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구추정기법

Search Result 66, Processing Time 0.03 seconds

소지역 추정법을 이용한 시군구의 실업자 추정

  • 이계오;정연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urvey Research Conference
    • /
    • 2000.11a
    • /
    • pp.229-250
    • /
    • 2000
  • 신뢰할 만한 소지역 통계 작성을 위한 다양한 소지역 추정 기법들이 최근 많은 관심속에 개발되고 있다. 이 논문은 다양한 소지역 추정 기법들 중 일부 기법들에 대한 간략한 소개 및 실례를 제시한다. 먼저 대표적인 소지역에 대한 간접추정법인 인구통계학적 방법, 합성추정법과 복합추정법에 관한 이론 및 추정절차를 살펴보았고, 모형 기반 추정법으로써 경험적 베이즈(EB) 추정법과 계층적 베이즈(HB) 추정법을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합성추정법과 복합추정법을 이용하여 충북의 시군구 실업자 추정에 적용해 보았고, 시군구 실업자 추정결과를 직접 추정법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 PDF

H-P 기법을 이용한 기초자치단체의 장래인구추계

  • Lee, Sang-Rim;Jo, Yeong-Tae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8 no.1
    • /
    • pp.149-172
    • /
    • 2005
  • 장래인구추계(population projection)는 한 사회의 인구수 및 구조 변화를 추정하는 것으로 사회의 잠재적 자원 수요와 노동력 공급을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한다. 정확한 장래인구를 추계하는 것은 국가 및 중앙정부 뿐 아니라 지방정부 혹은 그보다 규모가 작은 기초자치단체도 미래의 사회적 변화에 대응하고 지역 특성에 알맞은 정책을 마련하기 위하여 중요한 일임에 틀림없다. 우리나라의 경우 장래인구추계는 통계청에서 담당하고 있는데 현재까지 국가 및 시도단위의 장래인구추계 결과를 발표하고 있으며 기초자치단체는 인구추계의 대상에서 제외되어 있다. 이 글은 Hamilton과 Perry에 의해서 최초 개발되어 실제 미국의 소규모지역별 장래인구추계에 사용되어 온 추계기법을 사용하여 한국의 기초자치단체에의 적용가능성에 대해 검토해 본 연구이다. 장래인구추계를 위한 H-P기법은 도시와 농촌지역의 기초자치단체에 각각 적용해 본 결과 통계청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는 코호트 조성법을 이용한 추계기법보다 단순하고 추계를 위해 필요한 정보도 쉽게 얻을 수 있으면서도 비교적 정확한 추계결과를 제시하였다.

Locally adaptive intelligent interpolation for population distribution modeling using pre-classified land cover data and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지표피복 데이터와 지리가중회귀모형을 이용한 인구분포 추정에 관한 연구)

  • Kim, Hwahwa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22 no.1
    • /
    • pp.251-266
    • /
    • 2016
  • Intelligent interpolation methods such as dasymetric mapping are considered to be the best way to disaggregate zone-based population data by observing and utilizing the internal variation within each source zone. This research reviews the advantages and problems of the dasymetric mapping method, and presents a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GWR) based method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spatial heterogeneity of population density - land cover relationship. The locally adaptive intelligent interpolation method is able to make use of readily available ancillary information in the public domain without the need for additional data processing. In the case study, we use the preclassified National Land Cover Dataset 2011 to test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i.e. the GWR-based multi-class dasymetric method) compared to four other popular population estimation methods (i.e. areal weighting interpolation, pycnophylactic interpolation, binary dasymetric method, and globally fitted ordinary least squares (OLS) based multi-class dasymetric method). The GWR-based multi-class dasymetric method outperforms all other methods. It is attributed to the fact that spatial heterogeneity is accounted for in the process of determining density parameters for land cover classes.

