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용분석

Search Result 891,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지식사회학의 연구방법으로서 인용분석 (The Citation Analysis as a Research Method for Sociology of Knowledge)

  • 이수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55-178
    • /
    • 1999
  • 인용분석은 원문헌에서 선행문헌들을 인용하는 현상에 근거하는 정보분석 방법이다. 인용분석과 그 응용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잘 알려진 연구가 많이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광범위한 응용영역에 대한 검토보다, 인용분석의 사회학적 측면을 설명하고자 한다. 특히, 이 논문은 지식사회학을 연구하는 계량적 방법으로서 인용분석의 유용성을 검토하게 된다. 이를 위해, 인용행태, 인용계수, 영향요인, 인용관계 둥을 파악하는 기본방법들을 기술하였다. 그런 다음 지식사회학의 네가지 응용영역을 구분하여 제시하고 있다: (1) 지식자원의 유통, (2) 지식자원의 평가, (3) 지식공동체의 평가, (4) 지식정책적 활용. 마지막으로 이 논문은 인용분석의 한계와 결점을 인용과 인용분석 그 자체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 PDF

인용 구문 분석을 통한 피인용 논문 정보 서비스 설계 (Design of an Information Service for Cited Articles through Citation Analysis)

  • 정한민;김태홍;최희석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743-744
    • /
    • 2020
  • 인용 분석은 정보 검색 위주의 단순 학술정보 서비스를 고도화시킬 기회를 제공한다. 그렇지만, 대부분의 연구가 커뮤니티, 연구자, 논문 간 인용 지수 중심의 분석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인용 특성파악을 통한 피인용 논문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는 논문 내 인용 문구분석을 통해 피인용 논문의 인용 특성을 구조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 피인용 논문을 위한 정보 서비스 가능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구글 스칼라를 통해 확보한 인용-피인용 논문 원문들을 대상으로 인용 유형 비율 분석과 인용 확산 분석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피인용 논문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정보 서비스에 반영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폭소노미 연구 문헌에 대한 자아 중심 주제 인용 분석 (Ego-centered Topic Citation Analysis on Folksonomy Research Documents)

  • 이재윤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95-312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White가 제안한 자아 중심 인용 분석을 응용하여 연구 주제에 대한 다층적인 분석을 가능하게 해주는 자아 중심 주제 인용 분석 기법을 제안하였다. 시험적으로 폭소노미에 대한 연구문헌을 Web of Science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한 후 이에 대한 주제 인용 분석을 수행해보았다. 폭소노미 주제에 대한 자아 중심 인용 분석은 자아 문헌 집단 분석, 주제 인용 정체성 분석, 주제 인용 이미지 분석의 세 단계로 나뉘어 수행되었다. 분석 결과 이 연구에서 제안된 자아 중심 주제 인용 분석을 통해서 폭소노미 연구의 내부 지적 구조와 외부 지적 구조를 함께 파악하는 것이 가능함이 확인되었다.

인용·피인용 구절을 이용한 다주제 인용 분석 서비스 방법 연구 (Study of Multiple Topic Citation Analysis Service Method Using Citing and Cited Phrases)

  • 정한민;김태홍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11-20
    • /
    • 2021
  • 인용 및 피인용 구절 분석은 정보 검색 위주의 단순 학술정보 서비스를 고도화시킬 기회를 제공한다. 그렇지만, 대부분의 연구가 커뮤니티, 연구자, 논문 간 인용 지수 중심의 분석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인용 구절 분석에 기반한 인용 기반 논문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는 "딥러닝", "그린에너지", "노령화"라는 세 개의 주제를 대상으로 논문 내 인용 구절 분석을 수행하고, 피인용 논문의 인용 특성을 구조적으로 설명한다. 이를 위해 구글 스칼라를 통해 각 주제에서 가장 많이 인용된 피인용 논문 각 네 편과 모든 인용 논문들을 수집하였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인용 유형 비율 분석과 인용 확산 분석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피인용 논문 특성을 파악하고, 정보 서비스에 어떻게 반영할 수 있는지를 논하였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다양한 인용 분석 연구와 정보 서비스가 개발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인용분석의 발전과 그에 대한 비판 (A Review of the Development and Critique of Citation Analysis)

  • 정경희
    • 정보관리연구
    • /
    • 제30권2호
    • /
    • pp.53-68
    • /
    • 1999
  • 본 논문은 인용분석에 대한 비판적 견해를 살펴봄으로써 인용분석에 대한 미래를 전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인용분석의 발전과정을 기술의 발전, 도구의 개발, 사회적 환경이라는 측면에서 검토하고, 이러한 발전을 주도하였던 규범이론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미시사회학적 견해에서 제시되었던 인용분석에 대한 비판을 가정의 한계와 데이터의 문제로 구분하여 검토하였다.

