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인접성 장애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3초

맹출 장애의 원인 및 조기 치료의 필요성

  • 최병재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45권8호통권459호
    • /
    • pp.456-462
    • /
    • 2007
  • 1. 치아의 맹출 장애는 국소적 또는 전신적 원인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다. 2. 맹출 장애가 있는 치아는 공간소실 또는 인접치아의 치근 흡수, 심미적 문제, 함치성 낭종, 종양 등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다. 3. 맹출 장애가 있는 치아의 상태 및 합병증의 발생 가능성을 평가하여 조기 치료할지를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 PDF

성장 장애를 가진 부분 무치악 환자에서 위축된 골에 무피판 임플란트 수술 증례 (Flapless implant surgery on atrophied alveolar ridge in a patient with growth disorder)

  • 이두형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0권2호
    • /
    • pp.170-175
    • /
    • 2014
  • 성장장애는 두개안면부의 골격성장과 영구치의 조기상실에 영향을 미친다. 본 증례는 성장장애 환자에서 치아를 조기 상실한 부위에 무피판 술식으로 임플란트를 식립 시 컴퓨터 단층촬영(CT)을 통한 인접치아의 확인과 임플란트 가이드의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특발성 저신장과 3급 정신지체의 20세의 여환에서 구치의 회복을 위해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을 계획하였다. CT 영상에서 인접치가 심하게 협측으로 위치되어 있었고, 이를 반영하여 가이드를 제작후 임플란트를 식립하였다. 이상 위치된 인접치를 기준으로 임플란트를 식립할 경우 협측 골의 천공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성장장애 환자에서 치아 조기 상실부에 임플란트를 식립 시 CT를 통한 치아의 위치 확인과 가이드의 제작이 요구된다.

근육 근막 장애가 자세균형에 미치는 시각적 분석 (The Visual Analysis of Myofascial Syndrome on Balance Posture)

  • 박영한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9권1호
    • /
    • pp.177-184
    • /
    • 1997
  • 인체가 균형상태에 있지않게 되면 중력으로부터 보상작용은 과도한 에너지소비로 구축을 야기시켜 이차적질병과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고 약한 충격에서도 손상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물리적 외상, 염증이나 감염의 진행으로부터 오는 구조적 불균형은 부적절한 근막의 긴장으로 초래하게 되고 이 긴장은 근육근막의 제한으로 신체에 기묘한 비특이적 반응으로 나타나 피부분절과 일치하지 않고 무관한 것처럼 보이나 통증이나 기능이상을 초래하여 그 인접관절과 근육에 기능적으로 방해가 되어 중력으로부터 정상적인 자세를 유지하지 못하고 신체의 불균형을 초래하게된다. 신체의 어느 한부분의 근육근막 제한은 인체전체의 균형을 파괴하여 골반 왜곡 또는 다리길이가 불일치한 경우도 나타나며 요천추부위에 긴장을 초래하게 되어 기능장애나 유연성이 감소되어 운동제한과 통증이 생기고 외상이 발생하기 쉽다. 1. 인체는 강력한 근막망(powerfull fascial network)의 상호관련된 통합된 전체로 보아야 한다. 2. 근막은 신체구조들의 응집을 방지, 지지해줄 뿐만아니라 외부로부터 충격을 적절히 분산하여 신체적 균형을 유지시킨다. 3. 근막의 장애는 근육긴장과 경축이 생기고 이완되지 않으면 근육결절로 진행하여 동통을 유발한다. 4. 근막장애는 탄력과 단축을 잃게하고 유연성이 없어져 중력으로부터 지지하는 능력이 떨어져 자세의 변화를 가져온다. 5. 국소부위의 근막장애는 중력으로부터 지탱하려는 인접관절과 근육에 영향을 미쳐 인체전체의 자세에 뷸균형을 초래한다. 6. 자세분석은 근육근막장애에 따른 중력의 역학적 변화를 고려하여 평가하여 분석하여야 것이다.