  • PDF

K-F기법으로 실업자 수의 소지역추정 - 경제활동인구조사를 중심으로 -

  • Yang, Yeong-Chun;Lee, Sang-Eun;Sin, Min-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305-309
    • /
    • 2002
  • 소지역에서 직접(direct) 시계열추정을 할 수 있다면, 소지역들 추정에서 최적선형 불편예측량(BLUP)을 일반화 시킬 수 있다. 특히 조사에서 얻어지는 관측 값의 오차가 시간상으로 상관관계가 있다면 Kalman-Filter(K-F)기법이 사용 될 수 있다. 이 연구는 소지역의 실업자 수 추정에서 K-F기법으로 경제활동인구수를 이용하여 현 시점의 소지역 실업자 수를 예측함수(BLUP)를 통해 추정하였다. 그리고 단순 회귀분석 추정치와 비교하였다.

  • PDF

Effect of Grid Cell Size on the Accuracy of Dasymetric Population Estimation (격자크기가 밀도구분적 인구추정의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

  • JUN, Byong-Wo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9 no.3
    • /
    • pp.127-143
    • /
    • 2016
  • This study explored the variability in the accuracy of dasymetric population estimation with different grid cell sizes. Dasymetric population maps for Fulton County, Georgia in the US were generated from 30m to 420m at intervals of 30m using an automated intelligent dasymetric mapping technique, population data, and original and simulated land use and cover data. The accuracies of dasymetric population maps were evaluated using RMSE and adjusted RMSE statistics. Lumped fractal dimension values were calculated for the dasymetric population maps generated from resolutions of 30m to 420m using the triangular prism surface area (TPSA) method. The results show that a grid cell size of 210m or smaller is required to estimate population more accurately in terms of thematic accuracy, but a grid cell size of 30m is required to meet an acceptable spatial accuracy of dasymetric population estimation in the study area. The fractal analysis also indicates that a grid cell size of 120m is the optimal resolution for dasymetric population estimation in the study area.

An Application of the Genetic Algorithm on Population Estimation Using Urban Environmental Factors (도시환경변수를 이용한 격자 인구추정에 있어서의 유전적 알고리즘기법 활용 연구)

  • Choei, Nae-Yo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3 no.3
    • /
    • pp.119-130
    • /
    • 2010
  • The Genetic Algorithm has been frequently applied by many researchers as one of the population surface modelling tool in estimating the regional population based on the gridded spatial system. Taking the East-Hwasung area as the case, this study first builds a gridded population data based on the KLIS and eAIS databases as well as municipal population survey data, and then constructs the attribute values of the explanatory variables by way of GIS tools. The GA model is run to maximize its fitness function measuring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observed and predicted values of the 70 population cells. It is shown that the GA output predicted reasonably consistent and meaningful coefficient estimates for the explanatory variables of the model.

Population Distribution Estimation Using Regression-Kriging Model (Regression-Kriging 모형을 이용한 인구분포 추정에 관한 연구)

  • Kim, Byeong-Sun;Ku, Cha-Yong;Choi, Jin-Mu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5 no.6
    • /
    • pp.806-819
    • /
    • 2010
  • Population data has been essential and fundamental in spatial analysis and commonly aggregated into political boundaries. A conventional method for population distribution estimation was a regression model with land use data, but the estimation process has limitation because of spatial autocorrelation of the population data. This study aimed to improve the accuracy of population distribution estimation by adopting a Regression-Kriging method, namely RK Model, which combines a regression model with Kriging for the residuals. RK Model was applied to a part of Seoul metropolitan area to estimate population distribution based on the residential zones. Comparative results of regression model and RK model using RMSE, MAE, and G statistics revealed that RK model could substantially improve the accuracy of population distribution. It is expected that RK model could be adopted actively for further population distribution estimation.

