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체 영향

Search Result 1,811,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Trend of Researches for Human Effects of Electromagnetic Fields (전자파 인체영향 연구동향)

  • Kwon, J.H.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1 no.3
    • /
    • pp.42-49
    • /
    • 2016
  • 전자파 인체영향 관련 다양한 연구들이 유럽은 물론 미국, 일본, 중국 등 기술 선진국을 중심으로 전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특히, 유럽에서는 FP7 RTD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국가 간 혹은 관련 산업 간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1990년대부터 전자파에 의한 인체영향과 관련된 다양한 프로젝트가 수행되었으며 현재도 다양한 주제의 프로젝트들이 수행 중이다. 본고에서는 유럽을 중심으로 진행 중인 전자파 인체영향 관련 프로젝트, 즉 휴대전화 전자파와 인체영향에 대해 연구를 수행하는 Interphone Study, Mobi-Kids Study, 그리고 Mobi-Kids 연구결과 및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일반인에 대해 누적되고 종합적인 전자파 영향 연구를 수행하는 GERoNiMO 프로젝트, 그리고 노출량 저감 관련 LEXNET 프로젝트에 대해 소개하였다.

  • PDF

Effect of Low Frequency Vibration on Human and Its Application (저주파수 진동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과 응용(ISO 2631-3 내용을 중심으로))

  • 장한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1.05a
    • /
    • pp.823-827
    • /
    • 2001
  • 인체에 영향을 미치는 진동을 분류하는데 가장 중요한 기준은 주파수이다. ISO의 인체진동관련 규격에서는 인체에 영향을 미치는 거동을 저주파수 운동(0.63Hz이하)과 진동(1~80Hz)으로 나누고 있다[1]. ISO 2631에서는 주파수별로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그림1과 같이 가중치로 정의하여 제시하고 있다. 저주파수 영역의 운동은 외부 거동(주로 수평방향)에 대하여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 힘Tm게 되므로 물리적인 피로감을 줄 뿐만 아니라 'Motion sickness'란 증상을 유발한다.(중략)

  • PDF

investigation on Human Effects of Vibration and Noise Exposed on Human: II. Human Noise (인체 진동 소음의 인체 영향에 대한 국외 기술 조사: 인체 소음)

  • 권휴상;정완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1.11b
    • /
    • pp.687-690
    • /
    • 2001
  • 환경문제로써 소음에 대한 민원이 증가하고 관심이 커지면서 소음에 의한 인체의 영향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한 국내의 연구가 미미하고 산업보건의 관점에서 다루어져 왔기 때문에 먼저 국외 기술조사를 바탕으로 연구의 동향을 파악한다. 환경요인으로써 인체 영향 소음을 정의하는 인자로 어노이언스(annoyance)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소음레벨과 관련하여 다양한 정량화 모델이 제시되고 있다. 소음이 의한 인체의 손상에 대해서는 많은 가능성과 연관성이 제시되고 있지만 그 발생 메커니즘은 아직 구체적으로 밝혀지지는 않았다. 보고서들01 의하면 장기간의 소음 노출에 의해서 다양한 건강 손꼴이 나타나며 안락감의 파괴로부터 시작하여 만성적인 질환으로 발전한다고 추정한다.

  • PDF

진동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 이상태
    • Journal of KSNVE
    • /
    • v.2 no.4
    • /
    • pp.253-258
    • /
    • 1992
  • 인체에 진동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대략적으로 기술하였는데, 아직 이 분야 는 한국에서 많이 개발되어 있지 않음을 느낀다. 멀지 않은 미래에는 아침은 서울에 서 점심은 미국에서 먹을 수 있는 비행기가 나온다 하고, 길도 없는 들에서 75km/h 이상의 속도를 갖은 탱크는 이미 사용되고 있다. 문제는 이러한 기계들의 제작에 의한 한계가 아니라 이러한 기계에 들어가서 견뎌야할 인간의 한계에 의한 기계제작의 한계가 오리라 생각된다. 인간의 진동에 대한 심리적 영향과 초음파나 초 저음파의 영향, 소음형태의 진동에 대한 영향, 등이 좀 더 많이 연구되어야 한다는 생각이다. 아울러 진동을 부정적인 방향으로만 생각하여 이제까지는 진동의 방지나 인체에 미치는 해를 주로 연구하여 왔으나 긍정적 이용에도 눈을 돌려 인체에 미치는 유익 한 영향과 유익한 진동의 발생도 연구되어야 할 때가 아니가 생각한다.

  • PDF

휴대폰 단말기 관련 국제규격 연구 동향

  • Kim, Nam
    • The Proceeding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8 no.2
    • /
    • pp.12-21
    • /
    • 1997
  • 무선의 자원을 사용하는 통신장비들의 급속한 보급으로 인체가 RF에 노출될 때의 영향에 관심이 고조되고 있고, 이동 전화기의 인체영향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국제적인 인체영향 규제치와 규정근거 및 측정방법에 대한 이론적 전개가 활발히 진행되고 요구된다. 특히, 이중에서도 셀룰라 전화기에서 발생하는 RF의 인체영향에 대한 역학적 또는 암 발생에 관한 국 제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셀룰라 전화기와 심장박동기의 간섭에 대하여 알아본다.

