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캐피탈 투자를 유치하는 신기술기반 벤처기업의 긍정 신호에 관한 연구 : 인적 자본과 전략적 보증효과에 관한 탐구

A Study on the Positive Signals of New Technology-Based Ventures to Entice Venture Capitals in Korea : Exploring Human Capitals and Strategic Endorsements?

  • 투고 : 2014.11.05
  • 심사 : 2014.12.21
  • 발행 : 2014.12.31

초록

본 연구는 신기술기반 벤처기업이 국내 벤처캐피탈의 투자를 유치하기 위한 인적 자본과 전략적 제휴의 보증효과 관계를 규명하였다. 벤처기업의 인적 자본과 외부 전략적 제휴가 벤처캐피탈에게 투자에 관한 긍정적인 신호 효과를 유발하는가와 함께 벤처캐피탈의 투자가 벤처기업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보았다. 연구를 위하여 신호이론을 기반으로 두 가지 접근방법을 적용하였다 먼저, 신기술기반 벤처기업의 내재가치와 국내 벤처캐피탈에게 보증효과를 주는 조직 신호가 무엇인지 탐구하였다. 그리고 성장하고 있는 신기술기반 벤처기업에 벤처캐피탈의 투자가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지 분석하였다. 이러한 가정을 아시아 개발도상국의 대표적인 사례에 해당하는 국내 신기술기반 벤처기업들에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인적 자본 변수에서 기업가의 관련 산업분야 경험, 대기업의 비즈니스그룹과 협업 및 보증효과 변수에서 벤처기업의 인증은 벤처캐피탈의 투자를 유인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반면에 창업자의 교육 수준은 벤처캐피탈의 투자유치 효과와 기업의 성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In developing countries where many of these institutions exist in relatively weak form, the investment pattern of VCs in developing countries may differ from one of VCs in developed countries. Given this situation, the research question of this study is how venture capitals invest new technology based ventures in developing countries.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 our study employs insight from signaling theory and examines two ways. First, what are the internal value of new technology based ventures and the identity of endorsing organization signaling to venture capitals' investment in developing countries? Second, Do venture capitals play a pivotal role for the growth of new technology based ventures in developing countries? This study then tests these hypotheses using the new technology based ventures in Korea which is regarded as an example of developing countries in Northeas tern Asia. Entrepreneur's prior work experience in a related industry in the human capital variables and collaboration with business groups and certification of venture company in the endorsement variables result in obtaining venture capital's investment and superior new technology based venture's growth whereas entrepreneur's educational level has no effect on venture capital's investment and firm's growth.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