  • PDF

저자동시인용(著者同時引用) 분석과 인용한 문헌(文獻)의 색인어(索引語) 분석(分析)에 의한 지적구조(知的構造)의 규명 - 경제학(經濟學) 분야를 대상으로 - (A Study on Intellectual Structure Using Author Co-citation Analysis and Indexing Term Analysis of Citing Documents - Application to Economics -)

  • 김도미
    • 정보관리연구
    • /
    • 제24권1호
    • /
    • pp.32-57
    • /
    • 1993
  • 저자동시인용(著者同時引用) 분석기법(分析技法)에서, 인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형성된 저자군집(著者群集)은 현재의 시점에서 과거의 지적(知的) 구조(構造)를 관찰하는 방법으로써 현재 진행되는 연구경향을 나타낼 수 없다는 제한점을 갖는다는 주장이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저자동시인용(著者同時引用) 분석기법(分析技法)에 의해 우러나라 경제학 분야의 지적 구조 및 학문성향을 분석해 보는 한편, 인용한 문헌(文獻)의 색인어(索引語) 분석이라는 새로운 기법을 저자동시인용 분석기법과 함께 사용하여 저자동시인용(著者同時引用) 분석기법(分析技法)의 제한점이 사실인지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또한, 인용한 문헌의 색인어(索引語) 분석(分析)에 의하여 저자동시인용 분석결과와 해석의 타당성(妥當性)을 검증해 보았다.

  • PDF

국내 경영학 학술지의 ESG 연구의 인용지수 비교 및 네트워크 분석

  • 한향원;박재현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17-122
    • /
    • 2022
  • 최근 국내외 ESG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는 가운데, ESG 연구는 급격한 양적 성장을 하고 있음에도 학술지의 질적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계량적인 논문은 부족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에서 경영학 분야 내의 KCI 인용지수를 활용하여 상위 10개의 학회를 선정하고 이들 간의 ESG 논문 인용빈도와 네트워크 분석을 하였다. 상호 인용빈도를 활용하여 연결망을 작성하고 네트워크 분석 관점에서 ESG 주제에 관한 각 학술지 간 상호인용빈도를 통해 주어진 학술지의 영향력지수(Impact Factor)와 중심성 지수를 기초하여 연구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학술지들이 핵심 문헌을 식별하고 학문 내 지적 구조를 규명하여 경영학 분야의 ESG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국내 발간된 경영학 학술지의 ESG에 대한 학술지의 영향력 인용지수를 비교해 보고 나아가 경영학 학술지의 자기 인용 비율을 확인하고 경영학뿐만 아니라 타 학문 분야에서 경영학 관련 학술지에 대한 인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학제적 교류와 추가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한다.

  • PDF

학술논문 품질평가를 위한 다방면 인용분석방식 (Multi-faceted Citation Analysis for Quality Assessment of Scholarly Publications)

  • 양기덕;로크만 메호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79-96
    • /
    • 2011
  • 인용분석은 학자들의 연구실적 평가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이지만 비평가들은 오늘날의 인용분석 자료와 방법론에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고 주장한다. 전통적 인용분석 방식은 인용품질과 인용소음뿐만 아니라 언어, 시간, 문화와 같은 비수치적인 요소들을 고려하지 않아 단순하고 그릇된 평가를 가져올 수 있으며, 적용 범위가 각각 다르고 불완전한 인용 데이터베이스들은 충돌적인 인용분석결과를 초래하기 쉬울 수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려면 포괄적인 인용데이터를 다 방면과 다 방식으로 분석하는 새로운 인용분석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Web of Science, Scopus와 Google Scholar를 비교 분석한 연구의 결과를 논의하며 기존의 인용분석 방법의 약점을 극복하기 위해 설계한 CiteSearch라는 프로토타입 시스템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한국 의학학술지의 인용도 및 인용분석지표의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itation analysis indices of Korean medical journals)

  • 이윤혜;이춘실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02년도 제9회학술대회 논문집
    • /
    • pp.273-278
    • /
    • 2002
  • 본 연구는 $\boxDr$KoMCl (Korea Medical Citation Index) 2000 한국 의학학술지 인용정보$\boxUl$를 바탕으로 하여 한국 의학학술지에 의한 인용을 통하여 한국 의학학술지를 평가하는 대규모의 인용문헌 분석을 시도하였다. 2000년도에 발행된 69종의 한국 의학학술지를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인용도와 각종 인용분석지표의 특성을 고찰하고, 이러한 인용분석지표가 연구자의 업적평가 지표로 사용될 수 있는지의 여부에 대해 분석 하였다.

  • PDF

인용 네트워크 분석에 근거한 문헌 인용 지수 연구 (A Study on Document Citation Indicators Based on Citation Network Analysis)

  • 이재윤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19-143
    • /
    • 2011
  • 이 연구는 최근 발표된 단일 문헌에 대한 인용 영향력을 측정하는 여러 인용 지수에 대해서 각 지수의 특성과 지수 간 관계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 대상 인용 지수로는 페이지랭크, SCEAS Rank, CCI, f-값, 단일 논문 h-지수의 다섯 가지와 h-지수를 변형한 세 가지 지수를 더하여 8가지를 포함하였다. 우선 단일 문헌에 대한 인용 영향력을 측정하는 다섯 가지 인용지수에 대해서 살펴보고 단일문헌 h-지수를 변형한 단일문헌 $h_S$-지수, h1-지수, $h_S$1-지수의 세 가지를 추가로 제안하였다. 각 인용 지수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국내 인용 데이터베이스인 KSCI 데이터베이스를 대상으로 실제 네트워크 인용 지수를 측정해보았다. 상관관계 분석과 군집분석을 수행하여 8가지 인용 지수 사이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유사한 측정 행태를 보이는 인용 지수 군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인용빈도 요인과 각 인용 지수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서 각 지수의 특성을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인용 지수의 적용을 위한 고려사항과 후속 연구 방향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