  • PDF

멀티 에이전트 시스템의 에이전트 플랫폼 간의 에이전트 탐색 단축 기법 (A Method Reducing Agent Search between Agent Platforms in Multi-Agent System)

  • 정준희;윤희용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083-1086
    • /
    • 2008
  • 유비쿼터스 시대를 맞이하여 기존의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을 벗어나 분산된 자원을 활용하는 방법이 연구 중인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멀티 에이전트 시스템이다. 그러나 멀티 에이전트 시스템은 에이전트를 탐색할 때 깊이 우선 탐색 기법을 사용하는데 이는 에이전트 시스템과 맞지 않는 면이 있어 멀티 에이전트 시스템을 분석하여 탐색을 단축하는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에이전트 시스템의 에이전트 탐색에 매니저 DF를 두어 확률적으로 탐색확률이 높은 에이전트 플랫폼을 우선탐색 함으로써 에이전트 탐색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매니저 DF에 네트워크 장애 등의 사고를 대비하여 미리 인접한 DF에 자료를 백업해두어 장애 발생 시에도 백업해 둔 자료를 활용하여 빠르게 그 업무를 대체할 수 있도록 하였다.

통신망의 다중연결성을 이용한 결함허용 알고리즘 (Fault-Tolerant Algorithm using Multi-Connectivity of Communication Networks)

  • 문윤호;김병기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27권1호
    • /
    • pp.53-60
    • /
    • 2000
  • 본 논문의 목적은 네트워크상에서 한 시스템의 요소가 결함으로 인해 통신장애를 일으키는 경우에 대하여 새로운 회복알고리즘을 제안하는 것이다. 또한 인접행렬을 사용하면서 그 알고리즘을 시뮬레이션한다. 우리는 제안된 알고리즘의 한 번 수행시 하나의 결함노드를 복구하도록 하여 결국 결함시스템을 점진적으로 통신가능한 네트워크로 재구성 할 수 있다. 그렇게 하기위해 본문에서는 인접행렬을 이용하며 시뮬레이션된 회복과정을 연결한 MATRECO라는 새로운 회복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 PDF

한국어 음운인식에서의 조음거리와 긴장성 자질의 특성 연구: 영·유아를 중심으로 (Effects of Articulator-distance and Tense in Phonological Awareness in Korean: The case of Korean Infants and Toddlers)

  • 김충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424-433
    • /
    • 2015
  • 본 연구는 조음거리와 발성유형에 따른 영유아의 자음 음운인식 능력에서의 차이를 규명해 보기 위해 한국어 장애음을 대상으로 반복측정 실험설계를 통해 진행되었다. 집단 내 변인인으로서의 조음거리는, 연음과 경음의 자질을 갖는 1음절 초성의 조음 위치에 의해 구분된 조음점 간 거리로서 음운인식 수행도의 차이에 구조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음운차이 인식 수행력에서 조음거리를 변인으로 한 주효과를 확인하였는데, 그 거리가 멀어질수록 수행력이 점강하였다. 이는 동일위치나 근접거리 조음점 조건의 음운인식 수행도가 조음점 간 거리가 먼 조건에서의 수행도에 비해 민감한 반응을 보임으로써, 당해 조음점에 인접한 말소리들을 인식하는 능력이 우선 발달하는 결과를 시사함은 물론, 조음 유사성이 조기 음운습득에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말해준다 하겠다. 아울러 집단 간 요인에서도 연령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연령이 높을수록 조음거리에 영향을 덜 받는 경향이 있었으며 인접거리 조건에서는 남아대비, 여아의 수행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발성유형 중 긴장성을 피험자 내 변인으로 설정한 조건의 주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연령의 주효과 및 성별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연령상승에 따른 긴장음의 인식률의 유의한 상승을 관찰하였고, 긴장음 내에서는 여아의 변별력이 더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염화나프탈렌카르보닐의 친핵성 치환반응에 관한 연구 (Kinetic Studies on Nucleophilic Substitution Reaction for Naphthalene Carbonyl Chloride)

  • 윤상기;엄태섭;성대동
    • 대한화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347-355
    • /
    • 1980
  • ${\alpha}$- 및 ${\beta}$-염화나프탈렌카르보닐의 가메탄올 분해반응속도를 메탄올-아세톤, 메탄올-아세토니트릴 혼합용매 속에서 측정하였다. 각 혼합용매마다 공통적으로 ${\alpha}$-염화나프탈렌카르보닐이 ${\beta}$-염화나프탈렌카르보닐보다 반응속도 상수가 크게 관측되었다. 이것은 Dewar수 Nr과 Streitwieser의 ${\sigma}^+$값과도 일치하였다. 카르보닐탄소가 천이상태에서 $sp^3$로 바뀌어 인접수소에 의한 입체장애가 없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골유착 대구치의 교정적 치험례 (Treatment of ankylosed posterior teeth: Subluxation and Extrusion Method)

