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인체생리반응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28초

비타민 E 섬유가 인체생리 반응에 미치는 영향

  • 임순;정명희
    • 복식문화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복식문화학회 2004년도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 /
    • pp.87-88
    • /
    • 2004
  • 본 연구는 피부의 노화방지 및 미백 효과에 탁월한 비타민 E를 섬유에 부착시켜 인체에 미치는 생리적 반응을 보기 위하여 온열감, 습윤감, 쾌적감의 주관적 감각평가와 심박수, 피부온, 의복내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였다. 연구방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은 온도 30±1℃, 상대습도 50±15%, 기류 0.2m/s 이하로 설정된 인공기수실에서 실시하였다. 피험자는 평균연령 21세의 건강한 성인여자 5명으로, 체중, 신장 및 체표면적의 평균치는 52.2㎏, 161.2cm 및 155㎡이다. (중략)

  • PDF

강우환경 하에서의 스포츠웨어 착용시 인체생리반응 및 쾌적감 (The study on the physiological response and comfort in wearing sportswear in Raniy environments)

  • 권오경;김진아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94-199
    • /
    • 2001
  • 쾌적한 스포츠웨어는 기능성에 있어서 자연환경의 변화조건과 인체의 운동 및 활동에 맞추어 열절달 및 수분전달 등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반환경조건 및 강우환경조건하에서의 형상기억 투습방수직물 소재의 스포츠웨어 착용에 따른 인체생리반응 및 쾌적감을 규명하기 위하여 스포츠웨어를 제작하여, 인공기후실에서 환경조건변화에 따른 온열생리학적 특성 및 주관적 감각을 측정, 그 특성을 비교, 고찰하였다. 평균피부온은 강우환경조건에서 온도가 낮게, 변동폭이 많게 나타났다. 변화경향을 운동부하를 기점으로 온도의 상승이 나타났고, 운동 2단계에 가장 높은 온도를 나타냈으며, 이후 감소하였다. 직장온은 일반환경조건에 비해 강우환경조건에서 온도의 미세한 상승을 보였다. 의복내 기후는 두 조건 모두에서 가슴부위보다 등부위의 온·습도의 변동폭이 크게 나타났고, 강우환경조건에서의 의복내 온도를 제외하고는 모두 등부위의 온·습도가 높게 나타났다. 최고 혈압은 운동의 강도에 따라 비례하여 상승하고, 최저 혈압에는 큰 영향없이 나타났으며, 변화경향은 의복내 온도의 경향과 역으로 나타났다. 평균혈압은 일반환경조건에서 6.9mmHg 높게 나타났다. 심박수는 일반환경조건에서 4.4beats/min 높게 나타났다. 강우환경조건의 주관적 감각의 평가에서, 신체에 직접 가해지는 빗물 등으로 인해 불쾌감이 증가하였고, 운동 후에는 일반환경조건과 달리 냉감이 증가하였으며, 습윤감은 최고치에 달하였다.

  • PDF

한랭환경하에서 인체의 국소가온 자극이 온열생리.감각반응에 미치는 영향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Thermal Responses to Local Heating of the Human Body in a Cold Environment)

