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일리노이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5초

故障許容電算體系의 設計와 信賴度

  • 조정완
    • 정보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42-49
    • /
    • 1983
  • 전산기의 신뢰도(reliability)라 함은 사용자가 제출한 입력에 대하여 전산 기가 제공하는 결과의 신빙성의 척도라할 수 있는데, 이것은 주어진 전산기의 부 분품 하나하나가, 그리고 프로그램의 하나하나의 instruction이 설계당시에 목적한 성능을 얼마나 잘 유지하고 있는가를 측정하는 척도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 신 뢰도는 전산기의 수명, 필요할 때 전산기가 가동할 확율, 또는 전산기의 성능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제2세대 이전의 전산기들에서는 전자공업과 전산기 기술의 불충분한 발전으로 인하여 비용과 기계의 크기의 한정 때문에 신뢰도 향상을 위 한 대책이 거의 없었습니다. 따라서 현재 볼 수 있는 American Air Line의 SABRE(Semi Automatic Business Research Environment), Bell 전화 연구소의 ESS-I, II, III(Electronic Switching System), IBM의 FMS(Future Manufacturing System)과 같은 real-time 씨스템으로서의 응용분야의 개발은 상 당히 어려운 문제였습니다. 그러나 전자공업의 비약적인 발전에 힘입어 금세대의 범용전산기의 설계가 가능하게 되었고, 오퍼레이팅 씨스템의 발전으로 인하여 multiprogramming, time-sharing, real-time 씨스템 등의 응용분야의 개발이 활발 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응용분야의 활발한 개발과, 대규모 집적회로 (LSI)의 개 발로 ROM(Read Only Memory)의 가격화, 그리고 microprogram의 보급 등으로 특수 목적의 time sharing operation을 위한 소형 전산기가 발전하게 되었으며 종 래의 범용 전산기 대신에 CDC의 string unit과 pipeline을 이용한 STAR 100과 일리노이 대학의 256processor와 Burrough의 B6500로 구성된 ILLIAC-IV와 같은 초대형 전산기가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ICDI를 이용한 미국 콘벨트의 가뭄 분석 (Drought analysis by using ICDI in the US Corn Belt)

  • 이수진;이양원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
    • /
    • pp.459-459
    • /
    • 2022
  • 물수지의 불균형으로 발생되는 가뭄은 장기간에 걸쳐 넓은 규모로 발생되는 자연재해로서, 농업 및 산업에 직접 피해와 다양한 상품에 대한 공급 부족으로 인한 가격 상승 등의 간접 피해를 야기하는 재해이다. 이러한 가뭄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기상 요인(강수, 기온), 농업 요인(식생), 수문 요인(증발산, 토양수분) 등과 같은 설명 변수를 기초로 하는 많은 가뭄지수들이 개발되어 왔다. 대표적인 가뭄지수에는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 Standardized Precipitation Evapotranspiration Index (SPEI), Palmer Drought Severity Index (PDSI), Soil Water Deficit Index (SWDI), Vegetation condition index (VCI), Temperature Condition Index (TCI), Vegetation Health Index (VHI), Scaled Drought Condition Index (SDCI), Integrated Crop Drought Index (ICDI) 등이 있다. 본 연구는 최근 개발된 통합작물가뭄지수(ICDI)를 통해 미국 옥수수의 약 90%를 생산하는 농업지역인 미국 콘벨트의 가뭄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ICDI는 기상 요인(강우량 및 지표면 온도), 수문학적 요인(잠재 증발산 및 토양수분), 식생 요인(강화식생지수(Enhanced Vegetation Index, EVI))의 조합을 통해 지표면의 건조·습윤 상태 및 식생의 건강 상태를 설명하는 가뭄지수이다. 2004년부터 2019년까지 주요 콘벨트 지역인 일리노이, 인디애나, 아이오와를 대상으로 가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옥수수 수확량 아노말리와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 PDF

경상북도를 중심으로 고찰한 한국 초·중등학교의 데이터베이스 교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atabase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n Korea focused on the IT curriculum in Gyeongsangbuk-do province)

  • 김형용;이혁수;김종성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32-154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초 중등학교에서 체계적인 데이터베이스 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경상북도 초 중등학교의 정보통신기술 교육과정을 데이터베이스 관련 교육 내용을 중심으로 미국 일리노이 주 Arcola Schools(초 중등과정)의 해당분야 교육과정과 비교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정보사회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의 중요성 및 21세기 데이터베이스 산업의 규모와 성장속도 등을 감안할 때 한국의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에서 데이터베이스 관련 교육은 필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와는 대조적으로 현재 한국의 초 중등학교 정보통신기술교육과정은 정보 사회가 요구하는 체계적인 데이터베이스 교육을 제공하기에는 대단히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는 '한국의 초 중등학교 정보통신기술 교육과정이 체계적인 데이터베이스 교육이 가능한 방향으로 시급히 개편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미스 반 데어 로에의 IIT 캠퍼스의 구성과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f the composition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IIT campus by Mies van der Rohe)

