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인-조직 적합성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38초

EDI 이용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Usage Level of Electronic Data Interchange)

  • 박준철;백종현;조영제
    • 한국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시스템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1-20
    • /
    • 2000
  • 본 연구의 목적은 EDI 이용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특성요인, 시스템의 구축과정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체계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문헌을 조사하여 EDI이용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 실증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EDI의 이용범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들은 ‘업무의 EDI 적합성, 최고경영자의 적극적 지원, 참여도’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 결과에서 서류업무가 많고 거래가 빈번한 기업들이 EDI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게 되고 따라서 EDI를 조직내에 통합시킬수록 그에 따른 이익을 얻을 수 있다. 한편, 기존 업무를 EDI 방식으로 전환하는데 많은 투자와 변화에 대한 위험이 존재하는 만큼 최고경영자의 적극적인 지원이 반드시 필요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EDI의 이용범위를 확대시키기 위해서는 EDI 사업자, 사용자의 참여뿐만 아니라 교육·훈련도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DEI의 이용량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은 ‘업무의 EDI 적합성, 참여도’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거래업체와 서류업무가 많고 거래가 빈번한 기업일수록 많은 기업들과 EDI를 통해

  • PDF

갈등의 경험이 개인-조직 적합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Experienced Conflict on Person-Organization Fit and Turnover Intention)

  • 이정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325-333
    • /
    • 2019
  • 본 연구는 팀 구성원이 지각하는 갈등이 개인-조직의 적합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유의미한 시사점의 제시를 목적으로 하였다. 특히 지각된 개인-조직 적합성이 갈등과 이직의도를 매개하는지, 구성원의 리더에 대한 신뢰가 갈등과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변화시킬 수 있는지 분석하였다. 실증자료의 분석 결과, 팀 내 갈등은 이직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 목표 가치 적합은 부(-)의 영향을 미쳤으나, 성격적합은 통계적 유의성이 발견되지 않았다. 개인-조직 적합성은 갈등과 이직의도를 매개하였으며, 리더에 대한 신뢰는 개인-조직 적합과 이직의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팀 구성원의 지각된 갈등, 개인-조직 적합성, 이직의도와의 메커니즘을 구체적으로 파악함으로써 기존 연구와의 차별화를 시도하였으며, 이를 통해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사회복지사의 직무적합성과 조직적합성이 직무상실감에 미치는 영향 및 조직공정성의 조절효과 (The Effects of Personal Job-Organizational Fit of Social Workers on Job Loss and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Justice)

  • 김태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211-219
    • /
    • 2020
  •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가 지각한 개인직무적합성과 개인조직적합성이 직무상실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며, 이러한 관계에서 조직공정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광주지역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분석방법으로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로, 개인직무적합성과 조직적합성 정도는 보통 보다 조금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조직공정성은 두 가지 하위요인으로 조사되었으며, 보상 공정성은 보통 보다는 조금 낮은 수준, 절차 공정성은 보통 보다 높은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종속변수인 직무상실감 정도는 보통보다 낮은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둘째로, 사회복지사가 지각하는 개인직무적합성과 개인조직적합성은 직무상실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그러한 영향은 조직공정성 수준에 따라서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민간경비원의 직무착근도가 이중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ivate Guards' Job Embeddedness on Dual Commitment)