  • 문철현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38권10호통권377호
    • /
    • pp.962-968
    • /
    • 2000
  • 치조골과 백악질이 치근막에 의하여 경계되어지지 않고 직접 접촉된 상태인 골유착치는 치조골성장장애, 불안전 맹출, 대합치의 정출, 인접치와의 불안정한 관계 등 다양한 문제를 야기한다. 골유착치의 진단은 방사선 사진에서 치근막의 소실, 타진시의 독특한 소리, periotest를 이용한 동요도 검사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나 그 신뢰성은 높지 않은 편이다. 따라서 저자는 통산적인 방법은 견인을 시행한 후 견인여부를 평가하여 골유착 여부를 판단하는 임상적 진단법을 사용하고 있다. 골유착치의 치료는 subluxation & extrusion법, autotransplantation법, corticotomy법, segmental osteotomy법, ostectomy법등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Subluxation & extrusion법은 적용이 간편한 장점이 있으나 골유착의 재발로 인한 교정치료의 실패가능성이 높은 단점이 있다. 본 증례는 다수치의 부분맹출 및 골유착으로 인한 구치부 개방교합이 주소인 환자로 소구치는 통산적인 교정치료법으로 골유착된 대구치는 subluxation & extrusion법을 적용하여 양호한 치료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제1대구치 맹출 지연의 유형에 따른 특징 분석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First Permanent Molars with Delayed Eruption)

  • 이호선;이고은;김미선;남옥형;이효설;최성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95-103
    • /
    • 2022
  • 제1대구치는 악안면 부위의 발달과 교합에 중요한 기능을 갖는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맹출 지연된 제1대구치의 유형에 따른 특징에 대해 조사하고 치아의 발육 상태 및 선천적 결손과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맹출 지연된 제1대구치를 가진 만 8세 환자를 물리적 장애가 있는 75명과 없는 77명으로 구분하였다.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에서 맹출 지연된 영역의 제1대구치 및 제2대구치의 발육 상태를 Nolla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선천적 결손과 제1대구치 맹출 지연 영역과의 연관성도 알아보았다. 제1대구치 맹출 지연은 상악 단독으로 많이 존재했다. 물리적 장애로 인한 맹출 지연은 남자에서 편측성으로 많이 나타났고, 물리적 장애가 없는 경우에는 여자에서 양측성으로 더 많이 나타났다. 맹출 지연된 제1대구치에서 발육 지연이 나타났고, 물리적 장애가 없는 경우에는 인접한 제2대구치의 발육 지연과 해당 영역의 높은 선천적 결손치 비율을 보였다. 제1대구치의 맹출 지연이 관찰된다면, 치아의 발육 상태와 선천적 결손치에 대한 주기적인 임상적, 방사선학적 평가가 필요할 것이다.

매복된 하악 제1대구치의 매복 양상과 역학적 조사 (Epidemiologic Survey on Failed Eruption of Mandibular First Molar)

  • 김소현;김영진;김현정;남순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51-59
    • /
    • 2016
  • 하악 제1대구치의 매복은 흔치 않은 맹출 장애이나 부정교합, 낭종성 변화, 치관 주위염, 인접치아의 치근 흡수와 같은 많은 합병증을 야기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하악 제1대구치의 매복이 관찰된 6세 이상의 아동 67명과 그들에서 관찰된 74개의 매복된 하악 제1대구치를 대상으로 역학적 조사를 시행하고 매복 양상에 대하여 평가해 보았다. 그 결과로 매복치의 유병률은 남자가 여자보다 높았으며, 좌우측의 차이는 없었다. 매복에 대한 평균 인지 연령은 9.19세로 제1대구치의 평균 맹출 연령보다 약 3세가량 늦었다. 또한 매복의 원인으로서 원인불명이 가장 많았으며 비정상적인 맹출 경로를 가진 경우, 치성종양, 낭종성 변화의 증대 순이었다. 매복양상은 Type I이 가장 많았고, Type III, Type IV, Type II순이었으며 매복치의 맹출 유도를 위해서는 외과적 노출술이 가장 많이 시행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저자는 아동을 대상으로 하악 제1대구치의 맹출 연령에 대한 구강 교육이 필요하며 영구치 맹출 시기의 정기적인 치과 검진이 이루어질 것을 권장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