  • 김철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6915-6921
    • /
    • 2014
  • 본 연구는 미스 반 데어 로에의 일리노이 공과대학 캠퍼스(1339-1359)의 구성과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는 것을 주제로 한다. 미스의 건축에 대한 연구가 "보편적 공간"이나 구조적 합리성 등 단일 건축물에 치중되어 왔다면 IIT 캠퍼스는 여러 동의 건물로 공공 공간을 구성한 단지계획이라는 점이 연구의 동기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스의 기존 작품들과의 연관성을 도출하고 IIT 캠퍼스의 계획의도를 분석하기 위해 미스가 그린 스케치, 배치도, 투시도 등을 분석하였다. 그리하여 도출한 결론은, 첫째 미스는 단순한 형태의 선형건물을 공공 공간을 규정하는 벽처럼 사용하여 "흐르는 공간"을 캠퍼스 전반에 구현하였다. 둘째, IIT 캠퍼스는 그 자체로 도시 공간의 한 일부분으로서 통합되는 "중립적 프레임"이 되었다. 셋째, 캠퍼스의 내부에는 학생들을 위해 외부의 혼잡함으로부터 보호받으며 조용한 안정감을 주는 동시에 주변 공간과 연속되고 개방된 공공 공간을 만들었다.

Push 기반 원격교육 시스템과 수준별 문항평가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ush-based Distance Education System and Leveling Estimation Algorithm)

  • 김원영;김치수;김진수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권3호
    • /
    • pp.19-25
    • /
    • 2001
  • 컴퓨터를 이용한 교육 시스템은 1950년대 말 일리노이 대학의 Donald Bitzer박사에 의해 구상되어 1961년 PLATO 시스템이 개발된 이래 지난 30여년 동안 다각적인 연구가 이루어져 왔고, 특히, 인터넷과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은 WWW기반의 원격교육 시스템의 개발과 발전을 진일보시켰으며, 이들 시스템들은 기존의 교육 패러다임을 변모시키는 새로운 형태의 교육체계 구현을 통해 교육 현장에 커다란 기여를 하고 있다. 본 논문은 WWW기반 기술 중 능동적 정보전달 방식인 Push 기술을 기존 원격교육 시스템에 접목하여 학습자가 인터넷의 학습 DB에 접속하지 않고도 학습 내용을 제공받을 수 있고, 새로운 학습정보를 실시간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Push 기반 원격교육시스템을 제안한다. 또한, 학습자의 다양한 수준에 맞는 문제의 처리와 문항 분석이 가능한 수준별 문항평가 알고리즘을 통해 학습자의 학습수준에 적합한 문항 평가 이루어지도록 설계하였다.

  • PDF

옥수수포장의 토양 수분함량에 대한 토성과 경운의 영향 (Effects of Soil Types and Tillage Systems on Soil Water Movement in the Root Zone of Cornfields)

  • 김원일;정구복;고문환;;박노동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97-206
    • /
    • 2002
  • 토양수분 이동에 대한 토양 특성과 경운의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3년 동안 일리노이 중부지방의 몇 개 토양통이 다른 옥수수 포장에서 토양 수분함량을 조사하였다. 경작 기간중의 무경운과 경운된 포장에서 30 cm 간격으로 깊이 150 cm 까지 Neutron Scattering 기술에 의하여 수분함량을 측정하였다. 토양 경작층에서의 수분함량은 경운이나 강우에 의해 수분함량의 영향을 받은 반면 심토에서는 토성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토양수분은 점토 함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Saybrook통이나 Catlin통에서 점토 함량이 높아 수분 보유능이 높은 Drummer통, Flanagan통, 및 Ipava통보다 빠르게 이동하였다. 이들 Drummer통, Flanagan통, Ipava통의 높은 유기물 함량은 수분 보유능을 증가시키는 또 다른 이유가 될 수 있다. 또한 옥수수 경작층에서의 수분함량은 경운 포장에서 무경운 포장보다 높았다.

마르셀 프루스트에 관한 디지털인문학적 연구 동향분석 (Digital humanities Research Trends on Marcel Proust)

  • 민진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3호
    • /
    • pp.181-188
    • /
    • 2024
  • 디지털 전환이라는 시대적 배경에 힘입어 마르셀 프루스트의 탄생 150주년을 맞는 2021년과 서거 100주년을 맞는 2022년에는 프루스트에 대한 다양한 디지털인문학적 연구가 진행되었다. 니콜라 라고노는 문학 웹사이트 '프루스트노믹스'를 운영하여 프루스트와 관련한 온/오프라인의 담론들을 아카이빙하여 분석하고, 『프루스트그래프』를 통해서 프루스트와 관련된 이야기와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를 둘러싼 다양한 자료들을 수치화하여 효과적으로 시각화하였다. 2021년에 프루스트의 삶과 작품에 관한 다양한 자료를 온라인으로 서비스하는 버팔로 프루스트 프로젝트Buffalo Proust project 2021가 진행되었다. 일리노이 대학의 콜브는 그르노블 대학의 프랑수아즈 르리쉬와 함께 프루스트의 서신을 디지털화하여 온라인으로 서비스하는 작업인 Corr-Proust사업을 진행하였다. 국내의 프루스트에 대한 디지털인문학적 연구는 부재한 상황이라서 지난 60년간 출판된 학술논문의 어휘를 분석하여 2000년 전후 주제면이나 양적인 면에서 많은 발전이 있었음을 어휘빈도와 워드클라우드를 통해 시각화해보았다.

