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인적자본투자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3초

미취업 이공계 석·박사 지원정책의 경제적 효과분석 : 인적자본 투자수익률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Government Intership Program on Accumulation of the Human Capital)

  • 홍성표;이성규
    • 노동경제논집
    • /
    • 제26권3호
    • /
    • pp.29-47
    • /
    • 2003
  • 본 연구는 Mincer와 Ben-Porath의 최적인적자본 축적모형을 이용해서 외환위기 이후 급증한 이공계 석 박사 학위 졸업자들의 미취업 사태를 완화하고자 도입된 정부의 인턴연구원 지원사업이 동 사업으로 혜택을 받은 석 박사 학위자들의 인적자본 축적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하였다. Tobit모형을 사용한 추정 결과에 따르면 인턴사업에 의한 인적자본 투자수익률이 인턴사업의 특성과 지원 대상인 고급과학기술인력을 분석 대상으로 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투자수익률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정부가 미취업 고급인력의 인적자본의 진부화(obsolescence) 속도를 늦추고 더 나아가서 현장실습을 통해서 새로운 인적자본을 축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던 인턴사업이 성공적이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지식기반사회에서 국가경쟁력의 핵심인 고급인력의 구조적 실업을 완화시킴으로써 인적자본 축적에 큰 기여를 하고 있는 인턴사업의 경제적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여러 가지 방안들이 정책적으로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지속경력학습의 선행 및 결과변인과 매개효과 (Antecedents and Outcome Variable and Mediating Effects of Continuous-Related Career Learning)

  • 지성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564-578
    • /
    • 2015
  • 본 연구는 지속경력학습 선행변인(개인-직무적합성, 인적자본투자)과 결과변인(주관적 경력성공)에 대한 인과관계 규명과 개인-직무적합성, 인적자본투자와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에서 지속경력학습 매개효과를 규명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자료는 울산지역 자동차 및 제주지역 공기업 종사자 241명으로부터 수집되었으며, 동일방법편의 대안으로 측정환경 분리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개인-직무적합성과 인적자본투자가 지속경력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둘째, 지속경력학습인 주관적 경력성공을 촉진하는 주요원인으로 확인되었으며, 셋째, 지속경력학습은 개인-직무적합성 및 인적자본투자와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를 각각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직무 및 조직차원변인을 활용하여 지속경력학습의 선행변인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여 지속경력학습의 연구범위 확대에 기여하고 있으며, 주관적 경력성공 연구에 대한 연구자들의 관심을 촉발하는 계기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지속 경력학습의 매개효과 규명을 통해 개인의 경력개선 과정 메커니즘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있다.

가계의 인적자본 투자에 관한 연구 - 사교육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Investment in Human Capital of Korean Households)

  • 양정선;김순미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221-232
    • /
    • 2003
  • This study examined the investment in human capital of Korean urban households. Data for this study were from the 2001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 and consisted of a sample of 2,681 households. The results of Gini's concentration coefficient showed high inequality of investment in human capital. To investigate which factors influence investments in human capital, various socio-demographic variables were analysed. High investment in human capital is shown in high society indicating that they transmit the advantage of education to their descenda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useful for welfare professionals who work in family well-being.

외국인 직접투자와 경제성장에 대한 다국가 분석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Economic Growth: A Cross-Country Analysis)

