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지적 속성

Search Result 351,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ssessment of Quick Sweat Absorbency and High Speed Drying Fabric Using a Psychophysical Method (정신물리학적 측정법을 이용한 흡한속건성평가)

  • 김주용;구지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3.11a
    • /
    • pp.1311-1318
    • /
    • 2003
  • 최근 흡한 속건성은 사이언스 소재로 가장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소재 성능이다. 하지만 아직 제대로 된 측정 평가법이 존재하고 있지 않고, 몇몇 의류업체에서는 단순히 객관적 속성만을 측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객관적 속성인지들의 연속적이 값들이 실제 인체에서는 얼마만큼의 변별력으로 인식되는지 정신물리학적 측정법으로 최소 자극치(PSE)를 구하여 등급을 나누어 보았다. 시료는 흡한속건성 직물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Coolmax(R), Coolever(R), 친수성 이중직물의 3개 그룹으로 나누었고, 측정 인자로 객관적 속성인자는 cling force, drying time을, 이와 대응하는 주관적 속성인자는 clinginess, dampness를 측정하고 각각의 PSE값을 구하였다. 그룹에 따라 객관적 속성인자 값들이 이라고 느끼는 PSE 구간까지 도달하는 시간과 속력을 측정하여 그룹마다의 흡한속건 등급을 정하였다. 또한 설계된 소재의 성능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는 transmissibility라는 인자도 도입하여 수분 전달성도 객관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 Clinginess, Dampness, Transmissibility 각 인자들을 평가해본 결과 Coolmax(R) 가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An Analysis on the Structure of Meaning for Amenities of Sound Environment III -Image of Pleasing Sound and its Preference- (음환경의 쾌적성에 관한 의미구조의 분석 III -유쾌음의 이미지와 선호도-)

  • 한명호;김선우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7 no.6
    • /
    • pp.67-73
    • /
    • 1998
  • 쾌적한 음환경을 창조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음이 갖는 심리적 속성과 인지구조 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는 여러 가지 환경음중에서 유쾌음에 대한 심리적 속성, 그리고 그 속성과 음과의 관계를 정성적으로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특히, 음에 대한 감정 및 정서표현에 사회문화적 차이가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한국어 표현어를 심층적으로 조사·분석하고, 36종류의 표현어와 34종류의 유쾌음에 대해서 평정척도법을 이용한 심리평 가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의 분석결과, 유쾌음의 심리적 속성은 활동성, 안정성, 박력성의 3가지 요인이 중요한 요인으로 밝혀졌다. 또한, 음과 표현어사이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다 차원척도법을 이용한 선호도분석에 의해서 3가지 요인과 음과의 관계를 파악해 보았다. 이 결과는 유쾌음에 대한 평가시 중요한 심리적 속성으로서, 음의 물리적 평가방법 및 음환경 의 쾌적성 창조를 위한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 PDF

Implicit Representation of Gender Stereotype: Priming Effects of Attribute Typicality and Gender Congruency (성별 고정관념의 암묵적 표상: 성별의 속성 전형성과 집단 일치성의 점화효과)

  • 이재호;방희정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14 no.2
    • /
    • pp.37-46
    • /
    • 2003
  •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xplore the implicit representation of gender-stereotype using primed naming task for prime-target pairs. In Experiment 1, Participants were presented gender's attributes as primes at SOA 250ms and were asked to pronounce person's names which differed in typicality and preference of gender's attributes. The results showed that gender congruent effects was not found, but typicality effects and interactions were found. In Experiment 2, Participants were presented gender's attributes as primes at SOA 250ms and were asked to pronounce gender's attributes which differed in typicality of gender's attributes. The results showed that woman's attributes superiority effects were found, but typicality effects were not.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from a point of view of graded representation of gender stereotype and asymmetrical processing of gender stereotype to priming conditions in the implicit level.

