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일년생

Search Result 238,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Occurrence of Weed Flora and Their Yield Loss in Angelica gigas Upland Fields of Minor Crop in Korea (소면적 재배작물인 당귀밭에 발생하는 잡초현황과 잡초에 의한 피해)

  • Lee, In-Yong;Kim, Chang-Seok;Lee, Jeongran;Seo, Young Jin;Kim, Jong-Su;Seo, Hyun-A;Jang, Hyung-Mok
    • Weed & Turfgrass Science
    • /
    • v.5 no.2
    • /
    • pp.65-70
    • /
    • 2016
  • Investigation on weed flora in Angelica gigas upland fields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weed flora and establish the control measures. Investigation was conducted twice, July and October in 2015. From this investigation, 105 species of 37 families including 27 exotics were identified and classified into 53 species of annuals, 24 species of biennials and 28 species of perennials. Dominance was the highest with Digitaria ciliaris, followed by Portulaca loeracea, Chenopodium album, Cyperus iria, Conyza canadensis, Galinsoga ciliata etc. in order. Chenopodium album was the highest in importance analysis and the followings were in order of Conyza canadensis, Galinsoga ciliata, Amaranthus lividus, Taraxacum offcinale etc. The yield of A. gigas was reduced 49.6% in no weeding plots comparing in weed managed plots.

Occurrence of Weed Flora in Lycium chinense Upland Field of Minor Crop in Korea (소면적 재배작물 구기자밭에 발생하는 잡초현황)

  • Lee, In-Yong;Kim, Chang-Seok;Lee, Jeongran;Seo, Hyun-A;Kwon, Bong-Jae;Jang, Hyung-Mok
    • Weed & Turfgrass Science
    • /
    • v.5 no.2
    • /
    • pp.60-64
    • /
    • 2016
  • Investigation on weed flora in Lycium chinense upland fields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weed flora and establish the control measures. Investigation was conducted twice, May and June on 2015. From this investigation, 91 species of 30 families including 27 exotics were identified into 36 species of annuals, 28 species of biennials and 27 species of perennials. Dominance was the highest with Portulaca loeracea followed by Digitaria ciliaris, Stellaria media, Oxalis corniculata, Acalypha australis, Chenopodium album, Cyperus iria etc. in order. Chenopodium album was the highest in importance analysis and the followings were in order of Conyza canadensis, Conyza bonariensis, Senecio vulgaris, Amaranthus lividus, Sonchus asper etc.

Occurrence of Exotic Weeds in Several Islands in Korea (우리나라 주요 도서지역의 외래잡초 발생현황)

  • Kim, Chang-Suk;Lee, In-Yong;Oh, Yeong-Ju;Oh, Se-Mun;Kim, Suk-Chul;Park, Jae-Eup
    • Korean Journal of Weed Science
    • /
    • v.30 no.2
    • /
    • pp.59-67
    • /
    • 2010
  • The distribution of exotic weeds in 4 island area such as Baengnyeong-do, Heuksan-do, Chuja-do, and Geomun-do in Korea was investigated. Baengnyeong-do, Heuksan-do, Chuja-do, and Geomun-do have different weed flora, 41 species included 13 families, 32 species included 11 families, 23 species included 9 families and 30 species included 12 families were observed in the 4 islands, respectively. 18 families 70 species were occurred in 4 island. Most troublesome exotic weeds were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Solanum carolinense, Cuscuta pentagona. Occurrence frequency of Conyza canadensis, Erigeron annuus, Dactylis glomerata, Bromus catharticus and Lolium multiflorum were the highest in each island, respectively. Also, result of divided life cycle, annual weeds were 28 species occupied 40% in total, biennial weeds were 21 species (30%) and perennial weeds were 21 species (30%).

