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터넷 보안

Search Result 3,006,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인터넷 사이트 보안 정책

  • 박진섭
    •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2 no.1
    • /
    • pp.67-82
    • /
    • 1998
  • 본 고에서는 인터넷 공동체 안에서 보안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에 대하여 시스템과 네트워크 관리자가 구축해야 할 인터넷 보안정책에 관한 보안정책의 개념, 보안목표의 설정, 보안정책의 구축단계 등을 다룬다. 특히 인터넷 사이트 보안정책에서 다루어야 할 영역과 방화벽 보안정책을 중심으로 서술한다.

  • PDF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하드웨어 보안

  • Ji, JangHyun;Park, Woojung;Moon, Jaegeun
    • Review of KIISC
    • /
    • v.32 no.2
    • /
    • pp.51-58
    • /
    • 2022
  • 최근 많은 사물들의 센싱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수집하고 가공 및 분석하는 사물인터넷 (Internet of Things, IoT)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2021년 기준 전세계 사물인터넷디바이스 수는 123억개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수는 무서운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는 대체로 전력 및 비용의 문제로 저사양 디바이스를 사용하고 있고 다양한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는 만큼 다양한 보안 취약성을 가지고 있다. 기존 IT 분야의 네트워크, 플랫폼, 서비스에서의 취약성은 모두 가지고 있으며,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자원 제약성으로 인한 보안 결여 다양한 공격루트를 통한 공격자의 쉬운 접근 가능성으로 많은 보안 취약성과 높은 공격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물인터넷 하드웨어 보안 관점에서 살펴보고, 최근 오픈소스 하드웨어로 각광받고 있는 RISC-V를 활용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보안 적용 방안을 보도록 한다.

초연결 환경에서 보안위협 대응을 위한 사물인터넷(IoT) 보안 기술 연구

  • Kim, Jeong-Nyeo;Jin, Seung-Heo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4 no.3
    • /
    • pp.57-64
    • /
    • 2017
  • 각종 사물에 네트워크 기능이 탑재되어 초연결 통신으로 연결되는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기술이 급속히 확산됨에 따라, 최근에는 그 사물 자체가 지능화되어 지능형 스마트 사물로 진화하고 있다. 기기들이 자신을 구별할 수 있는 유일한 IP를 보유하면서 사물인터넷에 연결되어, 모든 기기가 해킹의 대상이 될 수 있어 보안적인 측면에서도 취약하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최근들어 급증하는 초연결 네트워크 환경과 사물인터넷에 대하여 알아보고, 초연결 환경에서 보안 위협에 대응하는 사물인터넷 보안 기술에 대한 연구와 표준화 동향, 그리고 사물인터넷 보안 위협에 대응하는 보안 기술의 방향을 알아본다.

Design of a Security System on the Next Generation Internet Server (차세대 인터넷 서버의 보안 시스템 설계)

  • Kim, Kang-Ho;Ahn, Chang-Won;Jung, Sung-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11b
    • /
    • pp.1045-1048
    • /
    • 2003
  • 최근 인터넷 환경이 널리 퍼지면서 인터넷 서버들의 보안위협은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인터넷 서버의 보안 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기관들은 정보보호 솔루션인 방화벽, 침입탐지 시스템, 바이러스 백신, 보안운영체제 등을 도입하였으나 개별적인 보안 솔루션을 적용함으로써 관리 효율성이 떨어지고 보안 사고 위험은 증가하고 있다. 그래서 현재는 개별 보안 솔루션을 통합관리하는 ESM 을 도입하고 있다. 차세대인터넷 서버도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어서 해킹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기 때문에 차세대 인터넷 서버에 적합한 ESM 이 필요하다. 우리는 공개 소프트웨어 보안 도구를 조합하여 응용 프로세스 레벨에서 가볍고 기본 보안 기능을 충실히 갖춘 ESM 을 설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그 ESM 의 설계 내용을 중심으로 자세히 소개하고, 현재까지 구현된 결과도 간략히 소개한다.

  • PDF

SIOT: Secure Gateway for Internet of Things

  • Kim, Yeon-Geun;Go, Yeong-Hwan;Kim, Min-Su;Jang, Jin-Su;Bae, Sang-Uk;No, Ju-Hwan;Gang, Byeong-Hun;Park, Gyeong-Su;Kim, Yong-Dae;Sin, Seung-Wo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4 no.3
    • /
    • pp.80-89
    • /
    • 2017
  • 오늘날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은 급속도로 발전하며 인간 생활 곳곳에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다. 이들은 대부분 개인 정보 등의 민감한 데이터들을 다루기 때문에 사물 인터넷 환경에 대한 강력한 보안을 필요로 하지만, 현재 사물 인터넷 환경은 비정상적 접근을 허용하거나 업데이트를 통한 펌웨어 변조 등의 많은 보안 취약점들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사물 인터넷 환경이 가지는 보안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이들을 해결하기 위해 딥 러닝 기반의 이상 탐지, 로그 위/변조 탐지, 기기 무결성 검증 등의 다양한 보안 기법들이 집약된 보안 게이트웨이인 SIOT를 제안한다. SIOT는 저성능의 사물 인터넷 기기들이 충분한 보안 기능들을 탑재할 수 없음에 주목하여 다수의 보안 기능들을 효율적으로 통합하여 제공하는 새로운 사물 인터넷 보안 프레임워크로써, 지속되는 사물 인터넷 보안 연구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 융합 보안 기술 연구방안

  • Choe, Jong-Seok;Park, Jong-Gyu;Kim, Ho-Wo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4 no.3
    • /
    • pp.65-73
    • /
    • 2017
  • 사물인터넷 기술이 발전하면서, 데이터 및 소프트웨어 보안에 대한 이슈가 발생하고 있다. 사물인터넷은 다수의 이기종 디바이스와 플랫폼을 포함하는 환경으로 다양한 공격기술을 시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공격기술은 급속도로 변화하고 있다. 반면에 보안기술은 이러한 공격기술의 발전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으며, 특히 개인정보유출의 문제는 아주 큰 이슈가 되었다. 급격하게 발전하는 공격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지능형 알고리즘을 이용한 보안기술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딥러닝 기반의 보안기술 및 사물인터넷 기술 동향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딥러닝 기반의 보안 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연구 방안을 제시한다.

