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일본 환경건축인증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2초

녹색건축물 인증제도의 의료시설 평가에 관한 연구 - BREEAM, LEED, CASBEE의 평가방법과 평가내용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for Healthcare Facilities - Focused on System and Contents for Healthcare in BREEAM, LEED, CASBEE)

  • 윤은지;임영환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17-26
    • /
    • 2016
  • Purpose: As the concerns for the environment are gradually prioritized, increasing interests of environment-friendly buildings are drawn. The Green Standard for Energy & Environmental Design (G-SEED) has been strengthened. However, there are no specific assessment criteria that reflect the special situation of healthcare facility. UK, US and Japan hav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s specially designed to evaluate sustainable healthcare facilities. This study has been started in order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developing assessment criteria for healthcare facilities in Korean Green Standard for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 Method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ree foreign green building certifications and compared their assessment system and criteria for healthcare buildings. Results: Each of the three foreign certification standards showed the difference in the system, but all contained the contents specific to healthcare facilities. Evaluation items were affected by regional cultural environment and also medical environment. Patient safety and integrative planning were the most important assessment contents. Implications: Based on this analysis, Korean Green Standard for Energy & Environmental Design for healthcare facilities will be developed.

기후변화에 대응한 녹색건축인증기준 개선을 위한 조사연구: 공동주택 외부환경을 중심으로 (A Survey to Improve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s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Focused on the External Environment of Housing)

  • 권혁삼;김지현;김정곤
    • 토지주택연구
    • /
    • 제4권4호
    • /
    • pp.435-447
    • /
    • 2013
  •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2013년 3월 시행된 녹색건축인증기준의 평가항목 및 실제 인증현황 분석을 통해 현행 인증기준의 개선방향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영국 BREEAM, 미국 LEED, 독일 DGNB, 일본 CASBEE 등 선진국의 녹색인증기준은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BREEAM Communities, LEED Neighborhood Development, DGNB Stadtquartiere, CASBEE Urban Development로 건축물 중심에서 도시 지구 차원으로 확대하여 시범 운영하고 있다. 이에 반해 국내 인증기준은 건축물 중심의 평가체계로 실내환경 및 에너지 부문의 배점비율이 높고, 외부환경에 해당되는 토지이용 및 교통 부문과 생태환경 부문은 배점비율이 낮다. 실제 토지주택연구원에서 인증을 받은 공동주택 79개 단지에 대한 평가점수를 분석한 결과, 실내환경 및 에너지 등 배점이 높은 평가항목에 따라 인증등급이 결정되어 배점이 낮은 외부환경 부문의 평가항목은 실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녹색건축인증기준이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실천수단으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외부환경 부문의 평가체계를 보완하고, 나아가 국내 현실을 반영하여 도시 지구 차원의 평가체계 도입을 통해 국제적 인증기준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개선해야 한다.

근린단위 녹색건축인증 평가체계 개발 (Development of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Framework for Urban Neighborhood Scale Development)

  • 정승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203-214
    • /
    • 2019
  • 건축물 차원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고 환경부하를 줄여 에너지 사용과 탄소배출을 저감하기 위한 목적으로 세계 각국에서 녹색건축인증이 시행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02년부터 건축물만을 대상으로 녹색건축인증인 G-SEED를 시행하고 있으나 외국의 경우 평가대상을 건축물에서 근린단위, 도시, 기반시설로 확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축물 외부 공간인 근린규모로 평가대상을 확대한 녹색건축인증제도의 구축방향 수립을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평가체계 수립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정의 및 목표, 평가체계 구분, 적용범위, 평가항목, 평가방식 및 등급, 관련제도와의 관계 등의 비교항목을 설정하고 대표적인 근린단위 녹색건축인증기준인 LEED-ND(미국), BREEAM Communities(영국), CASBEE-UD(일본)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근린단위 녹색건축인증을 위한 평가범위, 대상, 평가항목 수립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실내공기질 예측 및 평가방법