  • Shin, Jounghwa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5권10호
    • /
    • pp.1745-1753
    • /
    • 2001
  • 본 연구는 한랭 환경 하에서의 인체의 국소 가온 자극이 생리, 감각반응에 끼치는 영향을 검토했다. 건강한 성인여자 7명을 대상으로, 기온 $25^{\circ}C$, 습도50%의 환경 하에서 균일한 국소 가온을 부하 했을 때 피부온, 고막온, 손가락, 발가락 혈류량, 온냉감, 쾌적감의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국소가온에 의해 가온 부위 피부온은 유의하게 상승하고 가온 부위에 따라 상승도에는 유의한 차가 보였다. 2) 국소가온에 의해 고막온은 머리의 가온 시에 높은 상승, 전완의 가온 시에 상승하고, 다른 가온 부위에서는 하강의 경향이 보였다. 3) 국소가온에 의해 혈류량의 변화는 3개의 군으로 분류된다. 가온과 함께 손가락 혈류량이 증가하는 군, 발가락 혈류량이 변화하는 군, 양쪽의 혈류량이 적게 변화하는 군으로 나누어진다. 이것을 각 피험자의 평균 피부온 수준 즉 체온조절 수준과 관계 있는 것으로 논할 수 있다 4)국소 가온에 의해 각 부 위 피부온으로의 파급효과는 머리, 상완의 가온 시에 크지만 대퇴, 하퇴 다리의 가온 시에는 대부분의 부위에서 영향이 보이지는 않았다. 5) 이와 같이 국소 가온에 의 한 생리, 감각반응은 가온 부위에 따라 다르고 머리, 상완의 가온 시에는 생리반응이 크고 하퇴, 다리의 가온시에는 국소의 감각변화가 컸다.

  • PDF

각 환경기온하에서의 성인남자 피부온에 관한 연구

  • 심부자
    • 대한인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인간공학회 1996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250-251
    • /
    • 1996
  • 인간의 온열환경에 대한 적응은 인간-의복-환경 System사이의 산열과 방열의 열교 환을 통해 보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항체온 조절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인체와 의 관계와의 열교환은 주로 피부표면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피부온은 외계로의 방열을 예측 하여 인간의 체온조절반응을 나타내며, 온열감각을 좌우하는 인자로 의복의 온열생리, 의 복의 보온력, 쾌적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생리적인 지표가 되어 착의의 적부를 검토하는 데 의미를 지니면서 의복설게의 기초가 된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의 기후 및 변화된 온열환경에 적응된 인체의 각 환경기온하에서의 피부온을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장시간의 노출에 의한 변동을 파악하여 쾌적 착의의 관점에서 인체와 환경사이에 존재하는 의복에 있어서 설계의 기초가 되는 피부온의 의의를 재검토함을 목적으로 한다.

  • PDF

천장복사난방이 인체에 미치는 쾌적성 평가에 관한 연구 (Evaluation of Thermal Comfort in Ceiling Heating System)

  • 이주연;이소다노리오;조관식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4-108
    • /
    • 2001
  • 복사에 의한 냉난방은, 장시간 재실하는 방이나 소음, 기류에 민감한 장소에 적합하고 에너지 절약면에서도 유효한 냉난방 방식이라고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바닥난방은 실온의 수직분포가 균일함으로서 인체에 쾌적한 난방방식으로 알려져 있다. 이것에 비해, 바닥의외의 벽, 천장을 활용한 냉난방설비의 쾌적성에 대해서는 아직 충분히 검토되고 잇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물순환식 복사 냉난방장치를 이용하여 겨울철의 천장복사난방이 인체에 미치는 생리적, 심리적영향을 밝히고 복사난방의 유용성에 대해서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험은 일본 나라여자대학 인공기후실을 이용하였고, 실험조건은 실온 18$^{\circ}C$, 21$^{\circ}C$, 24$^{\circ}C$ 천장온도 $25^{\circ}C$, 3$0^{\circ}C$, 35$^{\circ}C$의 조건을 조합하여 7조건으로 설정하였다. 또, 상대 습도 40%, 기류속도 0.1m/s 이하로 일정하게 유지시켰다. 생리적반응으로는 피부온14점과 직장온을 30초 간격으로 측정하였고, 혈압, 심박수, 체중, 체지방율을 측정하고 심리적반응으로는 온열감, 쾌적감등의 항목을 10분간격으로 측정하였다.

