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일반농가

검색결과 276건 처리시간 0.028초

중질소(重窒素)를 이용한 수도품종(水稻品種) 및 시용시기(施用時期)에 따른 토양 및 시비질소(施肥窒素)의 효율 -제1보(第一報). 농가포장(農家圃場)에서의 NPK 단순시험(單純試驗)- (Efficiency of Soil and Fertilizer Nitrogen in relation to Rice Variety and Application Time, Using $^{15}N$ Labelled Fertilizer -I. N.P.K. simple trials in farmers fields-)

  • 박훈;박영선;이춘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4권4호
    • /
    • pp.230-237
    • /
    • 1981
  • 시비질소(施肥窒素)의 효율(效率)을 조사(調査)하기 위(爲)하여 삼요소(三要素) 및 황피요소(養被尿素)(SCU), 농가포장(豊家圃場)에서 2년간(年間) 통일계(統-系)(일본형(日本型), 인도형(印度型), 교잡선발(交雜選拔))와 일반장려계(一般奬勵系)를 사용(使用) 시험(試驗)하였다. 통일계(統一系)의 수량(收量)은 일반장려계일(一般奬勵系)에 비(比)하여 32개지역(個地域) 130개포장(個圃場)에서 2회분시(回分施)와 SCU를 포함한 삼요소(三要素)시험에서 저온다조(低溫多照)해에는 16%, 고온다조(高溫多照)해에는 23%의 증수(增收)를 보였다. 적정질소수준(適定室素水準)은 통일계(統一系)가 장려계(奬勵系)보다 저온(低溫)해에는 3.8kg, 고온(高溫)해에는 5.5kg이 높았으며 동일계(同一系)에서의 년차변이(年次變累)는 동년도(同年度)의 계통간(系統間)변이(變異)보다 컸다. 2회분시(回分施)는 l-2%의 일정(一定)치 않은 수량변이(收量變異)를 보였다. SCU는 20%의 시비량(施肥量) 절감(節減)에도 평균(平均) $2{\sim}4%$의 증수(增收)를 보였으며 염류답(鹽類畓)($27{\sim}39%$), 신개답(新開畓)(20%)과 미숙답(未熟畓)(10%)에서 현저한 증수효과(增收效果)를 보였다.

  • PDF

무창육성돈사의 환기시스템에 따른 환기효율 평가 (Evaluation of Ventilation Systems in an Enclosed Growing Pig House)

  • 송준익;최홍림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1호
    • /
    • pp.135-144
    • /
    • 2002
  • 본 실험은 우리 나라의 양돈농가에서 노동력 절감이라는 이점 때문에 자돈사 및 분만사의 무창돈사는 일반농가에까지 보급되고 있으나, 육성.비육돈사에 있어서 무창돈사는 거의 전무한 실정으로 질병의 근원적인 차단 및 관리를 위하여 지금까지 회피되어 왔던 무창 육성.비육돈사의 활성화를 위하여 환기시스템을 자체적으로 고안하여 최적의 환기시스템을 여름철 및 겨울철로 구분하여 건축하였으며, 자체적으로 고안한 환기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고자 겨울철 및 여름철로 구분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무창 육성.비육돈사에 있어서 돼지 생활공간(하부) 지점에서의 공기유속은 겨울철 최소환기 수준(1,440 $m^3/h$)으로 하였을 때 0-0.19 m/s 였으며, 여름철 최대환기 수준(24,000 $m^3/h$)에서는 0.07-0.42 m/s로 분포되어 여름철 및 겨울철의 무창돈사내 공기유속으로 보아 환기시스템이 우수하였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종합해 보면 무창 육성.비육사의 환기시스템은 여럼츨 때는 측벽을 통한 환기와 겨울철은 천장을 통한 환기시스템이 적합하다고 판단되었으며, 한쪽 측벽에 의한 배기시스템이라도 입기구는 양쪽 측벽을 통한 입기가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 Bio-com 시용(施用)이 토양(土壤)의 미생물상(微生物相) 및 화학성(化學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Organic Fertilizer as Bio-com Application on the Changes of Soil Microorganisms, Gas Evolution, and Mineral-N Transformation in Submerged Condition)

