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일반성

Search Result 16,165, Processing Time 0.05 seconds

EM Pork의 항산화 효과 및 콜레스테롤 함량 변화

  • Han, Seung-G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2004.10a
    • /
    • pp.150-153
    • /
    • 2004
  • EM과 천연항생물질을 정기적으로 급여한 돼지 사양에 대한 육질개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일반 돈육과 EM Pork의 일반성분, 육질 개선 및 육질 보존성에 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콜레스테롤 함량 측정 결과 일반돼지는 평균적으로 83mg/100g인데 반해 EM Pork는 71mg/100g을 나타냈는데 EM Pork가 일반돼지보다 콜레스테롤 함량이 15% 정도 감소한 효과를 보였다. 또한 TBA가는 저장기간 14일에 일반돼지가 0.184 MDAmg/kg를 나타낸 반면, EM Pork는 0.165 MDAmg/kg를 나타내 EM Pork가 일반돼지보다 11% 정도 강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냈다. 단백질변성에 관한 실험결과 일반 돈육을 5일간 냉장 저장한 것은 4.9mg%을 나타냈으나 EM Pork는 3.19mg%를 나타내 일반 돈육 보다 35% 단백질 변성 억제 효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EM Pork는 일반 돼지에 비해 콜레스테롤 함량 감소, 항산화 효과 증가 및 단백질변성 억제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유용미생물(Effective Microorganisms ; EM)에 의한 돈육 보존의 효과

  • Han, Seung-G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2004.05a
    • /
    • pp.131-134
    • /
    • 2004
  • EM이 돼지 사양에서 육질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사양실험을 하였다. 일반적으로 사양한 돼지와 EM 축산사료첨가제와 EM 활성액을 정기적으로 급이하여 사양한 EM Pork를 도축한 후 각각의 돈육을 $4^{\circ}C$ 냉장온도와 $-18^{\circ}C$ 냉동온도에서 저장하였다. 그후 일반 돈육과 EM Pork의 일반성분 및 육질의 보존성에 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단백질 변성에 관한 실험결과 일반 돈육을 5일간 냉동저장한 것은 3.72 mg%를 보였고 EM Pork는 3.2 mg%를 나타내 일반 돈육보다 15% 정도 단백질 변성을 지연시켰다. 또한, 일반 돈육을 5일간 냉장저장한 것은 4.9 mg%를 나타냈으나 EM Pork는 3.19 mg%를 나타내 일반 돈육보다 35% 단백질 변성 억제 효과를 보였다. 또한, 냉동 및 냉장 처리한 일반 돈육의 조단백질 함량은 각각 21.41%와 19.73%인데 비해 냉동 및 냉장 처리한 EM Pork는 각각 22.21%와 21.41%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단백질 변성과 관련된 것이라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EM Pork육은 일반 돈육에 비해 단백질 변성 억제 효과가 15${\sim}$35% 정도 우수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Neurobiological Measure of General Intelligence in the Gifted (뇌기능영상 측정법을 이용한 영재성 평가의 타당성 연구)

  • Cho, Sun-Hee;Kim, Heui-Baik;Choi, Yu-Yong;Chae, Jeong-Ho;Lee, Kun-Ho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15 no.2
    • /
    • pp.101-125
    • /
    • 2005
  • We applied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 techniques to examine whether general intelligence (g) could be assessed using a neurobiological signal of the brain. Participants were students in a national science academy and several local high schools. They were administered diverse intelligence (RAPM and WAIS) and creativity tests (TTCT-figural and TTCT-verbal). Forty of them were scanned using fMRI while performing complex and simple g tasks. In brain regions of greater blood flow in complex compared with simple g tasks, the gifted group with an exceptional g level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average group with an ordinary g level: both of them activated the lateral prefrontal, anterior cingulate, posterior parietal cortices. However, the activation levels of the gifted group were greater than those of the average group, particularly in the posterior parietal cortex.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activity of the posterior parietal cortex has the highest correlation ($(r=0.73{\sim}0.74)$) with individual g levels and other regions also have moderate correlation ($(r=0.53{\sim}0.66)$). On the other hand, two-sample t test showed a striking contrast in intelligence tests scores between the gifted and the average group, whereas it did not show in creativity tests scor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within the bounds of possibility that a neurobiological signal of the brain is used in the assessment of the gifted and also suggest that creativity has to be given a great deal of weight on the assessment of the gifted.

