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체모델링

Search Result 191,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Development of 3D Human Body Modeling Module from Class Form structure (계층형 구조의 3D 인체 모델링 모듈 개발)

  • Lee, Kang-Il;Lee, Hyae-Jung;Jeong, Young-Sik;Han, Sung-Kook;Jeong, Seok-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205-208
    • /
    • 2005
  • 3D 모델링 시스템이 최근에 여러 분야에 많이 이용되면서, 3D 인체 모델링 또한 사용가치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그에 따른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3D 인체 모델을 전문가가 아닌 일반 사용자들도 쉽게 구현할 수 있도록 빠르고 사실적인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3D 인체 모델링을 위하여, 기존의 연구들과 달리 Ase파일 포맷을 통하여 인체 모델을 생성하고 조금 더 정확하고 자연스럽게 모델링 할 수 있도록 계층형 구조의 모듈 개발을 시도하여 사실적인 3D 인체 모델링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Human Body Modeling Using Skin-Skeleton Binding Technique (스킨-스켈레턴 바인딩 기법을 이용한 인체 모델링)

  • Choi, Hae-Ock;Yoo, Tae-Sun;Jun, Byoung-Min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5 no.7
    • /
    • pp.1873-1882
    • /
    • 1998
  • 사실감있는 인체 모델과 동작제어 기술은 컴퓨터 그래픽스와 가상현실감 및 시뮬레이션등의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인체의 모델링과 이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술은 관절 구조의 인체를 뼈대와 관절 그리고 이를 둘러싸고 있는 피부로 모델링하고 운동학에 기반하여 각 관절을 제어하여 인체의 동작을 생성한다. 본 논문에서는 인체의 모델링을 위한 스킨-스켈레턴 바인딩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인체의 골격구조를 관리하기 위한 일반적인 계층적 다관절체 데이터 구조를 설계하고, 골격 데이터에 피부를 입히기 위한 스킨-tm켈레던 바인딩 알고리즘을 설계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전처리, 세그멘테이션과 바인딩의 세기능 모듈로 구성된다. 바인딩 가능한 요소들의 효율적인 탐색을 위하여 분할해결 방식을 적용한 후보 테이블을 이용하였다. 20개의 관절로 이루어진 인체 골격 데이터와 Inventor 포맷의 인체 피부 데이터로 알고리즘을 실험하였다.

  • PDF

3D Human Body Modeling on Smartphone (스마트폰에서의 3 차원 인체 모델링)

  • Han, Ji Soo;Park, In K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9.06a
    • /
    • pp.135-136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3 차원 인체 복원 시스템을 제안한다. 모바일에서의 인체 복원은 디바이스상의 한계로 인해 기기와 서버 간에 인체 모델링 과정을 분할하여 처리한다. 분할된 인체모델링 과정은 복원 과정과 출력 과정으로 나뉘게 되며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취득한 영상을 서버로 전송하고 3 차원 인체 복원을 수행하게 된다. 3 차원 복원 알고리즘은 인체 변형 모델을 기반으로 3 차원 모델로부터 2 차원 영상으로의 투영을 통해 최적의 자세 및 체형 매개변수를 추정하고 복원된 결과는 모바일로 전송되어 복원된 모델링 결과를 출력한다.

  • PDF

한국인 인체 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내수용 승용차 내부 설계 평가 및 개선에 대한 연구

  • 신원경;정성재;박민용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7.10a
    • /
    • pp.12-22
    • /
    • 1997
  • 본 연구는 현재 국내에서 생산되는 주요 승용차의 운전석과 운전석 주변 제어장치간의 규 격이 한국 성인의 신체에 맞게 설계되었는지를 분석하고 평가하여 한국인의 신체에 적합한 승용차 내부설계의 개선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최근의 한국인 인체 측정 자료를 이용하여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갖추어야 할 편안한 자세를 3차원 인체 모델링 도구인 SAFEWORK을 이용하여 모델링하였다. 이 모델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사람과 환경과의 관계를 고정적인 인체 측정 데이터와 기능적인 인체 측정 데이터를 동시에 고려하여 삼차원으로 모델링한 다음 현재 국 내에 판매중인 소형, 준중형, 중형승용차 3종류의 규격차를 적용한 시트를 SAFEWORK으로 설계하였다. 한국인 인체 측정 데이터로 만들어진 마네킨을 설계된 각각의 시트에 앉혀 시트의 규격과, 운전석 주변의 제어장치간의 규격에 대한 적합성 여부를 판단한 결과, 운전석에서 accelerator pedal까지의 거리와 volume control 까지의 거리, 운전석의 깊이와 뒷좌석 폭 등 연구대상이 된 3종류의 내수용 승용차의 주요 규격이 한국 성인의 신체에 부적합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에 한국 성인의 인체 측정 데이터에 적합한 시트와 주변 제어장치간의 설계 규격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한국군 전차 및 승무원의 CAD 모델링을 통한 작업공간 평가