  • 임운식
    • 시큐리티연구
    • /
    • 제41호
    • /
    • pp.123-151
    • /
    • 2014
  • 이 연구에서는 민간경비원을 대상으로 직무착근도가 이중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 분석을 통해 그 결과를 살펴보았다. 먼저 독립변인으로 직무착근도를 선정하였고, 직무착근도는 적합성, 연계, 희생의 세 가지 하위요소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종속변인으로 이중몰입(조직몰입, 경력몰입)을 선정하였고, 통제변인으로 성별, 연령, 학력, 근무기간, 소득을 선정하였다. 다중회귀분석결과 직무착근도의 세 가지 구성요소인 적합성, 연계, 희생은 조직몰입과 경력몰입에 각각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신의 조직 및 직무에 대해 잘 맞는다고 지각하고, 조직 내 구성원들과 연결되어 있는 정도가 높으며, 조직을 떠날 경우 잃게 되는 심리적 또는 물질적 편익에 대한 지각비용이 클수록 이중몰입이 높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난 변인들을 모두 포함시켜 각 변인들을 서로 통제하도록 하였을 때, 조직몰입 모형에서는 연계의 효과는 사라졌고 적합성과 희생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경력몰입 모형에서는 적합성과 연계의 효과는 사라졌고, 희생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직무착근도의 구성요소 중 적합성과 희생이 가장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에서 살펴보았듯이 직무착근도(적합성, 연계, 희생)는 민간경비원들의 이중몰입(조직몰입, 경력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조직차원에서 직무착근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을 마련할 필요성이 있는데, 이를 위해 적합성과 관련하여서는 신규채용단계에서 조직에 적합한 구성원을 선발하고 채용 이후에는 질 높은 교육훈련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연계와 관련하여서는 조직 내 친목회, 정례회, 모임 등과 같은 제도를 활성화할 필요성 있으며, 희생과 관련하여서는 근무여건, 인센티브, 복지혜택 수준을 점진적으로 증진시킬 필요성이 있다.

  • PDF

골 조직공학을 위한 치아인회석, 키토산, 시아노아크릴레이트를 이용한 새로운 생체흡수성 골시멘트 (A Novel Bioresorbable Bone Cement Using Tooth Apatite, Chitosan, and Cyanoacrylate for Bone Tissue Engineering - Handling & mechanical properties, cytotoxicity and biocompatibility-)

  • J. H. Chung;Lee, W.;P. H. Choung;J. E. Davies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9권4호
    • /
    • pp.347-356
    • /
    • 2004
  • 치아인회석, 키토산, 시아노아크릴레이트 등의 생분해성 생체재료를 이용해 새로운 생체흡수성 골시멘트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들 골시멘트들에 대해서 중합온도, 응고시간 등의 조작특성과 압축강도, 전단강도 등의 물성을 분석하였다. 특히, 치아인회석과 키토산의 미립가루와 부틸 시아노아크릴레이트의 강력접착제를 이용한 시멘트(B)에 대해서는 직접 접촉방법과 XTT 방법을 통해 세포독성을 분석하였고, 또한 쥐를 이용한 동물실험에서 시멘트(B)의 처리그룹에 따라 생체적합성을 분석하였다. 시아노아크릴레이트를 이용한 골시멘트의 최대중합온도는 약 33$^{\circ}C$, 조작(응고)시간은 3-6분, 압축강도는 약 15-25㎫, 전단강도는 약 0.4-l.7 ㎫를 나타내었다. 첨가제로 사용된 Lipiodol은 골시멘트의 주사성과 강력접착제의 초기 중합지연도를 높였고, 특히 송진가루는 시아노아크릴레이트의 초기중합을 지연시켰다. 시아노아크릴레이트를 이용한 시멘트(B)의 세포독성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처리 그룹에서 낮게 나타났고, 특히 키토산과 치아인회석을 사용한 경우 각각 세포 독성이 더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골시멘트(B)의 동물 생체적합성 실험의 방사선상 및 조직학적 분석에서도 뼈 형성 및 결합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인도에서의 기업사회적책임활동이 인도소재 한국IT기업의 종업원 이직의도를 낮출 수 있을까? (Exploring 'Intention to Leave' management in Korean IT Firms at India : The Role of CSR)