  • PDF

머리 냉각시의 인체생리반응 - 안전모 착용을 중심으로 - (Physiological Responses of Wearing Safety Helmet with Cooling Pack in Hot Environment)

  • 최정화;박준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955-965
    • /
    • 2007
  • 안전모는 다양한 산업현장에서 머리 보호를 위해 착용되는 보호구로 법적으로도 착용이 의무화되어있다. 그러나, 안전모 착용에 따른 불쾌감 및 생리적 부담은 작업자들이 착용을 꺼려하는 주된 원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안전모에 냉매팩을 삽입하는 방법을 제안하였고, 동시에 냉매팩 삽입으로 인한 안전모의 무게 증가가 인체생리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WBGT $33{\pm}1^{\circ}C$의 환경에서 인체착용평가 방법을 이용하여, 4가지 실험조건으로 안전모 착용시의 인체 생리반응을 조사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안전모만 착용 시(OH)와 안전모 미착용시(NH)를 비교해 보면, 안전모 착용 시에 평균피부온, 직장온, 심박수, 발한량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 주관적인 감각에서도 더 덥고, 더 습하며, 불쾌하고 주관적으로도 힘들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냉매팩 삽입시의 경우(HA, HB), 냉매팩의 종류에 따라 여러 인체생리반응에 차이를 보였으나, 안전모만 착용한 경우(OH)와 비교 시 안전모내 기후, 발한량, 직장온 상승도, 열저장(heat storage) 등이 더 낮았다. 한서감과 쾌적감에서는 냉매팩 종류에 따라 다른 경향을 보였다. 본 결과를 통해 안전모 착용시의 생리적, 주관적 부담 정도를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으며, 안전모에 냉매팩을 삽입하는 방법을 서열 스트레스를 경감시키는 하나의 방법으로 제시할 수 있었다. 추후 연구에서는 냉매팩의 무게, 피복면적, 성분 등을 고려해야 할 것이며, 본 결과가 서열 환경에서 안전모를 착용하고 작업하는 여러 산업 근로자에게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조선업 작업환경을 고려한 용접 보호복 착의시 인체생리반응 (Physiological Responses of Wearing Protective Welding Clothing Considering the Work Environment of the Shipbuilding Industry)

  • 김민영;배현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35-245
    • /
    • 2013
  • Physiological responses and subjective sensations were evaluated for wearing protective welding clothing in consideration of the work environment for the shipbuilding industry. Experimental clothing was made of oxidant carbon nonwoven fabric (SW2) and oxidant carbon/p-aramid blended fabric (SW4). The values of all items in physiological responses were higher upon wearing oxidant carbon experimental clothing versus wearing oxidant carbon/p-aramid experimental clothing (p<.001). The results of the wearing evaluation in the welding work on-site showed that existing leather protective clothing had a very low satisfaction of permeability, weight sensation and wearing sensation. For the wearing sensation of experimental clothing with SW2, permeability and durability were poor and the pressure and weight sensation satisfaction was very high. In case of SW4, the satisfaction was very high in functional movement, pressure, weight sensation and management aspects; subsequently, the overall wearing satisfaction was very good.

한지닥 섬유제품의 인체 생리 반응 및 쾌적성 평가 (Evaluation of Thermal Physiological Responses and Comfort in Dox Fabric)

  • 임순
    • 복식
    • /
    • 제63권5호
    • /
    • pp.102-114
    • /
    • 2013
  • This study performed the evaluation of skin temperature, heart rate, humidity and temperature inside clothing, and subjective sensation to estimate the physiological responses of the human body and its feeling of comfort for developing value-added dox fabric. Experiments were performed on five healthy adult women whose average age was 21, at climate chamber in which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air current were set up below $28{\pm}5^{\circ}C$, $50{\pm}10%$, 0.2m/s, respectively. Two kinds of clothes were used for the experiments: 100% cotton and dox clothes. The clothes were identical in size and form, and the attire consisted of long-sleeved shirts, long trousers, and socks.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for 30 minutes using ergometer.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t showed low skin temperature of forearm, breast, back, forehead and lower leg in exercise, but high skin temperature of them in recovery. However skin temperature of thigh and foot increased from rest to recovery. 2) I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p<0.001, p<0.01) in average skin temperature between cotton and dox clothes. Cotton clothes had a higher average skin temperature compared to dox. Not only wa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mperature inside clothing (p<0.001), this was also the case with humidity inside the clothing (p<0.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