The Pteridophytes Flora of Jirisan National Park, Korea (지리산국립공원의 양치식물상)

  • Gwon, Jae-Hwan;Sin, Min-Kyung;Lee, Kang-Hyup;Song, Ho-Kyung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7 no.5
    • /
    • pp.529-543
    • /
    • 2013
  • In this study, Pteridophytes flora of Jirisan National Park were recorded 135 taxa, and they belong to 21 families, 39 genera, 123 species, 11 varieties and 1 forma. In the field, 38 taxa were not found on literature exists and 22 taxa were newly confirme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Deciduous (d), Evergreen (e) and Summer-deciduous (sd) were calculated as 50.0%, 46.3%, 2.2%, respectively and the Deciduous (d) has the highest value compared to the other leaf phenologies. It observed from the life-form spectra that Hemicryptophytes (H) was the most common dormancy form at 44.8%. Geophytes (G), Epiphytes (E), Hydatophytes (HH), Therophytes (Th) and Chamaephytes (Ch) were calculated at 26.1%, 10.5%, 4.5%, 0.8% and 13.4%, respectively.

A phylogenetic study of Geranium (Geraniaceae) on the vegetative characters (쥐손이풀속(쥐손이풀과)의 외부영양형질에 의한 계통분류학적 연구)

  • Park, Seon-Joo
    •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
    • v.11 no.10
    • /
    • pp.1001-1009
    • /
    • 2002
  • Vegetative characters (e.g. habitat, root, ramification and habit of stem, phyllotaxy, leaf sape, shape of leaf margin, shape of division and lobe of division, number of division, thick and texture of leaf and shape of stipule) on 35 species of Asian Geranium were reviewed to discussion propriety of taxonomic character and evolutionary trends. Wilfordii group is characterized by three divided leaf, Farreri group was grown a high altitude, and Maculatum group is grouped by life cycle of anneal. Arrangement state of leaf is alternate type G, tripartitum, G. eriostemon, and G. erianthum is thought the more primitive than the other taxon, and regarded as more advanced group the sibiricum group and pseudosibiricum group which divided of leaf deeply. Shape of leaf, division degree of lobes, shape of leaf margin and number of division are considered a good identification characters because width of change are fixed between population.

Current Status of Naturalization by Exotic Ornamental Plants in Korea (외래 관상식물의 국내 귀화 현황)

  • Kil, Jihyon;Kim, Chang-Gi
    • Weed & Turfgrass Science
    • /
    • v.3 no.3
    • /
    • pp.206-214
    • /
    • 2014
  • Numerous cases have been reported of naturalization by exotic ornamental plants. To obtain basic data about how those plants affect the ecosystems of Korea, we compiled a list of 78 species categorized as ornamentals from 309 naturalized species in Korea and analyzed their life forms, origin, and their current global status of naturalization and regulation. Plants belonging to Compositae comprised the largest group, with 23 species. In all, 75 species were considered herbaceous, and perennial species out-numbered annuals and biennials. Most species originated from Europe and North America. Except for Houttuynia cordata, the other 77 species were naturalized in other countries as well. Furthermore, 34 species, including Aster pilosus and Solidago altissima, have been subject to legal restrictions or classified as alert species in Korea or other countries. Therefore, monitoring may be required to prevent spread of those species, especially for species which have not been managed under domestic law up to now.

Herbicidal Efficacy of Benzobicyclon Up Granule Formulations in Infant Seeding Machine Transplanting of Rice (벼 어린모 기계이앙답에서 수면부상성 Benzobicyclon합제의 제초활성)

  • Won, Ok Jae;Sin, Hyun Tak;Roh, Sug-Won;Park, Kee Woong
    • Weed & Turfgrass Science
    • /
    • v.5 no.4
    • /
    • pp.225-229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herbicidal efficacy of up granule formula of benzobicyclon mixtures, benzobicyclon + azimsulfuron + oxaziclomefone up granule (BAO UG) and benzobicyclon + bensulfuron-methyl + fentrazamide up granule (BBF UG) to control annual and perennial weed species in a rice paddy field. Four annual weed species including Echinochloa crus-galli L. and three perennial weeds were dominated in the experimental field. Application of BAO UG and BBF UG was highly effective to control both annual and perennial weed species. No phytotoxic effect was observed in the rice based on the plant height, the number of tillers, and culm and panicle length. Finally, rice yield in the BAO UG and BBF UG treatment was as much as that in the hand weeding. This study indicates that self-dispersible floating formula of benzobicyclon mixtures can be applied to control both annual and perennial weed species in rice paddy fields and contribute to save labor costs.