  • 김영옥;박현재
    • 무역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69-85
    • /
    • 2017
  • 인도는 2014년 외국 기업들을 대상으로 기업사회적책임(CSR)을 법규화 하여 이를 의무화 하였다. 한편 인도 진출 한국 IT 기업들의 고민 중 하나는 종업원들의 이직률이 매우 높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크게 네 가지 차원에서 수행되었다. 첫째, 인도 소재 한국 IT기업들은 CSR활동을 의무적으로 해야 하는데, 이들 활동이 과연 종업원들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지 알아보는 것, 둘째, CSR과 이직의도 간 관계에서 직무배태성의 매개효과 검증, 셋째, CSR과 이직의도 간 관계에서 조직동일시의 매개효과 검증, 넷째, CSR과 이직의도 간 관계에서 직무배태성과 조직동일시의 이중매개효과 규명이다. 연구결과, CSR활동은 이직의도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고, 직무배태성과 조직동일시의 매개효과를 통해 이직의도를 결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인도 소재 한국IT기업들이 외국법인의 의무사항으로 법규화된 CSR활동을 전략적으로 수행한다면, 이는 종업원들의 회사에 대한 적합성을 증가시키고 회사와의 일체감을 증대하여 결국 이직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 PDF

DEA를 이용한 금융기관(金融機關)의 운영효율성(運營效率性) 평가(評價)

  • 최태성;장익환
    • 재무관리연구
    • /
    • 제9권2호
    • /
    • pp.77-100
    • /
    • 1992
  • 경영성과(經營成果)의 평가지표(評價指漂)는 개별조직의 목표와 제약환경, 즉 이용가능한 자원량과 개별적 특수요인 등을 고려하여 설정하여야 하며, 산업내의 특성과 동질적 비교집단을 이해함으로써 조직의 성과와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조직의 평가는 부분적(部分的)인 효율성(效率性)에 편중되지 않고 투입과 산출간의 유기적인 관계를 총체적인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종합적(綜合的) 효율성(效率性)에 그 촛점이 두어져야 한다. 이러한 문제의 인식에 바탕을 두어 본 연구에서는 Charnes, Cooper와 Rhodes(1978)에 의해 처음 개발되어 주로 비영리기관의 경영성과의 평가에 많이 사용하여 온 DEA(Data Envelopment Analysis)기법을 이용하여 금융기관(金融機關)의 효율성(效率性)을 평가(評價)한다. 금융기관은 다양한 투입요소를 사용하여 다양한 서비스 상품을 제공하는 조직이기 때문에, 또 재무비율을 이용한 기존의 평가나 통계적 생산함수의 추정에 의한 평가방법은 단순히 과거의 실적을 평가하는 데 그치게 되고 객관성이 결여되기 쉽기 때문에 조직의 미래운영방향의 설정에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DEA은 다수의 투입과 산출요소를 요구하는 경우에 적합하게 설계된 분석방법이므로 금융기관의 성과분석에 적절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금융기관(金融機關)의 효율성(效率性)을 평가(評價)하는 기존의 방법을 간략하게 검토한 다음, DEA에 관한 이론적 기초와 그 특성을 검토한다. 실증분석에서는 여 수신업무(與 受信業務)를 수행하고 있는 국내금융기관들 중에서 자료의 동질성과 표본대상 기업의 수를 고려하여 은행업(銀行業)과 투자금융업(投資金融業)을 선정하고 이들 업종에 속한 37개 회사들에 대한 운영효율성(運營效率性)을 측정한다. 투입요소로 직원의 수와 영업비용을, 그리고 산출요소로 영업수익과 경상이 익을 선정하고, 3년간의 자료를 사용하여 실증분석을 한다. 분석의 결과에 의하면, 18개 전체 은행의 평균적인 효율성의 정도는 가장 효율적인 은행을 기준으로 할 때, 약 85% 수준에 그치고 있어서, 나머지 대부분의 은행들 특히 대규모 시중은행들의 경영상의 개선의 여지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5대 시중은행들간에는 효율성의 차이가 거의 없는 반면, 지방은행들간에는 매우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영업지역의 제한으로 인하여 지역경제 규모가 은행의 수지상황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반영하고 있다. 29개 단자회사를 대상으로 한 투자금융업의 경우에도 은행업의 경우와 동일하게 낮은 효율성과 지역간 격차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 PDF

