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터넷 공격

Search Result 1,191, Processing Time 0.046 seconds

인터넷 뱅킹 보안을 위한 웹 공격의 탐지 및 분류

  • Park, Jae-Chul
    • Review of KIISC
    • /
    • v.18 no.5
    • /
    • pp.62-72
    • /
    • 2008
  • 인터넷 뱅킹은 인터넷을 통해 금융 업무를 처리하는 시스템으로, 시 공간적 제약이 없어 이용자가 크게 증가하고 있지만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웹 공격으로 인하여 많은 위협을 받고 있다. 인터넷 뱅킹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은행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처리 방법이 매우 다양하므로, 인터넷 뱅킹 시스템을 목표로 한 웹 공격을 탐지하기 위해서는 해당 인터넷 뱅킹 서비스의 특징을 반영할 수 있는 고유의 패턴을 생성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서열 정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인터넷 뱅킹 이용에 대한 정상 및 비정상 패턴을 자동으로 생성하여 웹 공격을 탐지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시한 방법의 성능 평가를 위하여, 모의 인터넷 뱅킹 프로그램을 설치한 후 정상적인 이용과 웹 공격을 시도한 자료를 구분하여 수집하고 유사도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제안된 기법이 오탐율이 낮고 탐지 성능 또한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전문가의 도움 없이 정상 패턴과 비정상 패턴을 생성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변형된 공격이나 새로운 공격을 차단하고 비정상 행위에 판단에 대한 근거를 제시할 수 있음을 보였다.

Attack Modeling for an Internet Security Simulation (인터넷 보안 시뮬레이션을 위한 공격 모델링)

  • Seo, Jung-Kuk;Choi, Kyung-Hee;Jung, Gi-Hyun;Park, Seung-Kyu;Sim, Jae-Hong
    • The KIPS Transactions:PartC
    • /
    • v.11C no.2
    • /
    • pp.183-192
    • /
    • 2004
  • As the use of the Internet has explosively increased, it is likely for the Internet to be exposed to various attacks. Modeling the Internet attacks is essential to simulate the attacks. However, the existing studies on attack modeling have mainly focused on classifying and categorizing the attacks and consequently they are not suitable to representing attack scenarios in the Internet security simulation.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existing methods of attack modeling, and propose an adapted attack modeling to properly express the properties for the Internet security simulator. The adapted attack modeling suggests a solution to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attack tree modelings, such as difficulty of composing complex scenarios ambiguity of attack sequence, lack of system state information. And it can represent simultaneous, precise time-dependent attack, and attack period, which are nearly impossible to be represented in many other existing methods.

Security Capsule Mechanism against the Probable Plaintext Attack of the IP Security Protocols (인터넷 보호 프로토콜에서 예상 평문공격에 대응한 보호 캡슐 메커니즘)

  • 최은수;김강욱;황찬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c
    • /
    • pp.339-341
    • /
    • 1999
  • 평문과 암호문 쌍에서 일부 예측할 수 있는 평문들을 이용하여 비밀키를 찾는 공격을 예상 평문 공격(probable plaintext attack)이라고 한다. 인터넷 보호 프로토콜은 각 헤더부분에서 예측할 수 있는 부분을 많이 가지고 있으므로 예상 평문 공격의 주요한 대상이 되고, 이러한 취약점은 현재 인터넷에서 상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DES(Data Encryption Standard)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보호 프로토콜에서 각 헤더의 예상평문 공격과 기존의 보호 체계에 대해서 기술하고 근본적인 예상 평문 공격에 대응하여 카오스 함수 난수 생성기를 이용한 보호 캡슐 메커니즈을 제안한다.

  • PDF

A Study on Attack Pattern and Analysis System against SIP Signaling Message-based DoS (SIP 호 설정 메시지기반 서비스 거부 공격패턴 및 분석시스템에 관한 연구)

  • Ha, Do-Yoon;Kim, Hwan-Kuk;Ko, Kyoung-Hee;Lee, Chang-Yong;Kim, Jeong-Wook;Jeong, Hyun-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653-654
    • /
    • 2009
  • 인터넷전화의 활성화와 더불어 SIP 프로토콜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 DDoS 공격이 주요위협으로 이슈가 되고 있으며, 향후 SIP관련 서비스 대상 서비스 거부 공격 위협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논문에서는 SIP 프로토콜의 특성을 이용한 SIP서비스 거부 공격들의 유형을 살펴보고, SIP 프로토콜의 특성을 이용한 서비스거부 공격 탐지를 위한 고려사항을 바탕으로 분석시스템 아키텍처를 제안한다. SIP서비스 거부공격의 유형은 분류 기준에 따라 다양할 수 있으나, 본 논문에서는 SIP 프로토콜의 특성을 이용한 공격 기법을 대상으로 한다. SIP서비스 거부 공격 트래픽 분석을 위해 정보수집, 정보분석, 정보관리 기능을 고려한다.