  • PDF

Effects of the Selecting Attributes of Medicinal Food on Recognition & Customer Satisfaction in Gyeongju Area (경주지역 주민들의 약선요리 선택속성이 인지도와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Hwang, Young-Jeong;Lee, Young-Joo
    • Culinary science and hospitality research
    • /
    • v.20 no.3
    • /
    • pp.22-36
    • /
    • 2014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selecting attributes of medicinal food on recognition & customer satisfaction in Gyeongju Area. For this study,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WIN 20.0 for an empirical analysis. Moreover, the survey questions were sent out to 300 people and 256 questionnaires among them were returned for using the sample dat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electing attribute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ognition of professionalism while they didn't on the cognition of health food. Second, the cognition of health food and the cognition of professionalism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atisfaction. Third, the service attribut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atisfaction while the nutrition attribute and the professionalism attribute did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medicinal restaurants should provide professionalism, service, nutrition in order to enhance customer satisfaction and their competitive power in the restaurant market.

The Effect Of Shape On Emotion (형태를 통해서 느끼는 감성 - 기본 도형을 중심으로 -)

  • Jung, Dae-Hyun;Han, Kwang-Hui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445-451
    • /
    • 2007
  • 시각과 관련된 정서 연구 중에서 색에 대한 연구나 움직임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져 왔으나 정적인 형태 자체에서 감성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가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2차원적인 형태 중, 모든 형태의 기본이 되는 3가지 기본적인 도형(삼각형, 사각형, 원)을 중심으로 도형의 물리적 속성에 따른 감성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도형의 물리적 속성은 물체 인식과 시각 디자인에서 중요시되는 요소인 방향성, 정형성, 비례, 예리함을 중심으로 감성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방향성, 정형성, 비례, 예리함에 따라 도형에 따른 감성의 차이가 모두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도형간의 차이는 쾌 불쾌 차원에서는 원으로 갈수록 쾌함을 확인했고 각성 차원에서는 삼각형으로 갈수록 각성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방향성은 수평, 수직보다 기울어진 형태에서 쾌하고 각성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비례는 너비와 높이의 비가 1:1 일 때 각성이 가장 낮고 쾌한 정도가 상대적으로 가장 높음을 알 수 있었고 비정형 도형일수록 불쾌하고 각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도형과, 방향성 비례 그리고 정형성간의 상호작용 측면도 살펴보았고 어떤 요소가 더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도 살펴보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도형이 어떤 속성이 이러한 감성을 불러일으키는 요인인지를 알아보기 위한 추가실험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도형의 속성 중 모서리의 예리함이 감성차이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선 형태와의 상호 작용 시 예리함이 감성에 더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임을 추론할 수 있었다. 이러한 도형이 주는 감성 연구는 도형의 감성적인 평가 과정이 인지와 정서간의 관계를 설명해 줄 수 있는 내용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아울러 기본이 되는 도형의 형태로부터 감성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제품의 물리적 디자인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특히 각성 상태가 인지적 수행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로부터 학습도구에서의 도형의 효과적인 사용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Mathematical, Cognitive, and Pedagogical Fidelities in Learning the Conic Section Using a Graphing Calculator (그래핑 계산기를 활용한 이차곡선에서 예비교사들의 수학적, 인지적, 교수적 충실도에 관한 연구)

  • Choi-Koh, Sang Sook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17 no.1
    • /
    • pp.45-71
    • /
    • 2014
  • In learning the conic session, there is a gap between the curricula of the high school and the university level for the pre-service math teachers. So through the art of problem posing, 38 number of pre-service teachers worked in a pair to find fidelities in the environment of hand-held graphing calculator. We concluded that the cognitive fidelity showed three different properties using "what if not" strategy which the mathematical fidelity between the representations supported. Also, the exploration using a calculator in the pedagogical fidelity strongly helped them to apply and to expand their learning.

  • PDF

The Role of Cognitive Satisfaction and Emotionally Based Satisfaction in Explaining Relationships between Store Image and Loyalty (점포이미지와 충성도 관계에서 인지적 만족과 감정적 만족의 역할)

  • Choi, Chul-Ja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9 no.10
    • /
    • pp.292-304
    • /
    • 2009
  • This paper is to identify how merchandise quality, store environment, personnel service, sales promotion, store amenities and supporting service which is considered to store image components influence on satisfaction and loyalty and examine the role of satisfaction in explaining relationships between store image and loyalt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each components of store image influence on cognitive satisfaction or emotionally based satisfaction or loyalty. (2) merchandise quality and store amenities have influence on cognitive satisfaction and emotionally based satisfaction is affected by personnel service and supporting service, but store environment has directly influence on loyalty. (3) store image components that is concerned with service in the store e.g. personnel service, supporting service build customer loyalty by mediating emotionally based satisfaction. In order to build strong customer loyalty, marketer have to formed through store image components that is much stronger on loyalty.