  • 김정제;이상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51-357
    • /
    • 1987
  • 상품화(商品化) 되어있는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 Bio-com$^{(R)}$을 토양(土壤)에 시용시(施用時) 토양(土壤)의 pH, Eh, gas 생성(生成), Ammonia 화성율(化成率) 질산화성율(窒酸化成率) 및 미생물(微生物) 변화(變化)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알기 위하여 일반농가퇴비(一般農家堆肥) 및 양송이 폐상퇴비등(等)을 비교(比較)하여 담수조건(湛水條件)에서 실내시험(室內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삼요소구(三要素區)에 비(比)하여 각종(各種) 퇴비시용(堆肥施用)은 토양(土壤) pH를 상승시키는 경향(傾向)이 있었으며 Bio-com$^{(R)}$ 시용(施用)은 타공시유기물(他供試有機物)과 상이(相異)하지 않했다. 2. 시험후(試驗後) 토양(土壤)의 미생물수(微生物數) 변화(變化)는 삼요소(三要素) 혹은 각종(各種) 퇴비(堆肥)를 삼요소(三要素)와 병용(倂用)하므로서 현저(顯著)한 증가(增加)를 보였으며 농가퇴비시용구(農家堆肥施用區)에서 세균수(細菌數)의 증가(增加)가 현저(顯著)하였다. 3. Bio-com$^{(R)}$ 시용(施用)은 항온기간중(恒溫期間中) 질산화성율(窒酸化成率)을 증가(增加)시켰으며 그율(率)은 타처리(他處理)에 비(比)하여 수배정도(數培程度)높아서 밭작물재배지(作物栽培地)에 시용(施用)이 합리적(合理的)이었다. 4. Bio-com$^{(R)}$ 시용(施用)에 의한 gas의 생성(生成)은 일반퇴비(一般堆肥)나 양송이 폐상퇴비(堆肥) 시용(施用)과 비슷한 경향(傾向)을 보였고 $N_2O$의 생성(生成)은 삼요소시용(三要素施用)보다 낮은양(量)을 보였다.

  • PDF

Colletotrichum coccodes(Wallr.) Hughes에 의(依)한 고추 유묘탄저병(幼苗炭疽病) (Anthracnose of Pepper seedling caused by Colletotrichum coccodes (Wallr.) Hughes)

  • 오인석;인무성;우인식;이성구;유승헌
    • 한국균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51-156
    • /
    • 1988
  • 1988년에(年) 충남지방(忠南地方) 농가(農家)의 고추 육묘상(育苗床)에서 고추유묘(幼苗)에 탄저병(炭疽病)이 심(甚)하게 발생(發生)하고 있음이 발견(發見)되었다. 병(病)의 초기(初期) 병징(病徵)은 유묘(幼苗)의 잎과 줄기에 노색(努色) 반점(班點)이 형성(形成)되며 진전(進展)된 통반(痛班)은 수침상(水浸狀)으로 되고 암장색(暗場色)의 불정형(不定形)으로 확대(擴大)되었으며, 심하(甚)게 감염(感染)된 도장(圖場)에서는 많은 고추 유묘(幼苗)가 고사(枯死)하였다. 일반농가(一般農家) 도장(圖場)에서의 이병주율(罹病株率)은 $15.3%{\sim}92.3%$(평균(平均) 30.4%) 비교적(比較的) 높은 감염률(感染率)을 보였다. 이병(罹病) 잎과 줄기에서 분리(分離)한 병원균(病原菌)의 형태적(形態的) 특징(特徵)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분생포자(分生胞子)는 원통형(圓筒形)이고 크기는 $15{\sim}25(av.\;19.5){\times}2.5{\sim}4.8\;{\mu}m(av.\;3.3{\mu}m)$였으며, 강모(剛毛)(setae)는 분생자층(分生子層)보다 길었고, 그 크기는 $41.3{\sim}136.3\;{\mu}m(av.\;85{\mu}m)$ 이였고 PDA 배지(培地)에서 암상태(暗狀態)로 배양(培養)하였던 바 흑갈색(黑褐色)의 많은 균핵(菌核)이 형성(形成)되었다. 이같은 병원균(病原菌)의 형태적(形態的) 특징(特徵)에 따라 본(本) 병원균(病原菌)은 Colletotrichum coccodesr로 동정(同定)되었다. 병원성(病原性) 실험결과(實驗結果), 이 균(菌)은 고추 유묘(幼苗)에 강(强)한 병원성(病原性)을 나타내었으며, 고추열매(풋고추) 뿐만 아니라 토마토, 가지의 열매에도 탄저병(炭疽病)을 일으켰다.

