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지능력

Search Result 1,694, Processing Time 0.04 seconds

The Smart Phone Application Implement for Cognitive Ability Training (인지능력 진단 및 증진을 위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설계 및 구현)

  • Yang, Yeong-Wook;Jo, Jae-Choon;Lim, Heui-Seok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11a
    • /
    • pp.43-46
    • /
    • 2010
  • 최근 뇌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뇌 기능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서 뇌 기능과 관련한 인지능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인지능력은 정보의 입력, 처리, 저장 및 검색 등 광범위한 지적 능력을 가리키고 기억력, 주의력, 집중력 등이 포함된다. 하지만 이러한 인지능력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인지능력을 증진시키고 회복시키기 위해 많은 시간을 할애할 수 없다. 이는 현대의 사회적 환경과 시간적, 공간적인 제약이 많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휴대성과 시간의 효율성을 고려하고 사용자에게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인지능력 진단 및 증진을 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 PDF

Meta-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Cognitive-linguistic Ability and Cognitive Reserve in Normal Aging (정상 노년층의 인지-언어 능력과 인지 보존능력 간 상관성에 관한 메타분석)

  • Lee, Mi-Soo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5 no.11
    • /
    • pp.359-373
    • /
    • 2015
  • Cognitive reserve(CR) is the ability to optimize or maximize performance through complementary brain networks. CR is relevant to normal aging in cognitive-linguistic abilities. There are few domestic systematic reviews or meta-analyses that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multiple CR and cognitive-linguistic domains in healthy older people. This meta-analysis included 32 studies published since 2000. In result, education level topped the list, followed by the occupation, cognitively stimulating activities, and the multilingualism. Most studies were related to memory, global cognition, and language. CR had a modest positive association with cognitive-linguistic performance. Multiple domains including memory and language also showed the significant correlations across most measures of CR. This study provides evidence-based information to support cognitive-linguistic ability in normal aging.

Muscle Function and Cognitive Enhancement Program for Parkinson's Patients (파킨슨 환자를 위한 근 기능 및 인지능력 통합 향상 프로그램)

  • Jeung, ye-chan;Choi, Hyun-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7a
    • /
    • pp.145-146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파킨슨병이 우리 사회에서 증가하고 있고 노인들 만이 아니라 젊은 사람들에게도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환자들을 위해 근 기능 및 인지능력을 향상 시키는게 목표이다. 파킨슨병은 현재까지 원인이 알려지지 않았지만 도파민 세포가 손상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아직은 약물치료와 식이요법 치료를 통해 질환의 증상을 중지시키거나 느리게 할 수 없다. 파킨슨병의 증강 중 가장 중심이 되는 근 기능 문제와 인지능력을 동시에 향상 시킬 수 있는 기대를 할 수 있으며 이것을 통해 다른 증상들도 느려 질 수 있도록 하는 기대를 할 수 있다. 프로그램을 통한 근 기능 능력이나 인지능력을 동시에 향상하고 대상자 개개인의 능력에 맞게 운동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는 연구이다.

  • PDF

A study of cognitive load affected by cognitive ability (인지부하가 인지능력에 미치는 영향 연구)

  • Yang, Yeong-Wook;Lim, Heui-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11a
    • /
    • pp.1067-1070
    • /
    • 2011
  • 현재 뇌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는 분야 중에 하나이다. 뇌파나 뇌의 활동들을 분석할 수 있는 장비들이 개발되면서 더욱 활발하게 연구되어지고 있다. 기중 뇌의 기능에 대한 연구들도 화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분야 중에 하나이다. 뇌의 기능은 보고, 듣고, 말하고, 생각하는 등의 모든 행위들과 연관되어있다. 또한 그러한 기능들은 인지능력이라고 하기도 한다. 인지능력은 인지적, 정신적인 요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것을 인지부하라고 하고, 과도한 인지적, 정신적인 요구는 인지과부하라고 한다. 인지부하에 따라서 인지능력은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지부하에 따라서 인지능력이 변화하는 정도를 실험하였다.

직무성과에 대한 인지적 및 비인지적 능력의 영향: 대학생의 학업성과를 중심으로

  • Seo, Yun-Hui;Sin, Ho-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Conference
    • /
    • 2010.04a
    • /
    • pp.447-447
    • /
    • 2010
  • 조직이나 기업에서 높은 수준의 직무 성과는 뛰어난 지적 능력과 더불어 다른 요소들의 영향에 의해 결정된다고 광범위하게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인사선발시 인지적인 능력뿐만이 아니라 성격과 같은 비인지적 능력을 평가하는 시도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즉,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역에서 재학 중인 대학생 (n=260) 을 대상으로 하여 인지적 능력은 입학성적으로, 비인적 능력은 Big Five 성격 특성으로, 직무성과는 학업성과(예, 학업평점, 대학 및 학과에 대한 만족도, 동아리 활동, 등) 로 각각 측정하여 이들의 관계성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인지적 능력과 더불어 Big Five 성격 특성 중 성실성과 개방성이 다양한 학업성과와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추가적으로, 학업성과 중 동아리 활동이 대학생활의 만족도와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인사선발 과정에서 지원자의 잠재적 직무성과를 예측할 때 지적 능력 같은 인지적 측면뿐만이 아니라 성격과 같은 비인지적 측면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 PDF