Security Framework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Malicious Process Control System (악성 프로세스 제어 시스템의 성능 향상을 위한 보안 프레임워크)

  • Kim, Iksu;Choi, Jongmyung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14 no.2
    • /
    • pp.61-71
    • /
    • 2013
  • Until now, there have been various studies against Internet worms. Most of intrusion detection and prevention systems against Internet worms use detection rules, but these systems cannot respond to new Internet worms. For this reason, a malicious process control system which uses the fact that Internet worms multicast malicious packets was proposed. However, the greater the number of servers to be protected increases the cost of the malicious process control system, and the probability of detecting Internet worms attacking only some predetermined IP addresses is low. This paper presents a security framework that can reduce the cost of the malicious process control system and increase the probability of detecting Internet worms attacking only some predetermined IP addresses. In the proposed security framework, virtual machines are used to reduce the cost of control servers and unused IP addresses are used to increase the probability of detecting Internet worms attacking only some predetermined IP addresses. Therefore the proposed security framework can effectively respond to a variety of new Internet worms at lower cost.

Economic Damage Model on Industries due to Internet Attack and A Case Study (인터넷 침해사고로 인한 기업의 경제적인 피해 산출 모델 및 케이스 연구)

  • Jang, Jong-Ho;Chung, Ki-Hyun;Choi, Kyung-Hee
    • The KIPS Transactions:PartC
    • /
    • v.15C no.3
    • /
    • pp.191-198
    • /
    • 2008
  • Because of the internet development, most of people can acquire the information freely. But it have the disadvantages. A remarkable thing among the disadvantages is the internet attack. Internet attacks were given damages to several fields. Specially, the damage is terrible to the economic side. Specially, company is susceptive to economic damage side. But it didn't execute a research about model that estimates damage to the economic side due to internet attacks. This paper presents a model that estimates the damage to economic side due to internet attacks.

인공지능과 사물인터넷 융합 보안 기술 연구방안

  • Choe, Jong-Seok;Park, Jong-Gyu;Kim, Ho-Wo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4 no.3
    • /
    • pp.65-73
    • /
    • 2017
  • 사물인터넷 기술이 발전하면서, 데이터 및 소프트웨어 보안에 대한 이슈가 발생하고 있다. 사물인터넷은 다수의 이기종 디바이스와 플랫폼을 포함하는 환경으로 다양한 공격기술을 시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공격기술은 급속도로 변화하고 있다. 반면에 보안기술은 이러한 공격기술의 발전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으며, 특히 개인정보유출의 문제는 아주 큰 이슈가 되었다. 급격하게 발전하는 공격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지능형 알고리즘을 이용한 보안기술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딥러닝 기반의 보안기술 및 사물인터넷 기술 동향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딥러닝 기반의 보안 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연구 방안을 제시한다.

A Method for Detecting Distributed Denial-of-Service Flooding Attacks using Entropy (엔트로피를 이용한 DDoS 공격 탐지 방법)

  • Jun, Jae-Hyun;Choi, Yong-Do;Yu, Zhibin;Cho, Jeong-Hyun;Kim, S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04a
    • /
    • pp.713-716
    • /
    • 2011
  • 인터넷 유저가 증가하면서 DDoS 공격은 인터넷 안정성에 매우 중요한 위협을 가하고 있다. 서비스 거부 공격이란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 필요한 컴퓨팅 및 통신 자원을 고갈시키는 공격으로 원천적으로 해결하기가 매우 힘든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터넷과 같은 대규모 망을 대상으로 한 네트워크 공격은 효과적인 탐지 방법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대규모 망에서 침입 탐지 시스템은 효율적인 실시간 탐지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DDoS 공격에 따른 비정상적인 트래픽 범람을 방지하고 합법적인 트래픽 전송을 보장하기 위하여 엔트로피기반의 DDoS 공격 대응 기법을 제안한다. OPNET을 이용해 구현한 결과 DDoS 공격중에 원활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Implementation of Attack Generation Test-Suite for Security System Testing (보안 시스템 테스트를 위한 공격 발생 테스트슈트 구현)

  • 김환국;서동일;이상호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Assura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51-55
    • /
    • 2004
  • Currently, internet is deeply rooted in everyday life and many things are performed using internet in real-world, increased internet user because convenience. But then, internet accident is on the increase rapid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testing system generate automatically various attack patterns and traffic. In this paper, we describe method of design and implementation about AGT(attack generation test suite : simulator) system which generate various attack patterns using multiple agents.

  • PDF

정보통신 인프라 침해사고현황 및 대응체계

  • Kim, U-Han;Choe, Jung-Seop;Hong, Gwan-Hui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1 no.9
    • /
    • pp.38-47
    • /
    • 2004
  • 최근의 인터넷침해사고는 개별시스템에 대한 침입이나 바이러스 등에 의한 파일의 변조 등 개별적인 시스템에 대한 공격보다는 인터넷 기반 등에 대한 직·간접적인 공격으로 진화하였다. 이와 같은 공격의 변화에 따라 인터넷 기반에 공격의 의한 피해가 발생할 경우 막대한 경제적 피해는 물론이고 사회적인 충격 또한 클 것으로 예측된다. 인터넷침해사고대응지원센터는 이와 같은 인터넷 침해사고를 신속히 탐지하고 대응하기 위한 능동적인 정보수집 및 대응체계를 구축하였다. 인터넷침해사고대응체계는 침해사고관련정보 수집, 인터넷의 상황 분석, 상황 전파 및 대응, 복구의 4단계로 구성된다. 이러한 대응체계 구축을 통해 이전에 확인할 수 없었던 인터넷 상황에 대한 정확한 측정 데이터를 확보하고 신속한 침해사고탐지 및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