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일사량 데이터 관리

Search Result 16, Processing Time 0.03 seconds

Estimation of Future Trend for Solar Radiation Data Management (일사량 데이터 관리를 위한 미래 변화 추이 예측)

  • Oh, In-Bae;Lee, Bong-Keun;Ahn, Yoon-A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7 no.12
    • /
    • pp.218-230
    • /
    • 2007
  • Measured values of solar radiation data have a characteristic that they change almost by the minute, so original data can be massive. Therefore, we need to construct a database which stores and manages history data of solar radiation data systematically. A study of an estimation method of the future change trend is also required. In this paper, we present a data structure in order to store history data of solar radiation data and propose an estimation method for the change trend of solar radiation that applies to a time-series decomposition method. Also, we present the results of experiments based on measured data from 20 domestic cities in Korea.

Economic Evaluation for Photovoltaic System using Insolation Data Analysis (일사량 데이터 분석을 통한 태양광발전 시스템 경제성 평가)

  • Kim, Yejin;Choi, Hyungcheol;Lee, SungHu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6a
    • /
    • pp.86.2-86.2
    • /
    • 2010
  • 태양광발전 시스템에 있어 일사량의 높고 낮음은 경제성 평가를 결정하는 주요인자로 작용하며 일사량은 지역적, 지형적 환경 조건의 차이에 따라 달리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주암 저수지 수면에 설치된 수면태양광 일사량 계측자료와 지상에서의 주암댐 관리단 옥상에 설치된 일사량 계측자료를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 수면태양광의 일사량이 지상에서의 일사량 보다 약간 상회하는 패턴을 보이며 풍속, 기온 등 기타 데이터 분석 시 수면이 태양광발전에 있어 지상보다 더 유리하다는 점을 검증 할 수 있었다. 또한 취득한 데이터를 가지고 경제성 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지상보다 수면태양광이 더 경제성 있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Design of Solar Radiation Energy Data Management System (일사량 에너지 데이터 관리 시스템 설계)

  • Oh, In-Bae;Ahn, Yoon-Ae;Ryu, Keun-Ho;Kim, Kwang-Deuk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10D no.3
    • /
    • pp.531-540
    • /
    • 2003
  • Because of the rapid increase of energy consumption, we have some problems such as environmental pollution, global warming, the oil shocks, and so on. To solve these problems, concern about renewable energy such as solar energy, wind force, and water energy is continuously increasing. America, Europe, and Japan have developed a system that manage and utilize the information of the renewable energy resources. However, in the domestic, renewable energy information system was not effectively built yet.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a renewable energy information system, which store and manage solar radiation energy data. We implemented the system using ArcView GIS. Also the system is able to retrieve the information from the energy database through various spatiotemporal queries. In addition, user can identify the results of summary data in the form of chart, graph, and counter line. The implemented system is supplied to the user through the web by ArcIMS.

Study of The Performance Analysis of a Solar Power Utility with 1.3MW (1.3MW급 태양광 발전소 성능 분석에 관한 연구)

  • Park, Jaegyun;Yun, Jungnam;Lee, Somi;Yun, Kyungshick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6a
    • /
    • pp.71.1-71.1
    • /
    • 2010
  • 본 연구는 1.3 MW급 태양광 발전소에서 기온 및 일사량에 따른 발전성능이 유지 보수 및 사후관리에 따라 성능이 향상될 수 있음을 실측자료를 통해 입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실측자료는 2008년 5월 전북 부안에 설치된 태양광 발전소에서 측정된 기온 및 일사량에 따른 발전량을 이용하였으며, 측정기간은 2009년 1월~2009년 12월까지 1년간 모니터링을 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하였고, 발전소 성능 지표인 PR(Performance Ratio)을 계산하여 자료로 활용하였다. 또한, 실측자료는 PVSYST를 이용하여 실측자료와 동일한 조건에서 예측된 시뮬레이션 발전량 및 PR값과 비교 분석하였다. 실측자료와 해석결과의 비교에서 월단위로 측정된 실측 발전량과 예측 발전량은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으며, 실측 발전량은 예측 발전량 대비 약 5% 낮게 나타났다. 또한, 실측 PR값은 예측 PR값보다 약 4.97%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해석을 위해 적용되는 일사량(기상청)과 실측 일사량이 다르고, Team Function 방식으로 구동되는 인버터와 시뮬레이션에서의 인버터 구동방식의 차이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일조량의 증가에 따른 1.3MW급 태양광 발전소의 발전량은 비례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7월의 경우 기후특성으로 인하여 국부적으로 감소하는 특성을 나타낸다.

  • PDF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Analysis of Utility Interactive PV Power Generation System (계통연계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운전특성 분석)

  • 이현우;고강훈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7 no.6
    • /
    • pp.23-30
    • /
    • 2003
  • This paper analyzes the characteristic of utility connection type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which it is available to connect the utility. And the operation characteristic of this system is compared and analyzed when it is operated in the real system. The constructional and operational problem were obtained by that result. Overcoming that defect is that finding the proper place to be well operated and to find the best place for getting the sunshine data. This method could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generation system. And more, current OS in operating system and monitoring management couldn't solve the problem so that improving OS and constructing data backup system should be implemented, This paper proposes the plan to solve that defect in the real system.