A Study on Ecotope Diversity Improvement effectiveness Analysis in the Middle of Mankyung River Restoration Scenario (만경강 하천공간복원 시나리오의 에코톱 개선효과 분석)

  • Kim, Woo Ram;Jeon, Ho Seong;Kim, Ji Sung;Hong, Il;Kim, Kyu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34-434
    • /
    • 2018
  • 에코톱은 가장 작고 균일하며 도면의 단위로 사용 가능한 토지, 일반적인 구성요소의 상태, 잠재자연식생, 잠재생태계 기능을 최소한의 단위로 균일하게 분류가 가능한 요소로서 천이단계 또는 토지이용이 서로 다른 패치들로 이루어진 무생물과 생물이 결합된 생태공간으로서 일반적으로 세가지 특성을 포함한다. (1) 가장 작은 동질성 가진 지도로 분류 가능한 단위, (2) 일반적인 기질조건, 잠재적 자연식생 및 잠재적 생태계 기능에 대한 동질성, 그리고 (3) 서로 다른 연속적인 토지 이용 단계에서의 패치로 구성 된다. 현재 네덜란드, 스페인을 포함한 유럽국가에서는 에코톱분류를 통한 하천을 관리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만경강 중류 소양천 합류점의 터지네 구간을 대상으로 하천공간의 복원 이후 연중유황에 따른 에코톱의 변화를 예측하고 이에 따른 개선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제방 후퇴, 제방후퇴/구하도 복원, 제방 후퇴/습지 조성 세가지 복원 시나리오를 현재지형과 비교하여 연중 유황별 흐름조건에 따라 에코톱을 도식화 하였으며, 이에 따른 에코톱 다양성 지수를 도출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복원 대상지의 복원 시나리오 및 흐름조건에 따른 에코톱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제방 후퇴/구하도 복원' 일 때 자연요소가 현재지형보다 가장 크게 증가되었으며 3가지 복원 유형 간 자연요소를 비교한 결과 '제방 후퇴/구하도 복원' 일 때 수역과 일년생 초본이 가장 많은 면적을 차지하였으며, '제방 후퇴/습지 조성' 일 때 습지와 다년생 초본이 가장 많은 면적을 차지하였다. 복원 유형 별 연중 유황 조건에 따른 에코톱 다양성 지수분석결과 제방후퇴/습지 조성시 에코톱 다양성 개선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Use Situation of Cannabis and Its Value as a Resource Plants (대마의 이용실태와 자원식물로서의 활용가치)

  • Kim, Suk-Kyu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10a
    • /
    • pp.6-6
    • /
    • 2019
  • 대마는 인류가 이용해 온 가장 오래된 약제 중 하나로 그 원산지는 중앙아시아와 남아시아이다. 식물분류학적으로 대마속 일년생 식물로서 Cannabis sativa, Cannabis indica, Cannabis ruderalis 3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종은 Cannabis sativa이다. 대마 재배의 역사는 인류의 시작과 그 궤를 같이하며, 동 서양을 막론하고 고대 문명에서 대마에 대한 기록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기록에 의하면 병의 치료나 심리적 치유 및 신에게 제사를 올릴 때 제사장이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마의 약효에 대하여는 B.C. 2737년 중국의 신농황제시대의 기록에 관절염과 통증등 의료목적으로 사용했던 최초의 기록이 있으며 본초강목과 동의보감에 저술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대마에 관한 문헌 기록은 삼국지 '위지동이전', 삼국사기 '동성왕편'과 삼국유사에 삼베를 사용한 기록이 있는 것으로 미루어 봤을 때 대마재배의 역사는 삼국시대 이전으로 볼 수 있다. 우리 민족은 생활 속에서 대마를 즐겨 사용하였으며 삼베로 의복과 멍석, 행주 그리고 칠공예품이나 신발등을 만들어 사용하였으며, 죽음에 이르러 삼베옷을 수의로 사용하였다. 대마의 용도는 뿌리, 줄기, 잎, 꽃대 그리고 씨앗까지 다양하게 이용된다. 전통적으로 줄기의 껍질을 이용한 섬유제품이 있으며 실, 의복 및 밧줄등이 있다. 대마 줄기의 속대는 종이, 건축자재, 연료로 사용된다. 씨앗의 경우 식품과 조류의 먹이, 생약으로 이용되고 씨앗의 기름은 연료, 화장품, 맛사지 오일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환각성분이 있어 마리화나 원료로 사용되는 꽃대와 잎은 의약품의 원료로 주목받고 있다. 대마에 관한 최초의 논문은 1843년에 Cannabis indica의 약효에 관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1850년부터 1937년까지 미국의 약전은 대마를 100가지 이상의 질병에 효과가 있는 주요 의약품으로 기재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여러 가지 이유로 대마를 의료 응용과 연구 및 사용을 제한하여 대마에 관한 연구가 침체되었다. 대마의 의학연구는 대마의 약효성분인 칸나비노이드의 발견과 그 구조 및 약효에 관한 연구가 시작되면서 1960년대부터 증가하였으며 2000년 이후에는 칸나비노이드 및 칸나비디올의 다양한 의학적 효과가 밝혀지면서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대마에 포함된 성분의 의학적 효과가 입증되면서 대마 사용을 합법화한 국가가 증가하면서 대마 산업이 급부상하고 있으며, 의료용뿐만 아니라 기호용, 식품용, 그리고 주류 및 음료시장까지 확대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2019년 3월 질병 치료 목적 대마성분 의약품을 제한적으로 허용하는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일부 개정안이 시행되면서 의료용 대마에 관한 연구와 산업화에 관심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 PDF