Trends in Trustworthy Communication for the Next-Generation (차세대 신뢰통신 연구동향)

  • Kim, T.H.;Hong, J.H.;Jung, H.Y.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0 no.4
    • /
    • pp.129-139
    • /
    • 2015
  • 현재의 인터넷은 40여 년 전에 신뢰할 수 있는 호스트 간의 통신을 기반으로 설계되어 식별성(Identity)과 기밀성(Privacy)등의 보안성에 대한 특별한 요구사항이 없었다. 추후 인터넷이 전 세계적으로 확장함에 따라 신뢰할 수 없는 호스트가 통신에 참여하게 되었고 이에 대한 보안 요구사항이 새롭게 등장하였다. 이러한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한 인터넷의 보안 기술은 키(Key)에 매우 의존적으로 발전하여 현재 모든 인증 관련 기술과 보안 기술들은 공개키 기반 구조(Public Key Infrastructure: PKI)와 같이 키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 동향은 미래인터넷의 보안 연구에서도 여전히 반영되어 미국에서 진행 중인 eXpressive Internet Architecture(XIA)나 다른 미래 인터넷 프로젝트에서도 키 기반의 보안기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모든 통신을 의심하고 이를 감시하기 위한 기존의 인터넷 보안 기술과 달리 미래인터넷 보안 연구는 상호 신뢰를 기반으로 네트워크에 대한 공격 자체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신뢰통신(Trustworthy communication)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새로운 연구 결과가 등장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차세대 보안연구 분야인 신뢰통신의 연구동향과 성과를 소개하고 장단점을 분석한다. 특히 미래인터넷의 신뢰통신 연구 중 대중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공개키를 이용한 자가인증(Self-certifying)과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공개키 검증 시스템 연구 및 신뢰경로 구축 연구를 중심으로 미래인터넷의 신뢰통신 연구가 진행된 과정을 중점적으로 소개한다.

  • PDF

A Design of Technology Element-based Evaluation Model and its Application on Checklist for the IoT Device Security Evaluation (사물인터넷 기기 보안평가를 위한 기술요소 기반의 모델 설계 및 체크리스트 적용)

  • Han, Seul Ki;Kim, Myuhng Joo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 /
    • v.18 no.2
    • /
    • pp.49-58
    • /
    • 2018
  • As the demand for Internet of Things(IoT) increases, the need for the security of IoT devices is increasing steadily.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conventional security theory to IoT devices because IoT devices are subject to be constrained by some factors such as hardware, processor, and energy. Nowadays we have several security guidelines and related documents on IoT device. Most of them, however, do not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specific IoT devices. Since they describes the security issues comprehensively, it is not easy to explain the specific security level reflecting each characteristics of IoT devices. In addition, most existing guidelines and related documents are described in view of developers and service proposers, and thus ordinary users are not able to assess whether a specific IoT device can protect their information securely or not. We propose an security evaluation model, based on the existing guidelines and related documents, for more specific IoT devices and prove that this approach is more convenient to ordinary users by creating checklists for the smart watch.

  • PDF

ISP Network's Vulnerabilities and Security Issues (ISP 망의 취약성 및 보안 이슈)

  • 이승민;남택용;손승원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3.07a
    • /
    • pp.497-500
    • /
    • 2003
  • 최근의 인터넷을 통한 사이버 공격 유형은 시스템 위주의 공격에서 네트워크 공격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망을 소유하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ISP 관점의 보안이 중요한 변수로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1.25 인터넷 대란과 같은 국가차원의 사태 재발 방지를 위하여 현재 인터넷망의 취약성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보안 해결책으로서 보안 시스템의 성능, 기능 관점의 보안 이슈와 서비스 관점에서 보안 요구 사항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를 종합하여 네트워크 영역 관점에서 앞으로 중점적으로 다뤄야 할 보안 연구 분야를 제시하였다.

  • PDF

미래인터넷 보안 구조 설계 및 요구사항 연구

  • Jo, Mi-Yeong;Lee, Sang-Min;Kim, Gi-Cheo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9 no.3
    • /
    • pp.49-57
    • /
    • 2012
  • 미래인터넷은 현재 인터넷 구조의 한계성을 극복하고 미래의 새로운 요구사항을 수용하기 위해 설계 및 개발된 새로운 인터넷을 의미한다. 미래인터넷에서는 다양한 이종 네트워크가 공존하는 형태로 구성될 것으로 전망되며, 안전한 인터넷환경(보안), 자유로운 통신 환경(이동성, 이질성 극복)을 사용자에 게 제공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고에서는 미래인터넷 설계 시 필수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는 미래인터넷 보안 기술 구조를 설계함에 있어 사용자 또는 플랫폼 측면에서의 보안 구조 설계 및 요구사항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