A Study on Estimates to Longevity Population of Small Area and Distribution Patterns using Vector based Dasymetric Mapping Method (벡터기반 대시매트릭 기법을 이용한 소지역 장수인구 추정 및 분포패턴에 관한 연구)

  • Choi, Don-Jeong;Kim, Young-Seup;Suh, Yong-Cheo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9 no.5
    • /
    • pp.479-485
    • /
    • 2011
  • A number of case studies that find distribution of longevity population and influencing factors through the spatial data fusion using GIS techniques are growing. The majority cases of these studies are adopt census administrative boundary data for the spatial analysis. However, these methods cannot fully explain the phenomenon of longevity because there are a variety of spatial characteristics within the census administrative boundaries. Therefore, studies of spatial unit are required that realistically reflect the phenomenon of human longevity. The dasymetric mapping method enables to product of spatial unit more realistic than census administrative boundary map and statistic estimates of small area utilizing diversity spatial information. In this study, elderly population of small area has been estimated within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that applied the vector based dasymetric mapping method. Also, the cluster analysis confirmed that the variation of local spatial relationship within census administrative boundary. The result of this study implied that the need for local-level studies of the human longevity and the validity of the dashmetric mapping techniques.

Preprocessing for 3D Model Retrieval on Smartphone (스마트폰에서의 3차원 모델 검색을 위한 전처리 기법)

  • Shon, Ki Won;Lee, Seung Jae;Lee, Man Hee;Park, In K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3.06a
    • /
    • pp.68-69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에서 한 장의 깊이 영상을 이용하여 내용기반 3 차원 모델 검색 기법을 범용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깊이 영상 전처리 기법을 제안한다. 우선 모바일 증강현실 플랫폼 중 하나인 Vuforia 를 이용하여 다수의 영상 취득과 동시에 스마트폰 카메라의 외부 인자들을 추정한다. 그 후 취득된 영상과 외부 인자들을 이용하여 Multi-View Stereo 기법을 통해 깊이 영상을 추정한다. 이렇게 추정된 깊이 영상은 3 차원 모델 검색 기법의 질의 깊이 영상으로 활용되어 3 차원 모델 검색 기법의 입력으로 활용할 수 있다. 실험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전처리 기법으로 추정된 깊이 영상을 이용하였을 경우 3 차원 모델 검색의 범용성이 확장되고 3 차원 모델 검색이 올바르게 수행된 것을 확인하였다.

  • PDF

Reconstruction of Urbanization Levels and the Nature of Over/underurbanization Problems in China (중국 도시화율의 재구성과 과잉/과소 도시화 문제의 성격)

  • Jun, Kwang-Hee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7 no.2
    • /
    • pp.257-289
    • /
    • 2004
  • 이 연구의 목적은 중국의 도시화율을 재구성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과잉/과소 도시화 논쟁을 재점검하는 것이다. 연구는 과거에 발표된 도시화율에 비하여 2000년 센서스 보고서에 발표된 36.01%의 도시화율이 신뢰할만한 수치인가하는 질문에서 출발한다. 여기에 대한 답은 부정적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유엔의 도시/농촌 인구성장 예측기법을 사용하여, 도시화율에 관한 두 세트의 시계열 자료를 재구성한다, 이 연구는 그 중 하나인 1982~2000년 자료를 바탕으로 과잉/과소 도시화 문제의 성격을 해명한다. 이 연구는 1인당 국민소득과 도시화의 관계를 해명하기 위한 두 종류의 회귀모형을 개발한다. 세계은행의 자료를 바탕으로 전세계의 경제발전과 도시화 수준에 관계에 관한 회귀방정식을 추정하고, 선형방정식보다 로그방정식이 예측력이 높음을 확인한다. 로그방정식의 추정결과에 따르면, 중국은 1978년 개혁${\cdot}$개방정책 이전에는 과잉 도시화되었고, 최근에 들어 오히려 도시화의 지체로 인한 과소 도시화의 문제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현상이 되고 있다. 분석의 결과는 중국이 1978년 시장경제를 도입한지 15년이 지난 이후에야 도시화 지체현상이 나타나고 있음에 주목하면서, 중국의 각종 도시정책이 도시발전에 강력한 장애물로 규제력을 행사하였음을 강조한다.