  • 최동찬;노근래;안경수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5.04a
    • /
    • pp.51-51
    • /
    • 1995
  • 인체 CAD 모델링 시스템은 장비와 인체를 모델링하여설계 초기단계에서 부터 별도의 Mock-up 없이 전 벙위의 운용자에 대한 작업자세의 안락도(Comfort), 동작한계(Reach), 적 합성(Fit), 시계(Vision)등 제반 작업공간 설계 및 평가에 수반되는 고려요소들을 보다 과학적 이고 합리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도구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크게 한국군 전차병의 인체 CAD 모델의 설계와 설계된 인체 모델을 활용한 한국형 전차 작업공간 평가로 구성되었다. 한국 군 전차병의 인체 CAD 모델링에서는 전차병의 인체 측정자료를 이용하여 5%, 50%, 95%치 전차병 에 대한 선 자세와 앉은 자세의 인체 모델을 설계하였으며, 보다 정확한 인체 모델의 구현을 위 해인체의 기능적 치수에 대한 실측치와 CAD 설계치와의 차이를 비교, 보정하여 줌으로써 작업공 간 평가시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한국형 전차 작업공간 평가에서는 설계 된 인체 모델과 한국형 전차 주요 구성품의 CAD 모델을 활용하여 각 승무원의 작업역을 분석하였고, 승무원 해치, 주요 조종장치의 운용 적합성, 판넬류 등의 위치 적합성에 대해 분석,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무기체계를 대상으로 하여 CAD 프로그램을 이용한 Man-Machine Interface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 졌으며, 기존의 도면이나, Mock-up, Prototype에 의존하던 작업공간 타당성 검토가 CAD를 이용하여 3차원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PDF

Human Dynamic Model for Real-time Animation (실시간 애니메이션을 위한 인체 동력학 모델)

  • 오병주;윤필현김창회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1998.10a
    • /
    • pp.453-456
    • /
    • 1998
  • 컴퓨터 그래픽스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인체의 움직임을 사실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인체의 동력학적 특성을 고려한 실시간 애니메이션이 가능하도록 인체를 모델링하였다. 인체의 동력학적 특성을 해석하기 위하여 인체를 16 자유도를 갖는 강체(rigid body)로 가정하였으며 Branch 형태의 복잡한 기구학적 형상을 가진 인체를 5개의 단순한 형태의 기구학적 연결체로 분할 하여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동력학 모델은 단순히 기구학 만을 이용하는 경우보다 사실적이면서도 실시간으로 애니메이션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동력학적 모델을 사용하여 애니메이션을 수행할 경우 부가적인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도 다양한 형태의 인간 움직임을 사실적으로 모사할 수 있다.

  • PDF

Sweep-based Human Modeling and Deformation (스윕 기반 인체 형상 모델링 및 변형)

  • Hyun, Dae-Eun;Yun, Seung-Hyun;Seong, Joon-Kyung;Chang, Jung-Woo;Kim, Myung-Soo;Juttler, Bert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10 no.2
    • /
    • pp.27-34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스윕에 기반하여 인체 형상을 모델링하고 변형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방법은 다각형 메쉬 형태로 주어진 3차원 인체 형상을 스윕 기반의 형상 구조로 재구성하여, 형상을 모델링하고 변형한다. 인체 형상의 팔, 다리, 몸통 등 각 부분을 근사하는 스윕 곡면을 생성하고 다각형 메쉬 상의 꼭지점들을 인접한 스윕 곡면과 연결하며, 스윕 곡면이 만나는 팔, 다리와 몸통 사이에서는 꼭지점마다 연결된 스윕 단면들을 블렌딩한다. 이를 통해 스윕을 제어하여 이와 연결된 인체 형상의 자연스러운 변형을 얻어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몇 개의 애니메이션 예들을 통하여 제시한 인체 변형 방법이 자연스러운 인체 동작 생성에 효과적임을 보인다. 본 논문의 결과들은 스윕 기반의 인체 형상 변형 방법이 실시간에 상당히 사실적이고 자연스러운 형상 변형이 가능함을 보여주어, 캐릭터 skinning 방법으로서 적절한 대안임을 보여준다.

  • PDF

Computation of Temperature Rising by Absorbed Power Radiated from a Portable Phone (휴대폰 전파인 인제 흡수전력량과 온도 상승량 산출)

  • 이승학;김채영;강승진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12 no.3
    • /
    • pp.409-426
    • /
    • 2001
  • Absorbed power of the human head radiated from a 900 MHz portable phone and temperature rise are computed using FDTD(Finite-Difference Time-Domain) method. For this computation the 5 layered media for the human head modeling and the monopole antenna attached to metallic box for the portable phone are used. To reflect the real circumstances typical sizes of human heads and portable phones are considered in the calculation. The length of monopole antenna is 8.15 cm, and the output power of a phone is 600 mW. Under the predetermined model the distribution of 1 g, 10 g averaged SAR and temperature rise rate over the human head are calculated, from which it was found that the position of maximum SAR is near at the head skin surface, not deep places far into the head. The position of the highest temperature is located far from the head skin more than that of the maximum SAR occured. The averaged SAR and temperature along the distance between the head and phone are calculated according to seperation distance between the head and phone.

  • PDF

Automatic Detecting of Joint of Human Body and Mapping of Human Body using Humanoid Modeling (인체 모델링을 이용한 인체의 조인트 자동 검출 및 인체 매핑)

  • Kwak, Nae-Joung;Song, Teuk-Seob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5 no.4
    • /
    • pp.851-859
    • /
    • 2011
  •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method that automatically extracts the silhouette and the joints of consecutive input image, and track joints to trace object for interaction between human and computer. Also the proposed method presents the action of human being to map human body using joints. To implement the algorithm, we model human body using 14 joints to refer to body size. The proposed method converts RGB color image acquired through a single camera to hue, saturation, value images and extracts body's silhouette us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background and input. Then we automatically extracts joints using the corner points of the extracted silhouette and the data of body's model. The motion of object is tracted by applying block-matching method to areas around joints among all image and the human's motion is mapped using positions of joints. The proposed method is applied to the test videos and the result shows that the proposed method automatically extracts joints and effectively maps human body by the detected joints. Also the human's action is aptly expressed to reflect locations of the joi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