  • PDF

벼-담수어 유기농 복합생태 논습지의 생태계서비스 경제적 가치평가 (Economic Value Evaluation of Ecosystem Services in Organic Rice-Fish Mixed Farming System in Paddy Wetland)

  • 남홍식;변영웅;박기춘;박광래;이영미;한은정;김창현;공민재;손진관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86-294
    • /
    • 2020
  • 본 연구는 복합생태농업을 수행하고 있는 유기농 논에서 제공하는 쌀 생산 및 다양한 생태계서비스를 경제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또한 복합생태농업을 위한 유기논의 구조에 따른 경제성을 평가하여 쌀 생산 농가의 소득증대와 생태계서비스 증진을 위한 안정적인 구조를 찾고자 수행하였다. 복합생태계 농업 유형에 따른 생태계서비스 기능별 기대효과 분석결과, 일반 관행논은 양서파충류, 수서곤충, 조류서식처, 체험/생태교육, 식생다양성 등 생물다양성이 지속적으로 낮아지는 영향을 미칠 것으로 평가되었다. 반면 유기 논습지 및 복합생태 논습지의 생물다양성은 높아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경제적 가치를 평가한 결과, 일반 관행 논습지와 유기 논습지에 비해 어류 생산을 위한 둠벙의 면적이 증가할수록 쌀 생산량은 줄어드나 어류의 생산량은 증가하여 총 소득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더불어 향후 생태계서비스 기능 가치를 평가한다면 더욱 증가 할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쌀 산업의 공급과잉 문제해결, 안전적인 농가 소득보전, 지속 가능한 농업, 생태계서비스 기능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느타리버섯 재배에서 버섯파리의 연중발생패턴과 입체적 분포 (Annual Occurrence Patterns and Three Dimensional Distribution of Mushroom Flies in Pleurotus ostreatus Cultivation Farms)

  • 강민구;김승한;최치완;헨리디즈니;권오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213-222
    • /
    • 2017
  • 최근 느타리버섯은 연중재배가 보편화되고 있으며, 재배량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경북지역 느타리버섯 재배사에서 3년에 걸쳐 버섯파리 발생밀도를 조사한 결과 긴수염버섯파리와 버섯벼룩파리가 가장 우점하여 발생하였다. 일반적으로 균사배양기간에는 버섯파리 밀도가 모든 농가에서 낮았지만 1주기 수확후에는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여름철에는 배양기간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버섯파리가 관찰되었다. 이 현상은 연중재배체계의 보편화로 인해 계절적 선택재배와 달리 버섯파리가 재배사에서 안전하게 월동할 수 있는 서식처를 제공받았기 때문이다. 버섯파리의 생태는 버섯재배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계절적 선택재배농가와 연중재배농가의 버섯파리 발생패턴 차이를 통해 휴경이 버섯파리 발생밀도 감소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버섯재배사 내부의 버섯파리 입체발생분포 조사를 통해 긴수염버섯파리보다 버섯벼룩파리가 빛에 더 민감한 종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2종의 입체적 발생양상은 매우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비닐하우스 경작에 따른 팔당호 유역의 수질특성 및 오염도 평가 (Characteristics and Assessment of Water Quality by Vinyl House Cultivation in Pal-dang Lake Basin)

  • 안태웅;최이송;오종민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9년도 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2009-2013
    • /
    • 2009
  • 일반적으로 비닐하우스내의 농작물 경작은 자연환경과 차단된 조건에서 작물을 집약적으로 재배하므로 비료의 사용량이 많아 오염원으로 작용하고, 휴작기에 비닐을 제거 방치하므로 비닐 표면에 집적된 오염물은 강우 시 유출되어 이들로 인한 주변 하천수 및 지하수 오염을 가중시킨다. 따라서 팔당호 유역내 하천 부지에서 비닐하우스 등이 집단화 되어 있어 이로 인해 팔당호 유역내 수질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팔당호 유역내 하천부지에서 대단위 비닐농가가 집단적으로 조성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팔당호 유역내 산발적으로 비닐하우스 농가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들 비닐하우스로부터 비강우시에는 유출 오염수는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나, 강우 시 강우유출수가 표면 유출되는 과정에서 오염수가 팔당호로 직접 유입되어 팔당호 수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팔당호 유역의 비닐하우스 경작에 의한 수질특성 조사 결과, SS 농도는 북한강 $372{\sim}446$ $mg/{\ell}$, 남한강 $488{\sim}547$ $mg/{\ell}$, 경안천 $345{\sim}415$ $mg/{\ell}$로 조사되었으며, BOD 농도는 북한강 $12.2{\sim}15.3$ $mg/{\ell}$, 남한강 $13.3{\sim}16.8$ $mg/{\ell}$, 경안천 $15.6{\sim}18.8$ $mg/{\ell}$으로 조사되었고, COD 농도는 북한강 $23.9{\sim}26.8$ $mg/{\ell}$, 남한강 $25.2{\sim}26.0$ $mg/{\ell}$, 경안천 $26.4{\sim}32.9$ $mg/{\ell}$로 조사되었다. 또한 T-N 농도는 북한강 $17.39{\sim}23.64$ $mg/{\ell}$, 남한강 $17.87{\sim}22.09$ $mg/{\ell}$, 경안천 $18.34{\sim}19.55$ $mg/{\ell}$으로 조사되었으며, T-P 농도는 북한강 $1.425{\sim}1.795$ $mg/{\ell}$, 남한강 $1.519{\sim}1.767$ $mg/{\ell}$, 경안천 $1.727{\sim}1.827$ $mg/{\ell}$로 조사되었다. 또한, 오염부하량으로부터 산정된 비닐하우스의 하천에 미치는 오염부하기여율은 SS의 경우 17.3%, BOD 4.5%, COD 5.2%, T-N 11.0%, T-P 7.4%로 조사되었다. 이는 비닐하우스 농가에서 유출되는 SS 및 T-N, T-P 오염부하량이 하천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비닐하우스 주변이 주로 나대지로 되어 있고 비료 또는 영양물질이 많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탄소성 유기물질을 나타내는 BOD 및 COD의 오염부하기여율은 주변 토양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국 비닐하우스의 재배는 토양 표면피복의 효과적인 관리 및 영양물질에 대한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팔당호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제주지역 양돈장에서 생산된 액비의 비료성분 및 오염도 평가 (Evaluation of Slurry, Urine and Fermented Liquid Manure at Pig Farms in the Jeju Area Regarding Chemical Composition and Pollution Level)