A Comparative Study on the Awareness of Concepts for Gardens and Parks between the Experts and General Publics (정원과 공원에 대한 전문가와 일반인 인식 비교 연구)

  • Miok, Park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6 no.5
    • /
    • pp.1-9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differences of perceptions for gardens and parks between experts and the general public concerning several aspects including scope, scale, publicity, artistic and scientific nature, main materials, practicality and aesthetics, executive and management systems as well as legal understanding of garden and park. The properties of garden and park were deriv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the concept, similarity, and difference of gardens and the parks were recognized by the experts and the public viewpoint was clarified by questionnaire. As for the difference in the scope of the gardens and the parks, the expert group recognized it more widely than the general public. In general, the space recognized as a garden was the rooftop green space, and urban forests were recognized as a park. In addition, the general public recognized urban forests as gardens the same as they recognized parks, and the distinction was unclear. In the expert group, the perception that gardens were small and the parks were large was more prevalent. It was generally recognized that gardens were private spaces and the parks were public spaces. In the expert group, the gardens were more personal and the parks were more apparent to the public. In the general population, functional and scientific aspects rather than artistic creativity in both gardens and parks. In addition, both the general public and experts found that parks are more complex than gardens. The garden was centered on plant material, and the park was recognized as a center where the sculptural facilities were centered, or the plant material and the sculptural facilities were properly balanced. To the experts the view of the gardens was positive. Expert groups emphasized the aesthetics of the garden, and the parks were more practical, and the general population showed similar perceptions of utility and aesthetics when comparing gardens and parks. In addition, the utility of gardens in the general publics is more emphasized than the aesthetics of the park. Regarding the executive system the park was recognized as the public sector, and the difference was larger in the expert group. As for the management system, both experts and the general public perceive the management of the park or the garden to be carried out by the supporting organization, and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diversification of the management subject. It is found that there is a certain difference in recognition with the mixture of concepts, and there is still a big difference in legal system and perception.

자료원 사이의 종속성을 고려한 일반기기 신뢰도 데이타베이스 구축

  • 황미정;정원대;임태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7.05a
    • /
    • pp.527-533
    • /
    • 1997
  • 문헌자료 간의 종속성을 고려한 베이지안(Bayesian) 방법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원자력발전소의 일반 기기 신뢰도 데이타 베이스를 구축하였다. 기존에 개발되어 사용되어 온 3단계 베이지안 자료 분석 코드인 MPRDP (Multi-Purpose Reliability Data Process) [1,2,3]는 기존의 신뢰도 데이타 베이스 계산 코드들과는 달리 문헌자료를 2단계에서 처리한 후 3단계에서 발전소 고유 자료를 처리하여 계산하도록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전에는 일반 자료들간의 종속성을 고려하지 못하고 동일한 자료원을 근거로 만들어진 여러 자료원들을 모두 독립적인 것으로 처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모수적 선험적 베이지안 방법의 일종인 ML-IIl(Type II Maximum Likelihood) 방법을 이용하여 자료들 간의 종속성을 처리[5]하였다. 솔레노이드 구동밸브를 예로 종속성 처리에 따른 분석 결과의 차이를 보여 주었으며, 또한 일부 기기에 대한 국내 고유 자료를 바탕으로 MPRDP를 통한 기기 신뢰도를 추정하였다.

  • PDF

유비쿼터스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거부(Denial of Service) 공격의 특성 및 위험성 분석

  • 이병주;홍순좌;이승형
    • Review of KIISC
    • /
    • v.14 no.1
    • /
    • pp.35-45
    • /
    • 2004
  • 미래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의 네트워크 인프라 구축을 위한 핵심기술은 무선 ad hoc 네트워크이다. 이러한 ad hoc 네트워크에 대한 보안은 일반 네트워크와 마찬가지로 보안성, 무결성, 가용성 등이 요구되지만. 일반적으로 무선네트워크라는 점, 고정 인프라가 없다는 점, 네트워크 토폴로지가 수시로 변한다는 점 등 때문에 보안문제는 훨씬 어려운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보안 요구사항 중에서 가용성에 중점을 두어, 일반 네트워크와는 다른 유비쿼터스 네트워크에서의 DoS 공격의 여러 가지 유형을 분석한다. 또한 이러한 DoS 공격이 유비쿼터스 네트워크에 미치는 영향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전송성능과 생존성의 측면에서 분석한다. 본 논문의 실험결과는 같은 유형의 DoS 공격이더라도 무선 ad hoc 네트워크가 일반적인 네트워크에 비해 더 심각한 피해를 당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과학창의적 과제 수행 중 과학영재와 일반아의 뇌파 비교분석

