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근효과

Search Result 332,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A Confirmation of Identified Multiple Outliers and Leverage Points in Linear Model (다중 선형 모형에서 식별된 다중 이상점과 다중 지렛점의 재확인 방법에 대한 연구)

  • 유종영;안기수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15 no.2
    • /
    • pp.269-279
    • /
    • 2002
  • We considered the problem for confirmation of multiple outliers and leverage points. Identification of multiple outliers and leverage points is difficult because of the masking effect and swamping effect. Rousseeuw and van Zomeren(1990) identified multiple outliers and leverage points by using the Least Median of Squares and Minimum Value of Ellipsoids which are high-breakdown robust estimators. But their methods tend to declare too many observations as extremes. Atkinson(1987) suggested a method for confirming of outliers and Fung(1993) pointed out Atkinson method's limitation and proposed another method by using the add-back model. But we analyzed that Fung's method is affected by adjacent effect. In this thesis, we proposed one procedure for confirmation of outliers and leverage points and compared three example with Fung's method.

A Study on The ′Doughnut Effect′in Siting A Nuclear Waste Repository (방사성폐기물 처분장의 입지선정에 있어서 ′도우넛효과′에 관한 연구)

  • 김지용;최기련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6 no.2
    • /
    • pp.220-229
    • /
    • 1997
  • Siting a nuclear waste facility in a specific area, the public show some different attitudes for newly suggested nuclear facility as a function of distance from the existing facilities, namely 'Doughnut Effect'. This Doughnuts Effect indicates not only indirect public assessment for the existing facilities, but transition of public attitude between socio-economic expectation and risk perception. Ulchin area was selected as a case study model and the possibility to success in siting a nuclear waste facility in that area was shown. Thus, availability of the 'Doughnut effect'as a prestudy for siting radioactive waste disposal facilities was practically suggested.

  • PDF

도시와 인근지역의 수평면 일사량 비교 관측 - 대구 기상대와 대구가톨릭 대학교-

  • Lee, Bu-Young;Park, Byung-Yoon;Kim, Hyun-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54-57
    • /
    • 2005
  • 본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 도심지역과 인근지역에서 태양 복사에너지 감쇠 효과와 특징에 대하여 보다 면밀히 연구할 필요성을 느낄 수 있었으며, 겨울과 여름 두 계절을 통해 대구 가톨릭대학교 옥상과 대구기상대에서 관측된 수평면 일사량을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대구 도심은 인근 하양 지역에 겨울철에 비해 여름철에 태양 복사에너지의 감쇠가 더 크다. 2) 대구 도심은 인근 하양 지역에 비해 맑은 날 보다는 여름철 흐린 날에 태양 복사에너지의 감쇠가 더 크다. 3) 겨울철은 인근 하양지역과 대구 도심에서 태양 복사에너지 차이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4) 여름철 오후 대구 도심 지역 대기는 인근 하양 지역에 비해 태양복사에너지 대기투과율이 감소하였다.

  • PDF

쉴드터널의 계측시스템 구축

  • 진치섭;김성준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8 no.2
    • /
    • pp.12-25
    • /
    • 1995
  • Shield 터널의 굴진에 따른 지반변위를 Real Time으로 측정하여 지반변위를 가장 작게 일으키는 굴진 Pattern을 결정하는 것이 계측시스템구축의 목적이다. 대상지반은 부산시 구포전력구 현장의 대표적인 지반이라 생각되는 Silt 층인 #11 작업구 인근과 모래층인 #7 작업구 인근에서 각각 실시하였다. 계기매설에서 계측결과분석은 1994년 6.22-11.5에 수행하였다. 계측결과로부터 얻어지는 효과는 Shield 터널굴진에 따른 지반변위의 형태와 크기를 파악할 수 있고 가장 적절한 굴진 Pattern 제시로 인근 매설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시공을 가능케 하며 자동계측의 계기매설 및 계측기술을 습득할 수 있다. 본 전력구 공사에서는 자동계측용 Computer Software 및 관련장비를 확보하고 국내 최초의 Shield 터널 자동계측을 수행하였다.

  • PDF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Pollutant by Automobile in Highway Road Runoff (고속도로 강우유출수 내 차량 기인 오염물질 특성 연구)

