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지적 측면

Search Result 1,168,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직무성과에 대한 인지적 및 비인지적 능력의 영향: 대학생의 학업성과를 중심으로

  • Seo, Yun-Hui;Sin, Ho-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Conference
    • /
    • 2010.04a
    • /
    • pp.447-447
    • /
    • 2010
  • 조직이나 기업에서 높은 수준의 직무 성과는 뛰어난 지적 능력과 더불어 다른 요소들의 영향에 의해 결정된다고 광범위하게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인사선발시 인지적인 능력뿐만이 아니라 성격과 같은 비인지적 능력을 평가하는 시도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즉,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역에서 재학 중인 대학생 (n=260) 을 대상으로 하여 인지적 능력은 입학성적으로, 비인적 능력은 Big Five 성격 특성으로, 직무성과는 학업성과(예, 학업평점, 대학 및 학과에 대한 만족도, 동아리 활동, 등) 로 각각 측정하여 이들의 관계성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인지적 능력과 더불어 Big Five 성격 특성 중 성실성과 개방성이 다양한 학업성과와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추가적으로, 학업성과 중 동아리 활동이 대학생활의 만족도와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인사선발 과정에서 지원자의 잠재적 직무성과를 예측할 때 지적 능력 같은 인지적 측면뿐만이 아니라 성격과 같은 비인지적 측면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 PDF

Research on Analytical Method of fun Generating Factor of Product (제품에서 Fun감성이 유발되는 요인의 분석방법에 관한 연구)

  • 강정원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6 no.3
    • /
    • pp.221-230
    • /
    • 2003
  • In product design, many designers incorporate psychological aspects to express the "fun" factor. If so, is it possible to apply the fun inducing mechanism utilized in psychology to product design and are there any problems in the application\ulcorner Psychology defines the sense of fun as the result of relief to a situation that causes a mental accumulation through the discovery of a due. The psychological extraction of fun inducing mechanism tends to lean too much to the cognitive aspect. Therefore, when dealing with product design, psychology's particular disposition is inadequate in explaining the important perceptive factor of fun. This study hypothesizes that perceptive aspect of should be induced along with the cognitive aspect in order to rationalize fun in product design. In order to understand the perception of fun, this study will introduce the amusement aspect within Kitsch products. Methods of developing a humorous form will be studied and these methods will be applicable to perceptive aspects. This paper hypothesizes that through the theoretical basis of internal characteristic of cognitive factors and external characteristic of perceptive factors, the mechanism of fun can be determined.etermined.

  • PDF

삼각함수 학습지도에서 테크놀로지의 활용

  • Choe, Jong-Sul;Kim, Hyang-Suk;Kim, Bu-Yu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6
    • /
    • pp.123-137
    • /
    • 2003
  • 본 논문의 목적은 삼각함수의 학습에 테크놀로지가 기여할 수 있는 방법적인 측면과 인지적인 효과를 명시하는 것이다. 테크놀로지가 삼각함수의 학습에 기여할 수 있는 네 가지 방법론적인 면을 '수학과 학생들의 실제 경험의 연결', '수학적 대상과 수학적 관계의 구체화', '수학의 다양한 표현 체계의 연결', '사고력 중심의 수학교육 추구'의 관점에서 논한다. 이 네 가지 방법론적인 측면 중 '수학적 대상과 수학적관계의 구체화'와 '수학의 다양한 표현 체계의 연결'을 중심으로 삼각함수의 학습법을 예시하면서 이 두 가지 방법이 어떻게 인지적으로 기여하는지를 보여준다.