  • 김문철;송상택;황경준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3호
    • /
    • pp.469-478
    • /
    • 2004
  • 본 연구는 양돈액비의 비료성분 및 유해정도를 분석하고 아울러 전기전도도나 건물 함량을 이용하여 중요 비료성분 함량을 쉽게 추정하는 방벙을 구명하기 위해 2001년 제주도내 109개 양돈 농가를 방문하여 액비를 수집,$4^{\circ}C$냉장고에 보관해 두었다가 꺼내어 pH, BOD, DM, SS, OM, EC, T-N, T-P, K, Ca, $NH_4$-N. Mg 및 Na 등을 분석하였다. 조사대상 농가의 돈분 액비 중 슬러리(70 농가)는 가축분뇨, 사료 및 청소수가 혼합된 것이고 요(19 농가)는 분뇨를 고액분리 시킨 후에 저장해둔 요(20 농가)를 말하며 돈분 발효액은 slurry를 발효, 폭기 및 살수 등의 과정을 거친 액비를 뜻한다. 돈분 액비 중 slurry로 저장한 액비가 요나돈분 발효액 보다 여러 가지 비료 성분함량($NH_4$-N, K, P, Ca, Mg 및 Na)이 높았고 전기 전도도나 건물함량도 마찬가지로 slurry 상태로 저장한 액비가 다른 상태의 액비 보다 높았다. EC, $NH_4$-N, Ca, Mg 및 Na의 함량은 요와 발효액 간에 비슷하였으나 발효 액비의 L 함량이나 건물함량은 요 보다 약 2배 정도 높았다. 한편 P 함량은 반대로 발효 액비보다 요에서 높았다. Slurry의 전기전도도(EC)와 여러 비료 성분간에 상관관계를 통계 분석한 결과, $NH_4$-N와 Na 함량만이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인정되었고 slurry의 DM 함량은 $NH_4$-N, P, Ca 및 Mg 함량간에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P<0.05). 고액분리요의 전기전도도와 비료성분간에 상관관계 분석에서 $NH_4$-N만 유의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DM 함량에서는 $NH_4$-N와 Ca 간에만 유의적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P<0.05). 발효 액비는 전기전도도와 $NH_4$-N, P 및 Ca 간에만 유의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DM 함량은 K, P, Ca, Mg 및 Na 간 통계적으로 유의적 상관관계가 있었다(P<0.05). 돈분 액비의 종류별로 유해 또는 오염물질 농도를 살펴보면 슬러리의 BOD 농도는 22,520mg/L로 요 및 발효 액비 4,763, 2,701 mg/L보다 크게 높았다. 결론적으로 비료효과는 slurry가 요 및 돈분발효액 보다 좋았지만유해 또는 오염물질농도는 반대로 slurry에서 높았다. 그러나 일반기준치와 비슷한 수준으로 유해위험은 없다고 생각된다.

