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일산화 질소

검색결과 190건 처리시간 0.026초

지표 미량기체 방출에 대한 두 가지 다른 형태의 Enclosure 기반 측정 방법의 응용 및 Flow-through Dynamic System을 이용한 토양 NO 방출의 민감도 분석 (Two Different Enclosure-based Measurements Applications for Trace Gas Surface Emission and Sensitivity Analysis for Soil NO Emission by Using a Flow-through Dynamic System)

  • 김득수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70-178
    • /
    • 2007
  • 지난 수 세기 동안 온실기체와 기타 화학적으로 중요한 미량기체들이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주요기체가 기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각 기체들의 흡원과 발원을 규명하고, 생물권과 대기권 사이에서 발생하는 생물 기원 기체 플럭스들을 특성화하며, 주요 기체를 조절하는 프로세스들을 이해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야외 실험을 위한 실용적 방법인 enclosure 기반의 관측법을 소개한다. 특히, 토양표면에서 방출되는 일산화질소 플럭스에 대한 enclosure내에서의 질량수지 방정식과 flow-through dynamic 플럭스 챔버 기법의 민감도를 제시하고 flow-through dynamic 플럭스 챔버 방법의 물리적인 시스템과 이론을 소개한다. 또한 챔버 벽에서 발생하는 일산화질소의 손실을 고려하므로써 새로운 플럭스 계산식을 소개하였고 그 계산식의 불확실성을 논의하였다.

Cu, Mn 함침 제올라이트13X 촉매의 CO 산화 전환 반응특성 (Characterization of CO Oxidatation Using the Cu, Mn impregated zeolit 13X catalyst)

  • 정의민;김대경;이주보;팽메이메이;송성화;문미미;전이슬;안선희;장현태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논문집 1부
    • /
    • pp.30-3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Cu, Mn을 함침 시킨 상용 제올라이트13X 촉매에 CO 산화 전환 반응에 영향을 연구하였다. 촉매 제조는 담지량별로 Cu, Mn을 서로 다른 비율로 물리 혼합하여 상용 제올라이트에 담지하였다. 함침방법은 과잉용액 함침법을 사용하였고, 건조 후 공기분위기에서 소성하여 산화물 형태로 담지하였다. 기본적인 촉매 특성은 X-선 회절분석, 질소흡탈착 등온곡선을 이용하여 기공크기, 기공부피, 비표면적을 구하였으며, FT-IR, 주사현미경, $NH_3$-TPD/TPR, EDX로 특성을 분석하였다. 촉매 산화반응 실험은 고정층 반응기에서 수행하였으며, 외경1/4 inch(내경 4 mm)석영관에 촉매를 중진하고 Gas Chromatograph로 배출가스를 측정하여 Cu-Mn 제올라이트 촉매의 일산화탄소 산화반응을 연구하였다. 일산화탄소 농도, 온도 및 공간속도, Cu-Mn 함량 비율에 따른 산화반응 실험을 수행하여 최적 산화조건과 촉매를 도출하였다.

  • PDF

카르복시 말단 유비퀴틴 가수분해 효소 활성 보유 PPPDE superfamily member인 Schizosaccharomyces pombe Sdu1의 열 스트레스에 대한 방어적 역할 (Defensive roles of Sdu1, a PPPDE superfamily member with ubiquitin C-terminal hydrolase activity, against thermal stress in Schizosaccharomyces pombe)