  • PDF

The Effect of Computer Literacy on Learner's Cognitive Aspects Learning Ability (학습자의 정보 활용 능력이 인지적 측면의 학습역량에 미치는 영향)

  • Ahn, Sung H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23 no.2
    • /
    • pp.169-177
    • /
    • 2019
  • In this paper, According to researches on the effectiveness analysis of digital textbooks for the last three years, it was turned out in digital textbook research school that learners' computer literacy is the most effective factor and the basic ability required to use digital textbooks. Therefore, in this paper, the effects of computer literacy on various factors were analyzed. For this purpose, after the level of learner's computer literacy was divided into upper, middle, and lower, and the effects of each level on cognitive aspects ability(problem solving abilit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ritical thinking ability) were analyzed. As a result, It turned out that the learner 's computer literacy has a close correlation with cognitive aspects ability(problem solving abilit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ritical thinking ability), and has a significant effect on cognitive aspects ability. In particular, the group with lower level of computer literacy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cognitive aspects ability, and the group with upper level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cognitive aspects ability in score improvement.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that various types of computer literacy education are needed to use effective digital textbooks.

A Study on Effects of Well-structured Cognitive Reflection Journal on Metacognition and Learning Achievement (구조화된 인지적 성찰일지가 메타인지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Park, Sun-Hee;Lee, Seung-Ki;Choi, Mi-Na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 /
    • v.11 no.1
    • /
    • pp.5-14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a well-structured cognitive reflection journal can affect a learner's metacognition and learning achievement in the area of Engineering Education.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143 students in total (experimental group: 52, control group: 91) who are taking the 'Fundamental Semiconductor Engineering' course in the Engineering Department at D college in the metropolitan area. For his particular study, we undertook three steps as follows. First, we verified that the two groups of students were equal in areas of metacognition and learning achievement.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was asked to keep writing the well-structured reflection journal for four weeks and the control group was not. Third, we evaluated the metacognition and learning achievement. This study used a questionnaire to measure metacognition by Sperling(2002) in a Korean translation as well as a well-structured cognitive reflection journal.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well-structured cognitive reflection journal affects learners positively in the sense of metacognition ability, continuity as well as learning achievement.

The Effects of Perceived Innovation Attributes On Fashion Innovative Behavior (인지된 혁신속성이 패션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박경애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4 no.3
    • /
    • pp.393-400
    • /
    • 2000
  • 기술적 혁신과는 달리 상징적 혁신(symbolic innovation)은 기존 제품에 부가된 사회적 의미가 변화함으로서 창조된다. 따라서, 상징적 혁신에서 새로운 사회적 의미와 관련된 속성은 기능적 속성만큼이나 중요하다. 본 연구는 상징적 혁신의 대표적인 의류제품을 이용, 패션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된 혁신속성(perceived innovation attributes)을 구별하고, 패션혁신행동의 두 유형(구매와 사용)에 미치는 이러한 속성의 영향을 고찰하였다. 대학생 집단을 표본으로 이용, 설문지 조사를 통해 수집된 515부의 응답지가 분석되었다. 인지된 혁신 속성은 유사성(compatibility), 기능적 상대적 잇점, 사회적 상대적 잇점, 인지된 위험으로 구분되었다. 의복흥미가 구매와 사용 두 측면의 패션혁신행동에 영향을 주었으나 인지된 혁신속성은 사용측면에만 영향을 주었다. 유사성과 기능적 상대적 잇점이 사용혁신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인지된 위험이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혁신속성이 영향을 미치지 않은 반면 의류소비정도가 구매혁신에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용혁신성이 높은 소비자는 구매혁신성이 높은 소비자보다 혁신속성의 평가에 더 관여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

Analysis of Student-Student Interaction in Interactive Science Inquiry Experiment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과학 탐구실험 과정에서 학생-학생 상호작용 양상 분석)

  • Lee, Hyun-Young;Chang, Sang-Shil;Seong, Suk-Kyoung;Lee, Sang-Kwon;Kang, Seong-Joo;Choi, Byung-So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22 no.3
    • /
    • pp.660-670
    • /
    • 2002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ategorize the type of student-student interaction and analyze the pattern of group interaction by cognitive level in interactive science inquiry experiments. For this study, two homogeneous and two heterogeneous groups by cognitive level were selected. Social interactions during group discussions were audio/video taped. The types of student's interaction were classified as intellectual and emotional aspects. Intellectual aspects were consisted of asking question, response, making suggestion, receiving opinion and then further coded by interaction level. Emotional aspects were consisted of relevance to behavioral participation, relevance to students' feeling, reaction to opinion. Interaction frequency in the intellectual and emotional aspect between homogeneous and heterogeneous group were compared to analyze interaction patter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in intellectual aspect the frequency and quality of interaction in homogeneous group was higher than that in heterogeneous group. In emotional aspect. homogeneous group more showed such negative attitude as lack of confidence and dissatisfaction than heterogeneous group, on the other hand showed acceptable mood to be able to accept or object to peer's opinion. Some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drawn.