  • 정동원;정경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588-596
    • /
    • 2017
  • 외국인 직접투자가 개발도상국가들의 경제성장에 매우 중요하다고 많은 정책입안자들과 학자들이 주장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외국인 직접투자 유입과 경제 성장 간의 긍정적인 관계에 대해서는 보편적인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개발도상국들이 자국의 경제성장을 위하여 적극적으로 외국인 직접투자를 유치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1995년부터 2009년까지의 88개 개발도상국가들의 자료를 활용하여 외국인 직접투자와 경제성장 간의 관계를 실증분석 한다. 분석에 사용된 국가들은 소득수준이 높은 선진국, 석유 생산국가 그리고 가용 가능한 자료가 부족한 국가들을 제외하였다. 분석에 적용된 모형은 솔로우 모형으로 본 모형은 외국인 직접투자뿐만 아니라 실물자본, 인구증가, 인적자본을 동시에 고려하였다. 분석 결과, 외국인직접투자는 개발도상국의 경제성장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실물자본, 인적자본 모두 개발도상국가들의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개발도상국들은 외국인 직접투자를 통해 효율적으로 경제성장을 위하여 도로, 철도, 전력, 병원과 같은 사회간접자본에 대한 투자와 인적자본에 대한 투자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결혼이주여성의 인적자본투자 경험에 관한 연구 (Married Female Immigrants' Experience of Investing in Human Capital)

  • 홍성희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7권4호
    • /
    • pp.145-170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married female immigrants' experience and process of investing in human capital in Korea. The participants were 11 wom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ho had experience of investing in human capital in Korea, could communicate in the Korean language, and were living in Daegu.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intensive interview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The participants' level of education and work experience in native country were not accepted as human capital and offered no advantages or obtaining employment in Korea, while English language skills were useful for those pursuing an English lecturer position. The motives for investing in human capital were 'adjusting to early stage of marriage and a new environments', 'for their childrens' education', 'to improve female immigrants' level of education', 'seeking a better job', and 'advocating more education'. The types of investing in human capital were 'learning Korean language and culture', 'applying to Open University or taking a middle or high school qualification examination', 'obtaining certification', and 'entering regular university'. The participants' plans for investing in the future were 'finding their own job', 'entering regular university', and 'participating in useful educational programs including Korean language skills for daily lif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motives for investing in human capital were related in the stage of their marriage. The phases and changes in their motives during a marriage proved that the participants continued to invest in human capital according to their needs and situation.

  • PDF

한국 벤처캐피탈의 조직상황적 특성, 인적자원 특성 및 투자전략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Firm Characteristics, Human Resources and Investment Strategies of Korean Private Venture Capitals)

  • 이주헌
    • 벤처창업연구
    • /
    • 제2권4호
    • /
    • pp.1-17
    • /
    • 2007
  • 창업자본시장에는 다양한 유형의 위험자본들이 서로 경쟁하고 있다. 과거에는 국내 벤처캐피탈은 정부의 보조금과 지원으로 경쟁력이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시장에서 생존할 수 있었다. 하지만 그동안 정부의 정책이 방향이 지원과보호에서 자율과 경쟁의 시장경제논리로 점차 바뀌어졌다. 국내 벤처캐피탈은 경쟁력 확보를 위해 경쟁우위의 원천이 되는 인적자원을 확보하고 지식과 기술을 축적하고 전략적 투자활동을 수행해야 할 필요가 점차 증대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창업투자회사의 조직상황, 인적자본과 투자전략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기업규모는 인적자원의 규모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반면에 조직 상황적 특성은 투자전략에 의미 있는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론 상관관계분석과 선형회귀분석을 통해 몇몇 변수에 대해 유의미한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지만 이에 대한 해석은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논란이 있을 수 있는 관계의 검증과 명확한 해설을 위해서는 보다 면밀한 실증연구가 필요하다.

  • PDF

벤처캐피탈의 인적자원과 전략 (A Empirical Study on Human Resources and Investment Strategies Of Private Venture Capital Firms in Korea)

  • 이주헌
    • 한국산학경영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경영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 /
    • pp.209-218
    • /
    • 2006
  • 창업자본시장에는 다양한 유형의 자본이 서로 경쟁하고 있다. 과거에는 벤처캐피탈이 정부의 보조금과 지원으로 경쟁력이 부족한 업체도 시장에서 생존할 수 있었다. 하지만, 산업환경이 많이 바뀌었고 오늘날의 경쟁적인 환경하에서 적응하기 위해서는 벤처캐피탈 회사는 필요한 인적자원을 확보하고 경쟁우위의 원천인 지식과 테크닉을 축척해야 한다. 본 논문은 조직상황의 차이에 따라 벤처캐피탈의 인적자원의 특성의 차이가 있는지 인적자원과 조직상황의 특성의 차이에 따라 투자전략은 영향을 받는지 실증 연구하였다.

