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지 정확도

Search Result 1,082,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Perception and Production of American English Vowels by Korean University Students (한국 대학생들의 미국영어 모음의 발화와 인지)

  • Cho, Mi-Hui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5
    • /
    • pp.285-294
    • /
    • 2021
  • Motivated by the mixed results in the previous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peech production and perception, the curr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ion and perception in depth through a case study on how Korean EFL university students produce and perceive American English vowels. To this end, 19 Korean students at a university located in the Seoul-metropolitan area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and perception tests on American English vowels to elucidate the precedence relationship and the correlation between production and perception. Results showed that precedence of neither perception nor production was found in the overall result. However, either precedence of perception or production was found for the vowels [ɛ], [α], [ɔ], [u], which implies that the precedenc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ion and perception varies depending on individual vowels. As for the correlation between production and perception, no correlation was attested between production and perception, suggesting that production and perception skills are not closely linked for these participants. Given that mastering language requires to coordinate two distinct production and perception skills and that L2 learners' preception and production skills become more closely connected as the learners' L2 experience and proficiency increases, no correlation between production and perception attested by the current EFL students implies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production and perception varies during the course of foreign language/L2 acquisition in such a way that production and perception skills become increasingly related.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were further discussed and pedagogical suggestions were provided.

The Effect of the Individual differences in Cognitive Processes on Paragraph Comprehens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인지정보처리의 개인차와 문단의 이해: 구조모형 연구)

  • Lee, Yoonhyoung;Kwon, Youan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23 no.4
    • /
    • pp.487-515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individual differences in cognitive processes on paragraph comprehension. To do so, the lexical decision task and the pattern comparison task were used to measure the low-level cognitive processes. Digit span task was used to test the phonological loop capacity. The individual differences of the central executive processing capacity were measured by operational span task. Reading span task was used to test the working memory capacity related with the sentence processing. Reading times and accuracies of the logically valid inferences and logically void inferences were tested to measure the high-level cognitive processes. Reading times and accuracies for the target sentences with and without prior explicit causal sentence were measured to test individuals' paragraph comprehension abiliti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peed of the low-level cognitive processes was related with the speed of the high-level cognitive processes. Also, the accuracy of the low-level cognitive processes was related with the accuracy of the high-level cognitive processes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peed and the accuracy in any measures of the cognitive processes. Working memory capacity was related with the accuracy of the cognitive processes while it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speed of the cognitive processes. Most importantly, the speed of low-level cognitive processes significantly affected the speed of the paragraph comprehension while the working memory capacity and the high-level cognitive processes had influences on the accuracies of the paragraph comprehension. The speed of the paragraph comprehension had no influence on the accuracies of the paragraph comprehension.

  • PDF

Perception and Production of English Grapheme <a> by Korean Students (한국 학생들의 영어 철자 <a> 인지와 발화)

Perception and Confusion of English Vowels (영어 모음의 인지와 혼동)

  • Cho, Mi-Hui;Jeong, Soon-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53-354
    • /
    • 2011
  • 한국 학생들이 영어 모음들을 어떻게 인지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49명의 한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11개의 영어 목표 모음 [i, ɪ, eɪ, ɛ, æ, ɑ, ɔ, oʊ, ʊ, u, ʌ]이 들어간 단어 beat, bit, bait, bet, bat, pot, bought, boat, put, boot, but들의 모음을 판별하는 인지실험을 실행하였다. 실험결과 bet, bought, boot의 모음을 판별하는 정확도가 50%이하로 낮았고, 반면에 bat, pot, boat의 모음 인지 정확도는 70% 이상으로 높았다. 영어 목표 모음별로 혼동도표를 통해서 목표 영어 모음들의 혼동패턴과 최소대립어 훈련도 제시되었다.