  • 한희;허태영;류인왕;김경훈;임창진
    • 미생물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19-328
    • /
    • 2015
  • Schizosaccharomyces pombe $sdu1^+$ 유전자는 PPPDE superfamily member에 속하는 탈유비퀴틴화 효소인 Sdu1을 엔코딩한다. 이전 연구에서, $sdu1^+$ 유전자 포함 재조합 플라스미드 pYSTP를 사용하여 Sdu1이 카르복시 말단 유비퀴틴 가수분해 활성을 보유한다는 사실이 입증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높은 배양 온도에 대한 Sdu1의 열내성적 역할이 검토되었다. 온도 천이 실험에서, pYSTP 포함 S. pombe 세포들이 37도나 42도로 천이한 후에 벡터 대조 세포들보다 훨씬 더 잘 성장하였다. 37도나 42도로 천이 한 후 6시간 배양한 pYSTP 포함 S. pombe 세포들이 벡터 대조 세포들보다 낮은 활성산소종 수준을 나타내었다. pYSTP 포함 S. pombe 세포들이 온도 천이와 관계없이 벡터 대조 세포들보다 다소 낮은 일산화질소 수준을 나타내었다. pYSTP 포함 S. pombe 세포들이 벡터 대조 세포들보다 훨씬 높은 총 글루타치온 수준을 나타내었다. 온도천이 후의 총 수퍼옥시드 디스무타아제 및 글루타치온 과산화효소 활성들이 pYSTP 포함 S. pombe 세포들에서 더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요약하면, S. pombe Sdu1은 활성산소종과 일산화질소 수준은 낮추고, 총 글루타치온, 총 수퍼옥시드 디스무타아제 및 글루타치온 과산화효소 수준들은 증가시킴으로써 높은 배양 온도에 대한 열내성적 역할을 나타낸다.

Pt, Pd와 Rh가 담지된 촉매상에서 암모니아와 수소/일산화탄소의 단계별 촉매연소에 관한 연구 (A stepwised catalytic combustion of ammonia with $H_2$ and CO on supported Pt, Pd and Rh catalysts)

  • 황주연;유인수;이규철;이승재;노동순;이관석;강성규
    • 한국연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연소학회 2006년도 제33회 KOSCO SYMPOSIUM 논문집
    • /
    • pp.20-26
    • /
    • 2006
  • 본 연구는 Fuel-NOx 제어를 위한 암모니아 중 질소성분의 전환반응에 대한 실험 결과이다. 특히 열분해가스 촉매연소에서 NOx 생성을 줄이기 위한 제어 조건을 제시하였으며, Fuel-NOx 반응 메카니즘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 PDF

단층 탄소나노튜브의 일산화질소 가스에 대한 감응특성과 열처리 효과 (NO Gas Sensing Characteristics of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and Heating Effect)

  • 김민주;윤광현;허증수
    • 센서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92-297
    • /
    • 2004
  • Carbon nanotubes (CNT) were synthesized by arc-discharge method. To fabricate CNT sensor, CNT powder was dispersed in ${\alpha}$-Terpinol($C_{10}H_{17}OH$) solution. The CNT tilms were fabricated by screen printing method on the interdigitated Pt/Pd alloy electrode. The microstructure of CNT film was observ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In order to investigate the gas sensing characteristics of the film, the CNT film was experimented to measure NO response and recovery time. The CNT sensor with a heater was compared to that without a heater. And this sensor shows better reproductibility and faster recovery time than another CNT sensors. We suggest the possibility to utilize a CNT as new sensing materials for environmental monitoring.

저 발열량 석탄가스 연료의 화염 안정성 및 NOx 발생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Flame Stability and the NOx Emission Characteristics of Low-Btu Coal Gas Fuel)

  • 이찬;김용철
    • 에너지공학
    • /
    • 제9권2호
    • /
    • pp.109-116
    • /
    • 2000
  • 저발열량 석탄가스의 thermal/fuel NOx 생성특성과 화염 안정성을 규명하기 위한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저발열량 합성 연료 가스는 일산화탄소, 수소, 질소 및 암모니아를 천연가스 연료와 동일한 입열량을 가지도록 혼합하여 만들었고 , 합성가스는 평면 화염 버너를 공급하여 태웠다. 특정한 합성가스에 대해 당량비를 변화시켜 가며, 비화 또는 역화에 의한 화염안정성을 규명하였고 안정된 화염 영역을 정의하였다. 저발열향 합성가스의 연소시 발생하는 thermal 및 fuel NOx를 측정하여 천연가스 연소시의 경우와 비교하였다.