국내 자생 물봉선속(Impatiens L.)의 항산화활성 및 생리활성물질 함량 차이 비교

  • 한세희;이경준;서혜민;박민주;이재경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Conference
    • /
    • 2022.10a
    • /
    • pp.263-263
    • /
    • 2022
  • 물봉선속(Impatiens L.)은 일년생 또는 다년생 초본으로 우리나라에 5-7종이 분포한다. 물봉선의 화장품용 항산화제 및 천연 방부제로서의 유용성이 밝혀졌으며, 최근 항염, 항산화 등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가 국내 자생하는 물봉선 및 노랑물봉선을 대상으로 수행된 바 있으나 이하 분류군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자생하는 물봉선속 분류군들의 항산화활성과 생리 활성물질의 함량을 분석하고 지역 간 분류군별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국내 자생하는 물봉선속 분류군들의 항산화활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DPPH, ABTS, TPC, TFC 4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국내 자생하는 물봉선속 5분류군 가야물봉선(Impatiens atrosanguinea (Nakai) B.U.Oh & Y.P.Hong), 노랑물봉선(Impatiens noli-tangere L), 물봉선(Impatiens textorii Miq), 미색물봉선(Impatiens noli-tangere var. pallescens Nakai), 처진물봉선(Impatiens furcillata Hemsl)이 12개 지역에서 수집되었으며, 잎 추출물(70% 에탄올)에 대해 분석되었다. 물봉선속 분류군들의 잎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검정 결과 가야물봉선(4.91 ± 3.00 mgAAE/g)이 가장 높았고 처진물봉선(1.77 ± 0.55 mgAAE/g)이 가장 낮았으며, ABTS의 경우 가야물봉선(3.14 ± 1.35 mgAAE/g)로 가장 높았고 미색물봉선(1.87 ± 0.16 mgAAE/g)이 가장 낮았다. TPC의 경우 미색물봉선(5.48 ± 1.05 ugGAE)이 가장 높았고 노랑물봉선(2.78 ± 1.98 ugGAE)이 가장 낮았으며, TFC의 경우 물봉선(0.70 ± 0.20 ugGAE/g)이 가장 높았고 노랑물봉선(0.45 ± 0.08 ugGAE/g)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수집지역별로는 각각 DPPH와 ABTS의 경우 노랑물봉선, TPC의 경우 가야물봉선, 노랑물봉선, 물봉선, TFC의 경우 처진물봉선이 지역별 차이를 보였다. 이번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국내 자생하는 물봉선속 분류군 별 항산화활성과 생리활성물질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고 추후 유용 소재로써의 이용과 우수 개체선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 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