Analysis and Evaluation of Solar Radiation Resources and Reliability Enhancement on Insolation Data in Korea (한반도 태양에너지 자원의 분석.평가 및 데이터 신뢰성 향상 연구)

  • Jo, Dok-Ki;Kang, Yong-Heack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11a
    • /
    • pp.479-491
    • /
    • 2005
  • 지구환경문제와 에너지 수급관계를 감안할 때, 청정 및 대체에너지 연구개발은 불가피하며, 그 중에서도 태양에너지는 대표적인 대안의 하나로 인식된다. 따라서 태양에너지의 적극적인 활용에 필요한 기초자료의 마련은 필수적이다. 태양에너지의 이용 및 관련 절약 기술에 필요한 태양에너지 자원(기상)에 대한 기술자료는 최소한 30년간의 측정 자료를 필요로 한다. 이들 자료에는 시간별 수평면전 일사량, 법선면 직달일사량 및 수평면 산란일사량은 물론 시간별 평균치로 운량, 기온, 습도 등이 포함된다. 이들 자료로부터 자료의 분포, 평균 및 최고, 최저값 등과 같은 기초자료들을 선별하여 관련 시스템 설계에서 요구하는 기준을 충족하여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태양에너지 자원에 대한 정밀한 측정은 1982년 이후 수평면 전일사량, 1990년 이후에서나 법선면 직달일사량에 대하여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실정으로, 자료의 표준화 및 신뢰성 확보에는 여전히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지속적인 측정과 더불어 요구되는 것으로 측정자료의 가공기술을 들 수 있다. 즉, 측정자료의 품질평가 및 관리 기술, 미측정 또는 불량자료의 복원 기술 및 측정 지역외 자료의 추정을 위한 보간기술 등이다. 이와 같은 기초자료 및 기술에 관한 연구개발은 보다 구체적인 적용에 앞서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과제이다.

  • PDF

Low Flow Analysis Using the Resoult of SWAT (SWAT 모형을 활용한 갈수량 분석)

  • Kim, Nam-Won;Lee, Byong-Ju;Lee, Jeon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780-784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준분포형 장기유출 모형인 SWAT 모형을 활용하여 충주댐 상류유역에 대한 갈수빈도해석을 실시하고, 비유량을 산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분류 토지피복도, 정밀토양도, 수치표고모델 등의 GIS 데이터를 구축하였으며, $1986{\sim}2004$년에 해당하는 강수량, 상대습도, 일사량, 기온, 풍속 등의 기상자료를 수집하였다. 모의결과 전기간에 대해 ME는 0.71, $R^2$는 0.72로 나타났다. 또한 이 결과로부터 19개 소유역에 대한 지속기간별 갈수량 자료를 구축하여 2.33년, 10년에 대한 빈도해석을 수행하였으며 비유량을 산정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하천유지유량 산정 등 수자원관리 분야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Design of Data Collection System for Growing Environment of Crops (작물 근권부 생장 환경 Data 수집 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 Lee, Ki-Young;Jeong, Jin-Hyoung;Kim, Su-Hwan;Lim, Chang-Mok;Lee, Sang-Sik
    • Th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 /
    • v.11 no.6
    • /
    • pp.764-771
    • /
    • 2018
  • Domestic and foreign agricultural environments nowadays are undergoing various changes such as aging of agricultural population, increase of earned population, rapid climate change, diversification of agricultural product distribution structure, depletion of water resources and limited cultivation area. In order to respond to various environmental changes in recent agriculture, practical use of Smart Greenhouse to easily record, store and manage crop production information such as crop growing information, growth environment and agriculture work log, Interest is growing. In this paper, we propose a system that collects the situation information necessary for growth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solar radiation, CO2 concentration, and monitor the collected data, which can be measured in the rhizosphere of the crop. We have developed a system that collects data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radiation, and growth environment data, which are measured by data obtained from the rhizosphere measuring section of a growing crop and measured by a sensor, and transmitted to a wireless communication gateway of 400 MHz. We developed the integrated SW that can monitor the rhythm environment data and visualize the data by using cloud based data. We can monitor by graph format and data format for visualization of data. The existing smart farm managed crops and facilities using only the data within the farm, and this study suggested the most efficient growth environment by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weather and growth environment of the farms nationwide.

Cluster Analysis of Climate Data for Applying Weather Marketing (날씨 마케팅 적용을 위한 기후 데이터의 군집 분석)

  • Lee, Yang-Koo;Kim, Won-Tae;Jung, Young-Jin;Kim, Kwang-Deuk;Ryu, Keun-Ho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 /
    • v.7 no.3 s.15
    • /
    • pp.33-44
    • /
    • 2005
  • Recently, the weather has been influenced by th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the oil price has been risen because of the lack of resources. So, the weather and energy are influencing on not only enterprises or nations, but also individual daily life and economic activities very much. Because of these reasons, there are so many researches about management of solar radiation needed to develope solar energy as alternative energy. And many researchers are also interested in identifying the area according to changing characteristics of climate data. However, the researches have not developed how to apply the cluster analysis, retrieval and analytical result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ea through data mining. In this paper, we design a data model of the data for storing and managing the climate data tested in twenty cities in the domestic area. And we provide th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ea after clustering the domestic climate data, using k-means clustering algorithm. And we suggest the way how to apply the department store and amusement park as an applied weather marketing. The proposed system is useful for constructing the database about the weather marketing and for providing the elements and analysis information.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olar Heat Capacity Calculation System for Industrial Processes based on Web (웹 기반의 산업공정용 태양열 집열량 성능계산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Song, Jeo;Cho, Jung-Hyun;Kwon, Jin-Gwan;Yoo, Jae-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45-446
    • /
    • 2017
  • 신재생 에너지 분야의 산업과 기술의 발달과 함께 스마트 그리드와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주목받고 있다. 기존의 에너지 공급망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하여 에너지 공급자와 소비자가 양방향으로 실시간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하는 차세대 지능형 에너지망에 대한 수요가 늘고 관리기술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에너지 공급원마다의 최적화된 운영시스템을 요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산업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태양열에 기반한 시스템과 누적된 기상 데이터와 집열량에 대한 데이터를융합분석하여 수평면전일사량을 예측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