  • PDF

다수 상호작용 화염의 공해배출물 특성 (Effect of Flame Interaction on the NO Emission)

  • 김진현;이병준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9권6호
    • /
    • pp.730-736
    • /
    • 2005
  •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interacting multiple jet flames of propane fuel are not extinguished even at the choking velocity at the nozzle exit if eight small nozzles are arranged along the imaginary circle of $40{\sim}72$ times the diameter of single nozzle. In this research,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know the NO and CO emission characteristics of the interacting flames. Measurements along the centerline of the flame revealed that decrease in CO concentration was followed by the NO decrease and $O_2$ increase. It was found that interacting flame emitted less NO than that of similar area single jet flame. Also, NO emission of partially premixed interacting flame was decreased up to $17\%$ of that of non-premixed multiple jet flame. Though the mechanism of the NO reduction was not clear from this experiment, it's been shown that partially premixed multiple jet flames could be used to achieve clean and highly stable combustion.

유전체 방전 플라즈마 공정에 의한 일산화질소 제거 공정 모델링 (Modeling of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Plasma Process for the Removal of Nitric Oxide)

  • 목영선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6권4호
    • /
    • pp.277-289
    • /
    • 2003
  • This study proposes a mathematical model to characterize the removal of nitrogen oxides in a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plasma process. As well as the reactions between nitrogen oxides, water vapor, oxygen and nitrogen, the model takes into account the effect of ethylene often used as a chemical additive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process on the removal of nitrogen oxides. Since the concentrations of the radicals concerned in the main reactions including O, OH, H and N should be calculated to predict the removal efficiency of nitrogen oxides, they were theoretically derived. The parameters affecting the removal of nitrogen oxides, such as initial concentration, discharge power, humidity, and ethylene concentration were experimentally evaluated, which were compared with the calculated result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model proposed. The predicted concentrations of several byproducts formed in this process were also presented and discussed. The effects of several parameters mentioned above on the removal of nitrogen oxides were reasonable described by the proposed model.

  • PDF

챔버를 이용한 농작지로부터의 기체배출량 측정과 배출특성 연구 : 일산화질소(NO)와 아질산가스($N_{2}O$)의 배출량산정 (Measurements of Gases Emissions from Agricultural Soils and Their Characteristics with Chamber Technique : Emission of NO and $N_{2}O$)

  • 김득수;오진만;고현석;두강진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25-228
    • /
    • 2000
  • 대류권내에 존재하는 질소산화물(NO$_{y}$ )은 지구대기의 대기화학변화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NO$_{x}$는 대류권 하층에서 광화학 과정에 관여하여 탄화수소와 함께 오존(O$_3$)을 포함한 광화학스모그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질소산화물 중 아산화질소($N_2$O)는 매우 안정한 기체로서 NO$_{x}$처럼 대류권내에서 활발한 화학 반응에 관여하지는 않지만, 메탄(CH$_4$), 이산화탄소($CO_2$), 오존(O$_3$) 등과 함께 지구온난화에 기여하는 온실기체로서 지구기후변화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중략)

  • PDF

The Origin of Diamonds (I). Experimental Data

  • R. LEverett angford
    • 대한화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95-98
    • /
    • 1978
  • 연구용 질량분석기의 검체계안에서 분쇠검출된 자연 다이아몬드내에 모인 기체에서 미루워 보아 다이아몬드의 생성에 대한 그 외계의 기체조성을 검토 제의한다. $200^{\circ}C$, $10^{-9}$torr의 진공내에서 분쇠된 다이아몬드로부터 생성된 물질들을, 검출된 양의 순으로 나타낸다면 , 물, 수소, 질소, 이산화탄소, 메탄, 일산화탄소, 아르곤 및 에탄올등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