과수 및 화훼 시설하우스 내 작업자의 미세먼지 노출현황 모니터링 (Monitoring of Working Environment Exposed to Particulate Matter in Greenhouse for Cultivating Flower and Fruit)

  • 서효재;김효철;서일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79-89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한라봉 3농가, 절화장미 3농가를 대상으로 시설하우스 내부 농작업 종류와 특성에 따른 시설 내 작업자의 미세먼지 노출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미세먼지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한라봉 시설하우스 내부 경운작업의 경우 작업자가 지역시료에 비해 개인시료 측정 농도가 TSP 4.9배, PM-10 2.7배, PM-2.5 1.5배로 더 높게 나타났다. 절화장미 작업자는 개인시료의 경우 지역시료에 비해 TSP 농도 7.4배, PM-10 농도 3.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나 시설 내부 작업 시 작업자는 전반적으로 더 높은 분진 환경에 노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하우스 미세먼지 입경별 기여도 분석 결과, 10㎛ 이상의 큰 입자 분포를 가진 미세먼지가 경운작업 시 기계적 분쇄과정을 거쳐 한라봉 시설하우스에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절화 장미 옆순 정리 작업 시 상대적으로 PM-10의 입경 분포를 가진 미세먼지 농도가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PM-2.5 크기를 가지는 입자에 의한 영향은 상대적으로 크지 않을 것으로 사료된다. 시설하우스 내부 작업동선에 따른 미세먼지 노출 특성 분석 결과, 경운작업 시 10㎛ 전·후의 미세먼지 농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시설하우스 작업시기와 이동시기와 비교하여 입경별 미세먼지 농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작업 시 미세먼지 농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 < 0.001). 한라봉 시설하우스 내부 이동시기 대비 경운작업시기의 경우 TSP 농도 3.8배, PM-10 농도 2.1배, PM-2.5 1.3배, PM-1.0 1.1배가 증가하였다. 절화장미 농가에서 이동 시 작업자에게 노출되는 미세먼지 농도의 경우 일반 대기환경 농도와 유사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동시기 대비 작업시기에 TSP 농도가 3.4배, PM-10 3.2배, PM-2.5 1.6배, PM-1.0 1.1배 증가하였다. 작업동선별 미세먼지 농도 증가 추이 분석 결과, 미세먼지의 입경이 큰 범위에 속하는 TSP, PM-10의 경우 작업 시 TSP와 PM-10 평균 농도의 편차가 크게 나타났으며, 이는 농가별 작업의 종류, 시설 규모, 환기량, 농가의 운영관리상태 등에 따라 미세먼지 발생 영향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시설하우스 내부 작업자의 미세먼지 노출현황과 특성 분석을 기반으로 시설하우스 내부 미세먼지 저감 프로그램 개발 및 작업 환경 개선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수확답(多收穫畓) 토양(土壤)의 관리상황(管理狀況)과 이화학적(理化學的) 특성(特性) 분석(分析) (Analysis of Soil Improvements and Soil Characteristics of the High Yielding Paddies)

  • 신원교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07-211
    • /
    • 1984
  • 1976년(年)부터 1979년(年)까지 군증산왕(郡增産王) 이상(以上)의 쌀 다수확(多收穫) 수상(受賞) 농가포장(農家圃場)을 무작위(無作爲)로 102개소(個所) 선정(選定)하여 비배관리(肥培管理)와 토양특성(土壤特性)을 조사(調査) 분석(分析)하고 수량(收量)과의 상관(相關)을 구(求)하였다. 다수확답(多收穫畓)에서는 토양개량제(土壤改良劑)의 시용량(施用量)이 일반답(一般畓)보다 많았고 고위수량답(高位收量畓)일 수록 간단관수(間斷灌水), 심경(深耕) 등(等) 요인별(要因別) 토양개량(土壤改良) 실시비율(實施比率)이 높아졌다. 다수확답(多收穫畓)은 토양유형(土壤類型), 적성등급(適性等級), 배수등급별(排水等級別) 구분(區分)에 따라 수량(收量)의 차이(差異)가 거의 없었다. 다수확답(多收穫畓)의 토성(土性)은 70% 이상(以上)이 양토(壤土) 내지 미사질양토(微砂質壤土)였으나 식토(埴土) 또는 사토(砂土)에도 분포(分布)되어 있었다. 작토층(作土層)의 이화학적(理化學的) 특성(特性)은 일반답(一般畓)보다 훨씬 양호(良好)한 수준(水準)이었고, 토양(土壤)의 이화학적(理化學的) 요인(要因)과 수량(收量)과의 상관(相關)을 보면 토양유형(土壤類型)에서 수량(收量)과 작토심(作土深) 및 보비능(保肥能) 간(間)에는 정(正)의 상관(相關)이 있었지만 다른 성분(成分)들은 토양유형별(土壤類型別)로 경향(傾向)이 다르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