  • Yong Bin An;Eun Mi Hong;Hyuck Su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32-232
    • /
    • 2023
  • 고속도로 및 편의시설 건설로 불투수층의 면적이 증가하여 강우 시 고속도로 및 편의시설에서 발생하는 오염원에 의한 하천의 수질 영향도 커지고 있다. 특히 휴게소에서는 자동차의 급가속, 급감속으로 더욱 많은 분진과 오염물질이 발생할 수 있으며 타이어 마모 입자, 자동차 배기가스, 중금속 및 오일류 등이 휴게소나 도로 지표에 집적되어 있다. 이렇게 발생한 오염물질은 우기에 강우와 함께 불투수면을 침투하지 못하고 배수로를 통해 유출되어 인근 하천의 수생태 및 토양의 주요 오염원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고속도로 및 인근 휴게소의 비점오염 저감대책이 필요하며 효율적인 비점오염원 저감을 위해 장기적인 모니터링, 지속적인 자료 수집 및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강원지역 고속도로 및 인근 휴게소에서 강우 시 강우유출수 모니터링을 통해 강우유출수 유량가중평균농도 (Event Mean Concentration) 산정하고 강우유출수 수문곡선 (hydrograph)을 작성하였다. 또한 강우사상에 따른 분석항목별 초기세척효과(First Flush Effects)와 오염부하량을 산정하였다. 추가적으로 차량 기인 입자를 확인하기 위해 μ-FT-IR 현미경 분석 실험을 하였다. 모니터링 장소는 휴게소 및 고속도로 일원이며, 모니터링은 선행무강우일수 2일 이상, 강우량 10mm 이상일 때 실시하였으며 2022년 6월부터 10월까지 총 4회 실시하였다. 모니터링 결과 타이어 및 브레이크 패드 마모와 관련된 중금속인 Zn, Cu, Pb 등의 중금속이 높게 분석되었으며 이러한 중금속의 오염부하량 역시 높게 산정되었다. 강우유출수 수문곡선에서 강우 초기 오염물질의 세척효과가 나타났다. MFFn 산정 결과 강우 30% 구간에서 초기세척효과를 보였다. μ-FT-IR 현미경 분석 결과 PE (Polyethylene)가 가장 많이 검출되었고 PP (Polypropylene), PS (Polystyrene) 순으로 검출되었다. 이러한 강우유출수 모니터링 데이터는 향후 고속도로 휴게소 및 고속도로 주변 오염저감 시설 설치 및 사회적 동참을 위한 타당한 근거 확보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주택채권입찰제의 주요 내용과 시행 효과

  • Kim, Hyo-Jeong
    • 주택과사람들
    • /
    • s.195
    • /
    • pp.72-73
    • /
    • 2006
  • 8월 판교신도시에 분양되는 중대형 평형부터 채권입찰제가 적용된다. 이 제도는 청약과열을 막고 소수의 당첨자가 독점할 수 있는 시세차익을 환수해 무주택 서민의 주거안정을 위한 주택 자금으로 활용하기 위해 도입된 것. 하지만 일부에서 이른바 '버블'이 포함된 인근 시세를 기준으로 채권액을 결정하게 되면 실분양가가 너무 높아지는 것 아니냐는 비판을 제기되고 있다. 채권입찰제의 주요 내용과 시행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 PDF

The Analysis of 80MVA UPFC application effect using EMTDC (PSCAD/EMTDC 80MVA UPFC 계통적용 효과 분석)

  • Yoon, Jong-Su;Park, Sang-Ho;Lim, Seong-Joo;Choo, Jin-Bo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1.11b
    • /
    • pp.259-262
    • /
    • 2001
  • 본 논문은 2003년 한전 실계통(154kV 강진 S/S)에 적용예정인 80MVA UPFC(Unified Power Flow Controller)시스템의 동적특성을 EMTDC/PSCAD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이다. UPFC는 FACTS 기기중 전압, 임피던스, 위상각등 전력전송 제어를 위한 송전선로의 모든 파라미터를 동시에 독립적으로 제어 할 수 있는 FACTS기기[1]로서, 미국 Inez S/S, Marcy S/S에 이어 강진 S/S에 80MVA 용량의 UPFC가 실계통 적용될 예정이다. 본 논문은 과도현상 해석 프로그램인 PSCAD/EMTDC를 이용하여 80MVA UPFC 제어기와 적용 대상 계통인 강진 S/S 인근 계통을 모델링하고 상정사고에 대한 UPFC 제어효과 분석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적용된 EMTDC UPFC모델은 실제 80MVA UPFC 기기에 채용된 전력회로, 제어기, 보호시스템과 동일하게 모델링하였으며 적용 대상계통은 PSS/E 해석결과와 동일하도록 강진 S/S인근 계통을 축약 등가화한 계통모델을 사용하였다.

  • PDF

LPG충전소의 BLEVE현상에 따른 피해 분석

  • Jo, Sam-Gyu;Kim, Tae-Hwan;Ham, Eun-Gu
    • LP가스
    • /
    • s.67
    • /
    • pp.26-32
    • /
    • 2000
  • 도심지내에 위치한 부천 LPG충전소 사고 조사를 통하여 가장 피해효과가 큰 탱크로리 폭발에 따른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범위는 BLEVE 현상에 의한 방출열과 과압이 충전소 주변에 위치한 구조물이나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대상으로 실제 현장조사를 통하여 수집된 피해결과와 이론적인 모델(PHAST-Process Hazad Analysis Software Tools) 분석 결과를 비교하였다. 부천 LPG 충전소 폭발 사고의 피해효과는 방출열의 경우 두 가지 모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과압의 경우, 실제 피해는 이론적 모델 분석결과의 약 15%정도에 해당하는 축소된 거리에서 나타났다. 또한 충전소 인근에 위치한 구조물에 대한 피해효과는 부분적으로 과압에 의한 균열 및 붕괴 현상보다는 열 효과에 의한 콘크리트 강도 저하와 성상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