작물 분류를 위한 다중 규모 공간특징의 가중 결합 기반 합성곱 신경망 모델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Model with Weighted Combination of Multi-scale Spatial Features for Crop Classification)

  • 박민규;곽근호;박노욱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5권6_3호
    • /
    • pp.1273-1283
    • /
    • 2019
  • 이 논문에서는 작물 분류를 목적으로 합성곱 신경망 구조에 다중 규모의 입력 영상으로부터 추출가능한 다양한 공간특징을 가중 결합하는 모델을 제안하였다. 제안 모델은 합성곱 계층에서 서로 다른 크기의 입력패치를 이용하여 공간특징을 추출한 후, squeeze-and-excitation block을 통해 추출한 공간특징의 중요도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한다. 제안 모델의 장점은 분류에 유용한 특징들을 추출하고 특징의 상대적 중요도를 분류에 이용하는데 있다. 제안 모델의 분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미국 일리노이 주에서 수집한 다중시기 Landsat-8 OLI 영상을 이용한 작물 분류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유용한 패치 크기 결정을 위해 먼저 단일 패치 모델에서 패치 크기가 작물 분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후에 단일 패치 모델과 특징의 중요도를 고려하지 않는 다중 패치 모델과 분류 성능을 비교하였다. 비교 실험 결과, 제안 모델은 연구지역에서 재배하는 작물의 공간 특징을 고려함으로써 오분류 양상을 완화시켜 비교 모델들에 비해 가장 우수한 분류 정확도를 나타냈다. 분류에 유용한 공간특징의 상대적 중요도를 고려하는 제안 모델은 작물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공간특성을 보이는 객체 분류에도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토양수분 수지계산에 의한 옥수수 포장에서의 토양수분 이동 예측 (Predicting Water Movement in the Soil Profile of Corn Fields with a Computer-Based STELLA Program to Simulate Soil Water Balance)

  • 김원일;정구복;이종식;김진호;신중두;김건엽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22-229
    • /
    • 2005
  • 단순1차원 STELLA 모델이 토양수분 수지계산에 의해 일리노이 옥수수 포장의 질소용탈을 예측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다. 이는 옥수수포장이라는 한정된 생태계 안에서의 물의 연간 유입량과 유출량을 산정하는데 물의 유입에는 강우량과 유출에는 유거, 증발산 및 배수량이 계산되었다. 모델에는 일일강우량과 증산량 등 2개의 기상자료가 이용되었고, 토양의 다양한 전환상수들이 토양의 물리화학성을 고려하여 일차식으로 계산되어 이용되었다. 모델의 결과는 토층에 따른 토양수분의 일일 변화량과 손실량이 산출된다. 모델에 의한 물 수지는 강우가 많았던 1993년은 늘어난 반면 강우가 적었던 1992년과 1994년에는 줄어들었다. 또한 유기물과 점토가 많은 토양에서 수분의 유출량이 적었다. 모델에 의한 토양 수분함량은 표준편차를 고려한 측정치와 토양통에 따라 22-78%, 토층에 따라 30-70%의 일치를 보였고, 이러한 불일치는 토양수분과 질소화합물의 확산 등 수평적 이동, 다른 형태의 질소 손실, 뿌리의 분포, 영농 형태 및 토양의 여러 특성들이 고려되지 않은 1차원 모델이기 때문이라 사료된다.

토양 수분함량에 따른 옥수수 뿌리 분포의 변화 (Corn (Zea mays L.) Root Distribution in Response to Variation in Soil Water Content)

  • 김원일;정구복;;김용웅;박노동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11
    • /
    • 2002
  • 옥수수 뿌리 성장에 미치는 토양통과 경운의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3년 동안 일리노이 중부지방의 몇 개 토양통이 다른 옥수수 포장에서 뿌리 분포를 관찰하였다. 무경운과 경운된 포장에서 깊이 75 cm Minirhizotron 기술에 의하여 Video로 촬영을 한 후 뿌리 분포를 관찰하였다. 토양 경작층의 뿌리 분포는 생육 초기 증가하였고, 이후 늦은 여름에는 수분이 고갈되면서 감소하였다. 본 실험에서 뿌리 분포가 토양통에 따라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토양통에 따른 분포의 차이는 토양의 유효수분 저장용량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토양의 투수 속도가 빠른 무경운에서의 뿌리분포가 경운에서의 분포보다 많았다. 생육기간 중 심토 층에서의 옥수수 뿌리는 경운포장보다 전 작물의 뿌리통로를 이용하여 생장하는 무경운 포장에서 2-3주 일찍 관찰되었다. 결론적으로 옥수수 뿌리 분포는 토양통보다는 경운에 의한 영향이 클 것으로 생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