  • PDF

Smartphone and Wearable Device based High-level Activity Recognition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고수준 행위인지)

  • Cho, Soung-ho;Lee, Sung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04a
    • /
    • pp.302-305
    • /
    • 2015
  • 개인건강에 대한 관심이 날로 증대함에 따라 개인 건강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사용자 생활패턴인지 연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행위 인지 연구는 오랜 시간 진행되어 왔지만 고수준행위인지의 정확도가 여전히 미미하며 고수준행위의 세부 행위는 인지하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과 웨어러블센서를 이용하여 실생활에서 보다 정확한 고수준행위데이터를 도출함으로써 더욱 넓은 분야에서 활용 가능한 기술 연구에 목적이 있다.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iques for searching and interpreting disaster information (재난 정보 검색 및 해석을 위한 인공지능 기법의 인지 특성)

  • SeokHwan Hwang;Jeongha Lee;Byoung-Hwa 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50-450
    • /
    • 2023
  • 인공지능 기법의 급격한 발달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인공지능 기법을 활용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재난은 발생하기 전에 다양한 전조 현상을 나타내나 수많은 정보 속에서 전조 증상을 정확히 인지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따라서 인공지능은 방대한 사전 정보의 해석을 통해 재난 발생의 전조를 신속 정확하게 감지하는데 최적의 기술이다. 최근 OpenAI의 딥러닝 기반의 언어모델인 GPT(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의 성능이 기대 이상을 나타내면서 많은 분야에서 GPT에 대한 관심과 실험이 시작되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GPT를 이용하여 재난 검색 및 해석의 특징을 검토하여 보았다. 정확한 재난 기록은 정확한 재난 예측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자료이나 부정확한 재난 기록은 그 기록이 비록 방대하더라도 오히려 예측의 신뢰도를 크게 떨어뜨린 수 있다. 따라서 비지도학습 기반의 대화형 인공지능을 재난 검색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인공지능 기법의 인지 특성을 반드시 가늠해 봐야 한다. 향후 보다 많은 연구자가 이에 관심을 가진다면 보다 정확한 인공지능 기반의 재난 탐지 기술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User goal and plan recognition using plan recognition system in natural language Dialogue (자연언어 대화 (NL Dialogue)에서 플랜 인지 시스템을 이용한 사용자의 목표 (Goal) 도출)

  • Kim, Do-Wan;Park, Jae-Deuk;Park, Dong-I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6.10a
    • /
    • pp.393-399
    • /
    • 1996
  • 자연언어 대화에서 사용자의 정확한 의도(Intention)를 인지함에 있어서 나타나는 문제는, 자연언어 대화체의 생략성이 강한 문장의 불완전성 외에도, 여러 연속되는 대화체 문장에 분산되어 나타나는 사용자의 의도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다. 이러한 불완전한 대화체 문장 속에 산재되어 있는 사용자의 의도를 빠르고 신뢰성 있게 인지하여, 사용자와 시스템간의 원활한 자연언어 대화 상호작용 (Interaction)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플랜 인지 시스템의 이용은 매우 효과적으로 보인다. 현재까지 개발된 대부분의 플랜 인지시스템들은 사용자의 액션 분석 및 플랜의 인지를 통하여 HCI를 지원하는 측면에 (예: 지능형 도움말) 집중되어 있다. 본 논문은 지역 광고 신문에 실린 매입-매도광고 데이타베이스의 검색을 위한 Natural language dialogue user interface에서 사용자 의도를 인지할 수 있는 플랜 인지 시스템을 기술하고 있다.