The Usefulness of Icon and Label Displays (표상방식에 따른 아이콘과 레이블 디스플레이의 유용성 비교)

  • 이주환;한광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2.05a
    • /
    • pp.92-98
    • /
    • 2002
  • 복잡한 기능이나 개념을 제한된 공간에 효과적으로 표현하는데 아이콘이 널리 이용된다. 이러한 아이콘 개발이 디자이너의 미적인 기준이나, 시스템에서 일률적으로 사용에 의해 결정되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는 동일한 정보를 포함하는 아이콘이나 레이블같이 서로 다른 표상들이 그 표상 방식의 유용성 측면에서 다른 결과를 보일 수 있으며, 기능의 표상 방식이 다르면, 아이콘이나 레이블에 대한 이해가 서로 다른 인지 처리 체계를 거친다는 기본 가정에 근거를 두고 진행되었다. 구체적으로는 아이콘을 기존에 형성된 표상 방식들 가운데서 인지적 특성을 고려한 표상들로 분류한 기준을 이용하여, 실제 컴퓨터 사용자 환경에서 통용되고 있는 아이콘들을 수집, 분류하고, 각각의 표상 방식에 따른 아이콘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각 아이콘에 대응되는 레이블과의 수행을 비교하였다. 결과에 따르면, 새로운 기능을 익혀야하는 초기에는 아이콘보다 레이블과 같은 텍스트가 더욱 효과적이지만, 익숙해진 후 그 수행이 비슷해짐을 확인했다. 그러나 임의적 표상방식으로 디자인된 아이콘은 레이블보다 더 부정확하고 느린 수행을 지속적으로 나타냈고, 기능의 세 가지 표상방식에 따라서 아이콘에 대한 수행이 서로 다른 패턴을 보였다. 이는 아이콘과 같은 컴퓨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설계와 사용 단계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기능과 사용자의 인지적 속성인 표상 방식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 PDF

News Attributes and the Second-level Agenda Setting Study: Coverage of the nuclear waste storage facility in Wido (뉴스의 속성과 2차 의제설정 효과 연구: 위도 핵폐기장 보도를 중심으로)

  • Ban, Hyun;Choi, Won-Seok;Shin, Sung-Hye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 /
    • v.25
    • /
    • pp.65-102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news attributes of the nuclear waste storage facility in Wido by conducting content analysis of two newspapers (Chosun Ilbo and Hangyoreh) and Ohmynews. Furthermore, this study measured the effects of news attributes on readers' attitude, opinion, and recognition of the event. The results of the content analysis indicated that all three newspapers focused on event-oriented coverage than issue-oriented one. Also, they only dealt with two issues-decision making process of the residents and rewards for residents-among a total of nine issues. That is, according to the hypothesis of the second-level agenda-setting theory, the media emphasize on a particular attribute while ignoring other attributes, which, in turn, make the particular attributes more salient. Based on the results of content analysis, this study conducted an experiment to measure the effects of media attributes on public recognition toward the attributes in terms of cognitive and of affective aspects.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media attributes and public attributes, which confirmed the effects of the second-level agenda setting. However, the transfer of attributes did not take place in affecting public opinion and public recognition of the event itself.

  • PDF

A Comparison of Symbolic Content in American and Japanese Animation: Food Scenes in "The Simpsons" and "Atashin'chi" (미 · 일 애니메이션에 표현된 음식장면의 상징적 속성 비교 -가족 구성의 애니메이션 <심슨>과 <아따신찌>를 중심으로-)

  • Koo, Bo-Room;Kwon, Kyung-M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3 no.11
    • /
    • pp.79-86
    • /
    • 2013
  • In general, food depicted in animated films symbolically conveys cultural emotions. And yet, as diverse studies have shown, even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semiotics, there are different ways to interpret food symbolism. This study focuses on food depicted in American and Japanese animation,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scenes from "The Simpsons" (1989-present), the longest-running American animated program, and "Atashin'chi" (2002-2009), a much-beloved animated sitcom that follows the daily experiences of a Japanese family. It is hoped that the research presented here may be applied as a criterion in the production stage for understanding the cognitive function of cultural underpinnings and symbolic expression in animated wor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