차 중요해지고 IT기업의 경쟁력을 결정하는 중요 요소가 되고 있다. 프로젝트 관리 중 일정 관리는 가장 기초적이고 관리적 요소가 가장 많이 들어있으며 일정 관리의 실패는 Time-To-Market을 맞추지 못한다. 일정 관리를 위해 고려해야할 문제점들은 겉으로 확인되는 진척율과 실제로 개발된 진척율의 차이, 팀원의 낭비되는 시간을 지속적 관리 등이 있음에도 현장에서는 도구 또는 파일을 통해 진행 사항을 관리하지만 세부 작업별 활동까지 연계가 되지 않아 일정 관리의 진행 상황이 명확히 드러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소스코드 기반의 실시간 프로젝트 일정 관리 도구를 제안한다. 프로젝트 계획 단계에서 작업을 컴포넌트 별로 세분화되어 있을 때 이 도구를 사용하여 컴포넌트 내부 메서드의 소스코드 작성을 통해 소프트웨어 개발 진척도를 명확하게 파악하고 해당 소스 코드의 테스트를 통해 의도대로 개발이 이루어졌는지를 확인 가능하다. 그리고 피드백을 통해 개발자에게 개발 일정 및 계획 수정에 대한 알림으로 지연되는 시간 없이 수정 가능하다.

물류 서비스 향상을 위한 배차계획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Vehicle Delivery Planning System for the Improvement Logistics Services)

  • 이명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587-593
    • /
    • 2006
  • 디지털 정보 혁명과 정보 기술의 발달은 고객의 다양한 욕구를 유발하였고 점차 기업들의 격화된 경쟁하의 생존전략으로서 물류 서비스 향상을 위한 물류 흐름이 기업 경쟁력의 중요한 요소로 부상하고 있다. 또한 공급자와 소비자 간의 정보공유는 기능 중심에서 프로세스 중심이 되면서, 유연성과 고객 서비스를 극대화하기 위한 새로운 물류 개념을 요구하게 되었다. 현재까지 대부분의 수 배송 연구는 방문순서나 방문시간의 제약조건에 따라 수요처에 대한 도착시간 및 선행순서에 대한 제약이 없는 경우의 차량경로문제(VRP)나 시간 및 선행순서에 대한 제약이 있는 경우의 차량일정계획문제(VSP)로 연구되어져 왔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배송센터에서 제약 조건에 따라 고객까지 차량일정계획 수립을 위한 시간 보다는 배차계획을 수립하는데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논문은 물류 서비스의 향상을 위한 배차계획 업무의 현실적인 제약 조건들을 고려하여 배차계획 시스템을 설계하고, 이 설계 모듈에 따라 배차계획의 수정작업 조정시간를 효율적이고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배차계획 시스템의 발견적 알고리듬을 설계하고 구현토록 한다.

  • PDF

중견건설업체의 다중현장관리를 위한 자재소요계획모델 (Material Planning Model for Multi-Project Management in Medium-sized Construction Companies)

  • 정성림;한주연;김경래;신동우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3년도 학술대회지
    • /
    • pp.598-601
    • /
    • 2003
  • 건축공사의 규모가 대형화, 복잡화, 다양화 되면서 여러 현장에서 공사수행에 따른 많은 정보가 발생하여 본사로 보고 되고 있다. 이러한 정보들 중에서 매개 현장 및 다중 현장을 동시에 관리하기 위해서는 필요정보만을 추출하여 경영진이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지원체계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중견건설업체의 경우 대기업과 비교할 때 본사 조직의 미비 및 관리업무 시스템이 취약하여 다중현장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이러한 현장관리에 있어서 자원관리는 프로젝트 관리자의 중요한 관리대상이다. 그러나 자원계획을 일정정보와의 연계가 없이 주로 담당자의 경험과 판단에 근거하여 수립하기 때문에 일정이 변경될 때마다 계획을 수작업으로 수정해야하는 실정이며, 이로 인한 불필요한 공기지연이나 재고비용이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견건설업체가 다수 현장을 동시에 관리할 수 있도록 현장의 작업일보와 공정관리 소프트웨어의 연계를 통한 자재소요계획모델을 제시한다.

  • PDF

중견건설업체의 다중현장관리를 위한 자재조달계획 지원 모델 (Material Planning Model for Multi-Project Management in Medium-sized Construction Companies)

  • 정성림;한주연;김경래;신동우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5권2호
    • /
    • pp.106-114
    • /
    • 2004
  • 건축공사의 규모가 대형화, 복잡화, 다양화 되면서 개별 현장에서 공사수행에 따른 많은 정보가 발생하여 본사로 보고 되고있다. 이러한 정보들 중에서 개별 현장 및 다중 현장을 동시에 관리하기 위해서는 필요정보만을 추출하여 경영진이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지원체계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중견건설업체의 경우 대형건설업체와 비교할 때 본사 조직의 미비 및 관리업무 시스템이 취약하여 다중현장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이러한 현장관리에 있어서 자원관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자재관리는 프로젝트 관리자의 중요한 관리대상이다. 그러나 자재조달계획을 일정정보와의 연계가 없이 주로 담당자의 경험과 판단에 근거하여 수립하기 때문에 일정이 변경될 때마다 계획을 수작업으로 수정해야하는 실정이며, 이로 인한 불필요한 공기지연이나 재고비용이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견건설업체가 다수 현장을 동시에 관리할 수 있도록 현장의 작업 일보와 공정관리 소프트웨어의 연계를 가정한 자재조달계획 지원모델을 제시한다.

아카시아 포럼이란?

  • 대한건축사협회
    • 건축사
    • /
    • 3호통권359호
    • /
    • pp.58-60
    • /
    • 1999
  • 지난호에서 개괄적으로 설명한 아카시아에 대해서 이번 호부터는 목적이나 연혁 및 중요한 행사 등을 설명한다. 먼저 지난호에서 잘못 표현된 것을 바로잡는다. 아카시아 학생건축상은 ARCASIA Students Prize(아시아건축상은 Award임)이다. 이번 우리협회가 주최하는 제10차 아카시아학술토론회의 주제는 '건축에서의 기술과 전통으로 수정되었다. 지난 2월 피ㆍ카시 아카시아 신임회장의 우리협회 방문시 다각적으로 행사협의를 하는 과정 중에 아카시아 자체가 아시아에서의 일이므로 굳이 아시아를 다시 언급할 필요가 없다는데 중지를 모아 수정한 것이다. 그리고 친교행사 항목은 주최국에 따라서 조금씩 달리 구성한다. 개막식과 환영만찬을 함께 하기도 하고 구분하기도 한다. 또한 우정의 밤과 폐회만찬은 문화의 밤을 별도로 넣고 폐회만찬에 우정의 밤을 함께 하기도 한다. 이번 대회에는 개막식에 환영만찬을 곁들이고, 문화의 밤에는 우리의 전통적인 그 무엇을 보여주고, 폐회만찬시 우정의 밤 행사를 함께 함으로써 참가국들의 장기자랑을 끝으로 공식일정을 마치는 계획을 하고 있다. 이번 호에서는 아카시아 학술토론회를 중심으로 회원국 및 지역구분, 연혁 등을 아카시아의 규약 및 정관, 그리고 점검표를 참고로 하여 소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