  • PDF

Neurocognitive Function Assessment of Traumatic Brain Injury (외상후 뇌손상의 신경인지기능 평가)

  • Oh, Byoung Hoon
    •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Psychiatry
    • /
    • v.2 no.2
    • /
    • pp.177-185
    • /
    • 1995
  • 외상후 뇌손상은 대표적이며, 가장 중요한 신경정신계 질환의 하나이다. 더욱이 외상후 뇌손상 환자들은 각종의 사고 및 산업재해 등으로 인해 그 수가 급증하고 있으며, 특히 인지기능의 장애로 인한 다양한 기질성 정신장애로 고통을 겪게 된다. 따라서 외상후 뇌손상은 손상의 시점에서부터 정확하고 올바른 평가는 물론 손상후의 경과 및 치료대책의 수립에 있어서 체계적이며 종합적인 신경인지기능의 평가는 필수적이다. 왜냐하면 신경인지기능평가는 뇌의 손상부위와 이와 관련된 기능장애 및 행동의 변화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를 제시해 주기 때문이다. 신경인지기능 평가의 영역은 지각, 운동기능은 물론 주요인지기능인 기억, 언어, 실행 및 감정조절능력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외상후 뇌손상환자들은 손상부위 및 정도에 따라 신경인지기능의 장애를 초래하게 된다. 대표적인 신경인지기능평가 도구로는 KWIS, Halstead-Reitan, Luria-Nebraska batteries, 특히 전두엽기능검사인 Wisconsin Card Sorting Test (WCST)를 비롯하여, 현재는 PC/S Vienna Test System 및 Stim등의 각종 전산화 인지기능검사가 개발되어 임상에서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즉 외상후 뇌손상환자를 위한 신경인지기능평가의 목적은 뇌손상과 관련된 신경인지기능장애를 정확히 평가하여, 환자 개개인에 적합한 인지재활치료 계획을 수립하는데 있다. 물론 여기에는 신경정신상태검사(neuropsychiatric mental status examination)를 통하여 외상 후 뇌손상의 경과 및 예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나이, 의식소실 및 외상후 기억 손상 시간의 정확한 측정은 물론 심리 사회 문화적인 상태와 두부외상전 환자의 지적수준 및 사회 적용기능이 함께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 PDF

Cognitive Impairment in the Patients with Mildly Active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경증 전신성 홍반성 루프스 환자의 인지기능장애)

  • Kim, Jin-Hee;Lee, Chul;Lee, Chang-Uk;Paik, In-Ho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 /
    • v.5 no.1
    • /
    • pp.89-96
    • /
    • 1997
  •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whether cognitive impairment was evident in patients with SLE. Also, it aim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of cognitive impairment with other clinical variables. The subjects consisted of 20 patients with mildly active SLE and 20 healthy controls. Methods : A total of 20 SLE patients and 20 normal controls completed a computerized neuropsychological test battery using Vienna Test System. These included Cognitrone test, Continuous attention test, Corsi block tapping test, Standard progressive matrices. Also, neuro-behavioral cognitive status examination was done. The symptom severity of depression was measured with Beck Depression Inventory,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 and current medications were documented. Disease activity was rated using the SLE diasease activity index (SLEDAI). Results : SLE patients had poorer performance than normal controls on the tests of Cognitrone, attention, nonverbal IQ and memory, independent of age, education, disease activity, steroid use and depression status. Conclusion : Cognitive dysfunction was not uncommon in ambulatory SLE patients as measured by standardized neuropsychological tests. It seemed to occur independently of various clinical variables. These findings would suggest that cognitive dysfunction in SLE may be explained by reflecting subclinical central nervous system(CNS) involvement, rather than coexisting psychological distress due to chronic illness or side effect of medication.

  • PDF

A Reverse Segmentation Algorithm of Compound Nouns (복합명사의 역방향 분해 알고리즘)

  • 이현민;박혁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0.06a
    • /
    • pp.56-59
    • /
    • 2000
  • 한국어에서 복합명사는 명사간 결합이 자유롭고, 단위명사로 띄어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나 붙여써도 무방하다. 따라서, 정보검색분야, 기계번역분야에서 복합명사의 정확한 분해는 시스템의 성능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ETRI의 태깅된 코퍼스로부터 추출한 복합명사를 역방향 분해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단위명사로 분해한다. 분해되지 않은 3119개의 복합명사에 대해 실험한 결과 약 96.6%의 정확도를 얻었다. 또한, 미등록이나 접사에 대한 처리에도 비교적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