노인요양시설 사례관리자가 인지하는 조직 내 의사소통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Satisfaction of the Case Managers on Service Quality in the Long-term Care Institutions)

  • 김은경;최영
    • 한국노년학
    • /
    • 제36권4호
    • /
    • pp.1025-1036
    • /
    • 2016
  •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의 사례관리자가 인지하는 조직 내 의사소통 만족과 서비스 질과의 관련성을 규명함으로써 사례관리에 있어 다양한 전문가로 구성된 팀원들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이 양질의 서비스의 전제조건임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와 경기도의 30인 이상 규모의 48개 법인시설에 종사하는 사례관리자 10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기술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두 변인간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사례관리자가 인지하는 조직 내 의사소통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제공하는 서비스의 질이 높은 것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례관리팀내의 의사소통을 원활히 하기 위한 방안과 다양한 사례관리모델 중 노인요양기관에서는'팀접근'모델이 보다 적합할 수 있음을 제언하였다.

콜라겐 및 실크 피브로인/콜라겐 블렌드 나노섬유의 제조 및 특성분석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ollagen and Collagen/Silk Fibroin Blend Nanofibers)

  • 정임;박원호;민병무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1-33
    • /
    • 2003
  • 실크 피브로인은 대표적인 섬유상 단백질의 하나로 생체적합성, 생분해성, 저독성 등의 유용한 특성을 가지므로 생체재료로 상당한 관심과 연구의 대상이 되어 왔다. 콜라겐 또한 우수한 생체적합성과 생분해성을 가지고 있어 유용한 생채재료로서 조직배양용 지지체나 창상피복재와 같은 의료용 분야에 적절하게 응용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실험에서는 1,1,1,3,3,3-Hexafluoro-2-propanol (HFIP)을 공용매로 하여 실크 피브로인/HFIP 용액과 콜라겐/HFIP 용액을 각각 제조하여, 이들 용액을 75/25, 50/50, 25/75의 비율로 혼합하여 방사용액을 제조하고, 이 용액을 전기방사법으로 방사하여 실크 피브로인/콜라겐 블렌드 나노섬유를 얻었다. (중략)

  • PDF

콩미세분말로 제조된 두유 및 전두부의 물성 (Rheological Properties of Soymilk and Curd Prepared with Micronized Full-fat Soyflour)

  • 심재진;서지현;소한섭;유병승;이삼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75-81
    • /
    • 2003
  • 전지활성 생대두미세분말(micronized full-fat soyflour, MFS)로부터 제조된 두유는 의가소성 의 비뉴턴성 유체로서, 고형분 증가와 응고제의 첨가 및 가열에 따라 점도가 증가하였다. MFS용액은 열처리에 따른 점도가 급격하게 증가되는 시점의 온도는 응고제의 첨가 및 단백질의 함량이 증가함에따라 낮아졌다 충진형 전두부제조에 적합한 응고제는 가열된 MFS용액에 응고제 첨가 후 MFS용액의 점도를 완만하게 변화시키는 GDL, MgSO$_4$가 적 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두부용 응고제는 0.1% salt, 0.1% GDL, 0.2% MgSO$_4$ㆍ7$H_2O$로 조제되었다. 고형분과 물의 비율이 1 : 6.0인 MFS60용액을 121$^{\circ}C$에서 3분간 가열하여 응고제를 첨가하여 제조된 전두부는 견고성과 깨짐성이 양호한 조직감을 나타내었으며, 여기에 SPI를 첨가하여 총단백질이 7.1%인 MFSS60용액으로 제조된 전두부의 경도와 깨짐성(brittleness)은 각각 120 g, 176 g으로 조직감이 개선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