  • PDF

우리나라의 산업별 지식기반도 측정

  • 최종후;한성희;홍병석
    • 한국통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통계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91-95
    • /
    • 2000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산업구조에 있어서 지식과 기술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기술지표(R&D, IT집약도, 특허)와 인적자원지표(R&D인력, 대졸자수, 과학기술인적자원)를 기초로 117개 산업에 대한 지식기반도 측정을 시도한 것이다. 지식기반도 측정을 위한 분석모형으로 LISREL 모형이 적용되었다. 지식기반산업에 대한 기존의 연구로서는 OECD(1996)에 의한 R&D 직접투자와 간접투자를 이용한 분석이 있으나 기술과 인적자본 지표를 모두 활용하여 계량적으로 분석한 것은 새로운 시도이다.

  • PDF

벤처캐피탈 투자를 유치하는 신기술기반 벤처기업의 긍정 신호에 관한 연구 : 인적 자본과 전략적 보증효과에 관한 탐구 (A Study on the Positive Signals of New Technology-Based Ventures to Entice Venture Capitals in Korea : Exploring Human Capitals and Strategic Endorsements?)

  • 이영민;최영근
    • 벤처창업연구
    • /
    • 제9권6호
    • /
    • pp.23-35
    • /
    • 2014
  • 본 연구는 신기술기반 벤처기업이 국내 벤처캐피탈의 투자를 유치하기 위한 인적 자본과 전략적 제휴의 보증효과 관계를 규명하였다. 벤처기업의 인적 자본과 외부 전략적 제휴가 벤처캐피탈에게 투자에 관한 긍정적인 신호 효과를 유발하는가와 함께 벤처캐피탈의 투자가 벤처기업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보았다. 연구를 위하여 신호이론을 기반으로 두 가지 접근방법을 적용하였다 먼저, 신기술기반 벤처기업의 내재가치와 국내 벤처캐피탈에게 보증효과를 주는 조직 신호가 무엇인지 탐구하였다. 그리고 성장하고 있는 신기술기반 벤처기업에 벤처캐피탈의 투자가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지 분석하였다. 이러한 가정을 아시아 개발도상국의 대표적인 사례에 해당하는 국내 신기술기반 벤처기업들에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인적 자본 변수에서 기업가의 관련 산업분야 경험, 대기업의 비즈니스그룹과 협업 및 보증효과 변수에서 벤처기업의 인증은 벤처캐피탈의 투자를 유인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반면에 창업자의 교육 수준은 벤처캐피탈의 투자유치 효과와 기업의 성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 PDF

이질적 학습능력과 인적자본에 대한 부모의 교육투자 선택 (Ability, Heterogeneity, and Parental Choices on Human Capital)

  • 황진태;김성민
    • 노동경제논집
    • /
    • 제40권4호
    • /
    • pp.91-114
    • /
    • 2017
  • 본 연구는 자녀의 학습능력이 다를 수 있음을 가정할 때 부모의 교육지출 수준과 자녀수 선택에서 자녀의 학습능력을 고려하지 않고서 동등 수준으로 교육에 투자하는 통합적 균형(pooling equilibrium)과 자녀의 학습능력에 따라 차등적으로 교육에 투자하는 분리적 균형(separating equilibrium)이 존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두 가지 균형중 어떠한 균형이 나타날지는 학습능력 차이에다 학습능력이 뛰어난 자녀를 가질 확률에 의존한다. 분석결과, 본 연구는 통합적 균형에서는 통합적 선택의 결과가, 분리적 균형에서는 분리적 선택의 결과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인적자본의 증가율이 더 높은 수준임을 보여주었다. 또한, 학습능력이 뛰어난 자녀를 가질 확률이 높아질수록 분리적 균형에서의 인적자본 증가율이 통합적 균형에서보다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