  • 하종덕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Conference
    • /
    • 2003.05a
    • /
    • pp.127-130
    • /
    • 2003
  • 본 연구는 과학영재교육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이의 효과적인 성취를 가져오기 위해선 우선 영재 판별의 시도가 다양해져야 한다는 필요성에서 출발하였다. 그 동안 영재 판별은 주로 인지수행의 결과적인 측면을 다루었다고 본다면, 본 연구는 인지수행의 과정적인 측면을 다루었다고 할 수 있다. 인지수행의 과정적인 측면은 뇌기능의 활동성을 파악하는 것으로 가능하다. 따라서 뇌의 활동성에 대한 뇌파측정 방법을 통해 좌.우뇌 기능상에서의 뇌파특성을 파악해 보므로써 영재성 판별의 한 방법으로서 그 가능성의 단초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주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영재성 판별 및 뇌기능 연구방법과 뇌의 정보처리과정에 대한 이론적인 고찰을 바탕으로 초등학교 4-6학년 아동 중 과학영재아 11명, 일반아 10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PC용 뇌파측정기를 통해 이들의 뇌파특성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다음 표는 과학영재아 및 일반아의 아무런 과제를 수행하지 않은 상태의 기본뇌파와 과학 창의적 과제를 수행중인 상태에서의 뇌파를 좌뇌와 우뇌의 뇌파 활성도별로 그 차이를 분석한 것이다.

  • PDF

과학영재 중학생에서의 진로유형과 자아개념의 상관 연구

  • 김소아;박상우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14 no.2
    • /
    • pp.131-150
    • /
    • 2004
  • 본 연구는 현재까지 밝혀진 영재성의 구성요인으로서 지적 능력, 창의성, 과제집착력, 대인관계, 정신운동성, 음악적 능력등과 같은 내적, 외적 요인 이외의 요인으로서의 영재의 진로유형고 자아개념을 설명하고, 이 두 개의 요인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일반 중학교 74명과 과학영재교육원에서 수강중인 중학생 58명을 대상으로 Holland 진로탐색검사와 성신자기개념검사를 사용하여 과학영재 중학생과 일반 중학생의 진로유형과 자아개념을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과학영재들의 진로유형은 주로 탐구형이 나타났으며, 자아개념은 일반 중학생에 비해 모든 하위차원이 높게 나타났다. 영재의 진로유형과 자아개념의 하위차원간의 상관에서는 자아존중감에서만 유의미한 관계를 찾아내었다. 본 연구는 영재의 자아개념과 진로유형이 영재성이 특성을 설명하는 요인으로는 설명이 부족하지만, 각각의 요인을 영재성의 한 단편 요인으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Comparison of the Vocal Characteristics of Adults with and without Cerebral Palsy on Musical Speech Tasks (뇌성마비 성인과 일반 성인의 음악적 발화과제 시 음성 특성 비교)

  • Park, Han Na
    •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 /
    • v.12 no.2
    • /
    • pp.1-18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vocal characteristics of 40 adults with and without cerebral palsy (CP), upon presentation of three speech tasks (i.e., reading, chanting, and singing). The Praat program was utilized to generate data on fundamental frequency, voice intensity, jitter, and shimmer.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on fundamental frequency and intensity. However,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 decreases in jitter and shimmer when engaged in singing tasks. The analysis of group differences indicated that adults with C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variation scores on jitter and shimmer than the group without CP, and the difference on jitter and shimmer became greater during rhythmic chanting. In terms of jitter variation, the interaction effects according to the groups and types of speech tasks were greater, demonstrat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a basic research, regarding changes in vocal characteristics of adults with CP according to different musical speech tasks.

A study on the stress, perfectionism, optimism and academic achievement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과학영재의 스트레스, 완벽성, 낙관성과 학업성취도의 관계에 대한 연구)

  • 하종덕;송경애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14 no.1
    • /
    • pp.47-64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ifferences in stress, perfectionism, optimism and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the scientifically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stress, perfectionism, optimism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hese two groups. 154 scientifically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and 145 general students from C middle school in Inchon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s subjects.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ellow; In case of the gifted group, perfectionism were higher than the comparative group. However, the stress of the comparative group was higher than the gifted group. The gifted groups felt less stresses than the comparative group. In case of the gifted group, optimism were higher than the comparative group. However, It is independent in the co-relationships stress, perfectionism, optimism and academic. achievement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and general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