  • 송두삼
    • 대한설비공학회지:설비저널
    • /
    • 제33권6호
    • /
    • pp.37-43
    • /
    • 2004
  • 실내공기오염 문제가 미국, 유럽, 일본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고조되면서, 최근 국내에서도 이 문제에 대해 적극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하였으며, 정부관련기관 및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대책마련을 위한 관계법령의 정비 및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 구체적인 법령으로 작년(2003. 5. 29)에 환경부에서 고시한 "지하생활공간공기질관리법개정안(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관리법)"을 들 수 있으며, 이 법안에서는 실내공기질 유지기준 및 권고기준, 실내 공기질 공정시험법 등에 대해 공고하고 있다. 또한 건축자재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에 관해서도 규정을 하고 있다. 이에 국내에서도 생산된 건축자재에 대해 포름알데히드, TVOC 방출강도를 평가, 등급화 하는 인증제도가 도입되어 있으며, 평가/분석을 실시하는 인증시험기관도 이미 몇 군데 지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중략)상태이다. (중략)

  • PDF

건축물 시공단계에서의 온실가스 배출 관리 방안 -국내외 친환경 인증제도와 일본 현장의 대응 방안을 중심으로- (Greenhouse Gas Management Policy during Construction Execution Phase -Focused on Green Building Rating Systems and Japanese Case-)

  • 송상훈
    • KIEAE Journal
    • /
    • 제10권5호
    • /
    • pp.139-150
    • /
    • 2010
  • Until now, the eco-friendly construction (green construction) has been focused on reducing environmental impacts in use(operation and maintenance) phase. Considering the environmental influence along the life cycle of construction project, the impact in execution phase is rather lower than that in use phase. However, that impact is thought to be greatly decreased by well-organized activities. Based on its urgency and requirement for timely action, this study aimed to discuss the greenhouse gas (GHG) reduction plan in execution phase from a broad perspective. To achieve this purpose, the green building rating systems in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have been reviewed, and the practice in Japan was investigated. In order to improve current on-site greenhouse gas management, the integration among construction phases, participants, and environmental factors, and institutional supports are required as well as the contractor's efforts.

CASBEE 평가분석을 통한 일본 주요도시 집합주택의 성능 동향 및 국내 친환경 건축 인증기준과의 비교검토에 관한 연구 (Study of functional trend in japan's multi-family housing and comparison through nation's environmental certification standard, analyzed by CASBEE assessment result sheet)

  • 심재명;김강수
    • KIEAE Journal
    • /
    • 제13권2호
    • /
    • pp.113-122
    • /
    • 2013
  • On July 2004, the brand new CASBEE for construction (Brief version) has completed while trying to highlight and improve major items adequate for each region's characteristics in Japan; at the same time, from the start of NAGOYA CITY (operated since April 2004) to the point of May 2011, it has been mandatory for specified size buildings in 23 regions by law. Evaluation sheet of CASBEE is published on each region's home page and various genre of information on building evaluation which is scheduled to be completed by 2016 and is for 5-6 years of quantity is accumulated until October 2012. It is good study resource to verify how new buildings being evaluated are closely match with CASBEE's original purport (eco-friendly, energy efficiency, publicity etc). Particularly, for Japan's multi-family housing where small sized mid to high level single housing type is majority in city, it is an important point that improved performance on eco-friendly buildings have more value in city rather than suburb. Categorized score through evaluation is a resource to confirm the latest trend of multi-family housing built in congested city; on the other hand, demand of the time can be recognized by the score focused on category. It is meaningful resource to determine the adequacy of evaluated items and the degree of reality.

특허동향 분석을 통한 에너지 절감이 가능한 친환경 건축물의 연구개발 예측에 관한 연구 (Forecasting Development Directions on Environment-Friendly Building Science for Energy Saving by Analyzing Patent Trend)

  • 강귀용;김광희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99-105
    • /
    • 2015
  • 건축물은 전세계 총 에너지 소비 및 온실가스 방출의 1/3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건축물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이에 따라 각 국가에서는 1997년 교토의정서에 의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축할 것을 의무화하였으며, 한국도 2014년 건축물 에너지 성능개선 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본 연구는 에너지 절감이 가능한 친환경 건축물 기술분야의 주요 핵심기술을 소분류로 분류한 후, 한국, 미국, 일본 그리고 유럽에 공개된 특허문헌에 대한 특허동향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주로 친환경 건축물의 인증제도 그 자체에만 머무르고 있어서 세부적인 기술현황이나 연구개발방향을 정확하게 설정하지 못한다는 현재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향후의 체계적인 R&D 방향제시 및 기술개발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