소비자의 제품 성과 평가 과정에 대한 점포 내 기분 상태의 역할

  • Kim, Gwang-Su;Sin, Jong-Guk;Gwak, Won-Il
    •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 /
    • v.3
    • /
    • pp.173-193
    • /
    • 1999
  • 본 연구는 소비자의 제품성과 평가에 대한 선행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기존의 연구 결과에서는 제품성과에 대한 소비자의 사전 기대 신념 수준이 제품 성과 평가에 주요한 원인임을 밝히고 있다. 1980년대부터 소비자행동 및 심리학 분야에서 감정의 역할 및 기타 심리요소와의 관계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제품 평가 과정에 있어서 감정이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음이 밝혀 졌다. 즉, 제품성과 평가에 있어서 소비자의 일시적 측면과 감정적 측면에 모두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감정에 관련된 인구에 있어서 항상 문제가 되어왔던 부분이 감정의 개념 규정과 특성이다. 현재까지도 이 문제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것이 많지만 이에 대한 새로운 연구 결과가 많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소비자 감정 반응의 유형을 구분하고 제품 평가 과정에서 발견되는 감정 반응은 주로 기분 상태의 성질을 띠고 있음을 설명한다. 한편 본 연구와 관련하여 주목할 만한 이론이 감정의 인지적 평가 이론이다. 이 이론의 필자는 개인의 복지에 영향을 미치는 사건에 대한 인지적 평가가 감정에 선행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감정의 인지적 점포 내 기분 상태의 인지적 평가 요소로 사전적 기대와 점포 평가를 제시하고, 점포 내 기분 상태의 결과로 제품 성과 평가를 제시하는 연구 모형을 수립하였다. 이 연구 모형에 대해 공분산 구조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점포 평가가 점포 내 기분 상태의 중요한 인지적 평가 요인이 되었으며, 점포 내 기분 상태의 유쾌 차원이 소비자의 제품 성과 평가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Cognitive analysis and mathmatical application of emotivity information (감성정보의 인지과학적 해석과 수리적 적응)

  • 김홍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9.11a
    • /
    • pp.256-261
    • /
    • 1999
  • 본 연구는 감성의 정보적 측면 즉 감성정보를 인지과학적 관점에서 유도하였다. 감성정보는 인간행동의 내부와 외부의 변환과정을 주도하는 감성의 정보적 측면이라 할 수 있다. 이 감성정보와 인지과학의 인터페이스를 근간으로 하여 감성정보의 고유기능특성을 고찰하여 해석하고자 한다. 나아가 인간의 감성정보를 황금비(Golden section ratio)와 유비(Analogy)시켜 수리적 적응을 도모하고자 한다. 이러한 적응은 인간 감성이 미치는 제 대상에 새로운 방안을 제공하므로서 응용폭의 확대를 기대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 PDF

A New Approach for Incorporating Transportation User Perception into Transportation Engineering (도로교통이용자 측면을 고려한 새로운 분석방법 개발)

  • Lee, Dong-Min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 /
    • v.10 no.3
    • /
    • pp.159-169
    • /
    • 2008
  • As users constitute one of the three components of a transportation system; and in many respects the most important component, user perception is a critical element within the concept of transportation services as transportation exists to provide high quality service to various user groups. However, this user perception has not been studied because it is difficult to be analy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importance and alternative method to consider transportation user perception for various transportation engineering areas such as service quality and safety level of transportation system. For this purpose, various stud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user perception were reviewed. In addition, experiment results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ransportation user percep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