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터넷 기반 학습

Search Result 926,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Physical Computing Learning Model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ducation (정보통신기술 교육을 위한 피지컬 컴퓨팅 학습모델)

  • Lee, Yong-Jin
    • Journal of Internet of Things and Convergence
    • /
    • v.2 no.3
    • /
    • pp.1-6
    • /
    • 2016
  • This paper aims to present the physical computing learning model applicable in teaching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for technology and engineering education. This model is based on the physical computing and deals with the information creation and information transfer in one framework, thus provides students with the total understanding and practice opportunity abou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he proposed learning models are classified into the client-server based model and the web based model. In the implemented learning model, the acquirement and control of information is performed by sketch on Arduino and the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is performed by the Python socket on Raspberry Pi well known as an education platform. Our proposed learning model can be used for teaching student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Internet of Things (IoT), which provides us with world wide control and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Implementation of Mobile Education Contents Based on J2ME (J2ME기반의 Mobile 교육 컨텐츠의 구현)

  • Park, Joong-Oh;Kim, Sang-Geun;Choi, Sung-W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04b
    • /
    • pp.1543-1546
    • /
    • 2002
  • 인터넷 사용이 보편화됨에 따라 컴퓨터뿐만 아니라, 휴대폰이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를 이용한 인터넷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다양한 학습방법의 개발과 제공은 사용자에게 알맞은 학습형태를 선택할 수 있는 폭을 더 넓혀줄 것이다. 모바일 학습은 이러한 요구 사항에 적합하고 시대적으로 필요하다. Web과 함께 모바일 인터넷 환경을 이용한 교육 컨텐츠 제공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인터넷 환경에서 모바일을 이용한 교육용 컨텐츠를 J2ME기반으로 구현하였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 Based Databank System for Craftsman Information Processing (웹 기반 정보처리 기능사 문제은행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김용호;김희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580-582
    • /
    • 2003
  • 정보화 시대의 요구에 대한 교육적 대응은 학습자 중심의 교육이며, 정보통신기술을 기반으로 한 원격교육이다. 특히 인터넷에서 가장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는 웹은 그 특성상 구성주의 학습 원리를 실현하는데 적절한 환경을 제공하고 있으며, 교육 시스템의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WBI(Web Based Instruction)는 웹을 매체로 활용하여 원거리에 있는 학습자를 교육시키는 형태로서 교수자와 학습자간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고 다양한 형태의 학습자료를 제공하며, 공간적 제약을 극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웹에 기반한 교육적 활용의 한 모델로서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이고 적극적인 학습을 촉진하기 위한 자기 주도적 학습이론과 학습자의 개인차를 고려한 수준별 학습이론을 적용하여 효율적인 웹 기반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이러한 학습이론을 웹에 기반한 정보처리 기능사 필기시험에 적용함으로써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현장의 비효율성과 기존의 문제은행 시스템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시험준비에 보다 효율적으로 대비하도록 설계 및 구현하였다.

  • PDF

Design of Efficient Educational System based on Ebbinghaus's Forgetting Curve (에빙하우스 망각 곡선 기반 효율적인 학습 시스템 설계)

  • Boon-Hee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11a
    • /
    • pp.1152-1153
    • /
    • 2008
  • 효율적인 학습 방법들을 도입한 교육용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어 있는 가운데, 사람의 뇌의 장기기억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교육용 시스템과 다양한 방향에서 적용하고 그 유효성을 밝히는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고 있다. 학생들에게 학습에 용이한 교육 시스템을 적용함에 있어 시간과 장소에 상관없이 접근이 용이하도록 인터넷과 연계된 시스템의 유용성은 이미 입증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웹기반 교육 시스템에서 장기기억이 용이하도록 학습 내용의 구성과 에빙하우스 망각 곡선에 기반한 효율적인 반복학습 시스템을 설계한다.

The Web Service based Learner Tailoring Adaptive E-Learning System using Item Difficulty (문항난이도를 이용한 웹 서비스 기반의 적응적 이러닝 시스템)

  • Jeong, Hwa-Young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10 no.3
    • /
    • pp.151-157
    • /
    • 2009
  • A lot of E-Learning system is supplying the existent item difficulty based learning information to learner. And learner is doing learning contents according to the fixed learning course. It is difficult for learner to get efficient learning effect. Because learner has to belong to fixed item difficulty and learning course even thought learner has different degree that understand studying in learning course. This research proposed the learner adaptive E-learning system that is able to control the item difficulty and learning course to analyze the understanding degree of learner in learning course. In this result, learner is able to improve learning effect to get rid of fixed learning course using bi-directed learning such as off-line learning.