A Study on the Content Case for the Improvement of Senior Cognitive Capabilities (노인 인지능력 향상을 위한 콘텐츠 사례 연구)

  • Jung, tae-won;Ha, kwa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71-72
    • /
    • 2019
  • 의학 기술의 발달로 인해 현 사회의 노령 인구가 급증하는 가운데 노화로 인한 노인들의 신체능력 및 인지능력의 저하가 전 세계의 사회적 문제로 자리 잡았다. 인지능력의 저하는 치매로까지 연결될 수 있어 초기에 관리를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인지능력 향상을 목적으로 다양한 콘텐츠가 제작되고 있다.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콘텐츠들이 디지털화를 통해 효용을 높이고 있으나 노인을 위한 콘텐츠는 사용자의 특성상 디지털 콘텐츠로의 전환 및 활성화가 쉽지 않아 아날로그 콘텐츠가 현재까지도 일상 및 병원 치료활동에 주로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현재 사용 중인 아날로그 콘텐츠의 사례분석을 통해 노인 콘텐츠의 특성을 파악하고 한계점을 도출해 노인 인지능력 향상을 위한 콘텐츠가 제공해야 하는 특성과 발전해나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노인 경도인지장애 개선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선행연구로 수행되었다.

  • PD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Kinematic Variables and Ground Slope Perception Ability during Golf Putting (골프 퍼팅 시 운동학적 변인과 경사도 인지능력 간 상관성 분석)

  • Lee, Jae-Woo;Im, Young-Tae;Kwon, Moon-Seok;Park, Jun-Sung
    •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8 no.3
    • /
    • pp.727-734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orrelation between kinematic variables and ground slope perception ability during golf putting. 16 collegiate golfers were participated. To collect and analyze the kinematic data of putter head, SAMPutt lab was used(70 Hz). It was performe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 The level of significance was at .05. As a results, right was correlated with backswing in flat. Toe-up was correlated with follow-through and left was correlated with aim, backswing, impact, follow-through, and loft in slice 1°. Toe-down was correlated with aim, backswing, impact in slice 2°. Toe-up was correlated with follow-through in hook 2°. In conclusion, it is important to improve the putting stroke through repetitive ground slope perception training.

Design of Personalized Learning Profile based Leaner's Cognitive Ability (학습자의 인지능력 기반 개인화 학습 프로파일 설계)

  • Ji, Hye-Sung;Lim, Heui-Seok;Park, Ki-Na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983-985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의 인지능력을 진단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는 학습자 프로파일에 대하여 제안한다. 기존의 인지능력 측정방법으로는 알기 어려운 학습자의 세부적인 학습 능력을 적용한 학습자 프로파일은 지능형 튜터링 시스템의 최종적인 목표인 개개인의 맞춤형 학습 제공을 목적으로 학습자의 인지능력 측정 및 패턴분류를 통해 세부적인 학습자의 인지능력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학습자 프로파일을 설계하였다.

The Development of Serious Game for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using Smart Device (스마트디바이스를 활용한 인지 능력 훈련 기능성 게임 개발)

  • Yang, Yeong-Wook;Lim, Heui-Seok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1 no.6
    • /
    • pp.23-31
    • /
    • 2011
  • The cognitive abilities are functions in human brain. They are closely with the real life. The cognitive abilities are likely to be decreased when human gets older and older. Fortunately, due to the plasticity of human brain, it is possible to help recover and rehabilitate brain function. Those efforts are called brain training and cognitive ability training. The cognitive ability training needs continuous trials and efforts. But many users feel boring because of simple repetitive works. This paper proposes a cognitive training system implemented in a smart device. The proposed system is designed to make users to focus on the repetitive training by using game-based tasks on the smart device. It shows that the proposed system is effective to attention and flexible on cognitive training game.

Converging Technologies for the Cognitive Enhancement of Human (인지향상 융합기술)

  • Suh, J.D.;Song, K.B.;Chung, M.A.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6 no.3
    • /
    • pp.1-13
    • /
    • 2011
  • IT 디바이스, 컴퓨터 등의 인지능력 향상 기능을 가진 전자기기의 혁신적인 발전과 사용으로 현대인간의 인지능력은 수백 년 전 인간에 비하여 크게 확대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인지향상 기기들은 아직까지는 대부분 인간의 몸에 휴대한 상태로 사용되고 있으며 인간의 신체와 일체화되거나 스며들어 자연스럽게 융합접속되어 있지 않다. 만일 인지향상 기능을 갖는 정보통신 전자기기들이 인간의 몸과 일체화되어 활용할 수 있다면 인간의 인지능력은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향상될 것이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인간인지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인지향상 융합기술 개념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하고 인지향상 융합기술의 사례와 전망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