  • PDF

ELF 전자계의 인체 유해성

  • 김석주
    • 전기의세계
    • /
    • v.41 no.7
    • /
    • pp.4-12
    • /
    • 1992
  • ELF 전계 및 자계의 인체 유해성 문제는 서로 상반된 결과가 도출된 경우가 많기때문에 아직 이렇다할 결론을 내리기가 어려운 상태이다. 그것은 첫째 인체영향을 나타내는 메카니즘이 상당히 복잡하고 둘째 전자계 노출과 그 영향과의 관계가 노출량과 같은 한개만의 매개 변수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이 아니고 여러가지의 매개 변수에 의해서 좌우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혹자는 ELF 전자계가 인체에 유해하다고 할지라도 우리가 처해있는 일상 생활에서의 다른 위험보다는 적을 것이라고 주장하지만 전자계는 도처에 존재하므로 미소한 영향이라 하더라도 국민보건차원에서는 심각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 분야의 연구는 WHO를 비롯해서 모든 나라가 더 많은 연구를 해야 한다고 하고 있다.

  • PDF

인체보호기준에 대한 각국의 동향

  • 백정기
    • The Proceeding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8 no.2
    • /
    • pp.2-11
    • /
    • 1997
  • 최근 국내에서도 전자파의 인체 영향에 대해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전자파(또는 전자계)와 인체와의 기본적인 상호작용 메카니즘, 인체보호기준 설정시 고려되는 일반적인 사항, 인체의 노출 기준치에 대한 이론적인 근거에 대해 살펴보고, 미국, 유럽, 일본, 국제방사선 보호협회 등 서구권 주요국 및 주요 기관의 인체보호기준을 비교, 분석하였다.

  • PDF

Subjective Estimation of Comfort of a Seated Human Body due to the Vertical Vibrations (인체진동의 주관적평가에 관한 연구)

  • ;Griffin, Michael J.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8.04a
    • /
    • pp.69-74
    • /
    • 1998
  • 차량에서 인체가 노출되는 진동환경으로서 좌석과 바닥에서의 진동사이에 위상차가 존재하는 경우에 대한 인체의 반응을 주관평가 실험을 통해 분석하였다. 인체가 진동에 민감하게 반응할 뿐만 아니라 인체와 좌석으로 구성되는 진동시스템의 공진주파수와 관련된 2.5, 3.15, 4, 5, 6.3 Hz의 주파수에서, 진동의 크기를 각각 0.25, 0.4, 0.63, 1.0, 1.6m/s$^{2}$로 변화시켜 가며 위상차가 인체의 안락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였다. 두 진동간의 위상차는 진동량이 적을수록, 또 주파수가 낮을수록 인체의 안락성에 악영향을 미쳤다. 진동의 진폭이 0.25m/s$^{2}$ 일 때 위상차가 180.deg.인 경우의 불편함은 0.deg.인 경우보다 2.5배 정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현가장치가 장착된 의자의 경우에는 좌석과 바닥진동의 위상차이가 안락성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파악하여 인체-좌석 시스템의 공진주파수를 선정해야 함을 알 수 있다.

  • PDF

Study of Channel Model Characterization of Human Internal Organ in On-Body System at 2.45 GHz (2.45 GHz On-Body 시스템에서 인체 내부 장기에 따른 채널 모델 특징 연구)

  • Jeon, Jaesung;Choi, Jaehoon;Kim, Sunwoo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25 no.1
    • /
    • pp.62-69
    • /
    • 2014
  • In this paper, WBAN(Wireless Body Area Network) On-body system using the surface-oriented antenna about the impact of human internal organs were analyzed through experiments.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s measured for effect of human using the human model and the phantom of torso. Experiments are performed in anechoic chamber without moving and measured by Vector Network Analyzer. This paper confirms the effect of human body by comparing the human model and the phantom of torso. And also know the human internal organs effect on the antennas loss of received signal strength by measured data.

Measurements of Temperature Distribution on Human Body Surface using Multi-Channel Skin Temperature Sensors (다채널 피부온 센서를 이용한 인체표면 온도분포의 측정)

  • 한화택;김민규;박명규;이성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2.05a
    • /
    • pp.205-209
    • /
    • 2002
  • 인체의 피부온도는 쾌적성과 감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며 의류의 개발이나 건축환경의 설계 등에 활용되고 있다. 단순히 몇몇 측정점에서의 피부온도 데이터가 아니라 인체표면에 걸친 온도분포를 파악함으로써 다양한 정보를 이용하여 보다 광범위한 응용분야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인체표면의 온도분포를 측정하기 위하여 대부분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를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열화상 카메라는 서미스터 등을 이용한 피부온 센서에 비하여 온도분해능이 떨어지며 특히 의복내의 피부온을 측정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노출된 인체표면에 대해서만 측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피부온 센서를 이용한 인체표면 온도분포 측정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하여 각 센서의 위치와 간격, 그리고 인체 곡면을 따라서 보간법에 따라 온도분포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적외선 화상 결과와 비교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