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Government Intership Program on Accumulation of the Human Capital

미취업 이공계 석·박사 지원정책의 경제적 효과분석 : 인적자본 투자수익률을 중심으로

  • Published : 2003.12.31

Abstract

The study analyzes how effective the Government Internship Program has been on accumulation of the human capital. The Program was designed under the foreign exchange crisis to support the new, but unemployed graduates with MA or Ph.D degree in the science and the engineering fields. The survey data is collected from the participants in the Program. The Tobit model is estimated to find the economic effects of the Program in terms of the rate of return of investment in the human capitals of the intern researchers. Considering that the Program is tentative and that the human capitals of the participants are easily obsolescent, the rate of return is observed to be substantially large.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Internship Program has been successful in terms of providing not only the researchers with the opportunity to accumulate the human capital by means of the on-the-job-training, but also the institutes or the firms with the opportunity to utilize the high-quality researchers at the low cost.

본 연구는 Mincer와 Ben-Porath의 최적인적자본 축적모형을 이용해서 외환위기 이후 급증한 이공계 석 박사 학위 졸업자들의 미취업 사태를 완화하고자 도입된 정부의 인턴연구원 지원사업이 동 사업으로 혜택을 받은 석 박사 학위자들의 인적자본 축적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하였다. Tobit모형을 사용한 추정 결과에 따르면 인턴사업에 의한 인적자본 투자수익률이 인턴사업의 특성과 지원 대상인 고급과학기술인력을 분석 대상으로 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투자수익률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정부가 미취업 고급인력의 인적자본의 진부화(obsolescence) 속도를 늦추고 더 나아가서 현장실습을 통해서 새로운 인적자본을 축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던 인턴사업이 성공적이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지식기반사회에서 국가경쟁력의 핵심인 고급인력의 구조적 실업을 완화시킴으로써 인적자본 축적에 큰 기여를 하고 있는 인턴사업의 경제적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여러 가지 방안들이 정책적으로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