  • PDF

A Study on Factors Associated with Effect of e-Learning (e-learning의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에 관한 연구)

  • Ryu Keun-Ho;Kim Byung-Cheol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5 no.2
    • /
    • pp.53-60
    • /
    • 2005
  • e-learning which is beyond time and space restrictions as a new education tool, has been practically used in many fields in order to support instrument or displacement for traditional education.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survey on the significance and the effect of e-learning to teachers who have experience in e-learning through the internet compared with effect of tradition education. Furthermore, we investigate variable factors affecting on effect of e-learning, the correlation of factors and coefficient of correlation between factors associated with effects of e-learning based on the results of our survey.

  • PDF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BL Environment Applied by the Messaging Component (메시징 컴포넌트를 적용한 웹 기반 학습 환경의 설계 및 구현)

  • Byun, Kil-Ho;Kim, Young-Tae;Im, Kyoung-Mi;Kim, Chi-S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0.10b
    • /
    • pp.1513-1516
    • /
    • 2000
  • 인터넷 사용자의 비약적인 증가와 발전에 따라 교육공학에 있어서도 구성주의를 기반으로 한 웹 기반 학습의 역할이 매우 중요한 하나의 교육 분야로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웹을 기반으로 한 수많은 학습 사이트가 등장하고 있으며, 이를 이론적으로 정립하기 위한 연구도 계속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구성주의 및 웹 기반 학습 이론에 충실하면서, 구조적이고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웹 기반 학습[WBL] 환경을 구현하기 위하여, 기존의 웹 기반 학습 사이트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각 모듈 사이에 유기적인 관계를 가지고 학습자의 학습을 관리해 줌으로써, 학습 효과를 최대한 높일 수 있는 웹 기반 학습 환경을 구현하였다. 또한 UML 방법론을 사용하여 재사용 가능한 메시징 컴포넌트를 구현 및 이용함으로써, 웹 환경에서 교사-학습자간, 학습자-학습자간의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할 수 있고, 다른 웹 기반 학습 사이트에서도 재사용 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based Courseware for Learning Boolean Algeba (불대수 학습을 위한 웹 기반 코스웨어의 설계와 구현)

  • 제경호;박만곤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193-197
    • /
    • 2000
  • 웹 기반 교육은 웹을 수단으로 하여 지식을 생성조직전파하는 새로운 교육방식이다. 웹이라는 거대한 정보기반과 인터넷이 제공하는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성은 교육에 활용한다면 기존의 면대면 교육에서 부족했던 점을 보완할 수있다. 독립형 컴퓨터를 기반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코스웨어는 많이 있으나 그것을 웹에 적용한 것은 아직까지 드물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웹 기반 교수-학습에 대하여 고찰한 다음 웹에서 실행되는 대수 학습을 위한 웹 기반 코스웨어의 설계 구현한후 평가하여 그 결과를 교육현장에 활용하고자 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Harmful Word Management Board for Web-based Instruction (웹 기반 수업을 위한 유해 단어 관리 게시판의 설계 및 구현)

  • Park, Ji Hyun;Kwak, Mira;Cho, Dong-sub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5 no.1
    • /
    • pp.109-115
    • /
    • 2002
  • Nowadays, Web-based bulletin board system is widely used for e-learning because of its effectiveness in communicating and information sharing. But harmful or irrelevant contents are frequently posted and these affect students in learning community based on Web-boards and the ill effect of Web-board is revealed. Some Web-boards provide features that allow users can filter specific words to resolve this problem but those features have shortcomings. Using these features the content that contains harmful words is always removed even if the whole meaning of it isn't harm and user who uses harmful words habitually cannot have an opportunity of having his/her bad habit be corrected. In this paper, we proposed new way of dealing with harmful words that overcomes those shortcomings.

  • PDF

Designing a data based school with Internet of Things (데이터 기반 학교 운영을 위한 사물인터넷(IoT) 활용 환경 설계)

  • Kye, Bo-kyung
    • The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
    • /
    • v.20 no.3
    • /
    • pp.25-32
    • /
    • 2021
  • This study analyzed the application articles of the Internet of Things (IoT)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t defined learning environmental data, utilization scenarios, and models that IoT can improve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for academic experts, teachers, and technicians in related fields. In addition, the IoT pilot prototype was developed, verified, and drew implic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collection, analysis, and utilization of real-time data based on the actual school setting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s a priori case of building and applying a learning environment using the Internet of Things in real school settings considering relevant restri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